폭풍해일 48시간 감시한다...기상청, 7월 1일부터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본격 활용

서울--(뉴스와이어)--기상청 (청장 李萬基)은 우리나라 주변해역 (동경 115° ~ 150°, 북위 20° ~ 52° 범위)을 8km 격자로 나눠 감시하는 폭풍해일 예측시스템을 구축 완료하여 시험운영을 거쳐 7월 1일부터 현업 예보에 직접 활용한다.

우리나라는 1997년 8월 백중사리에 발생한 서해연안의 해수범람으로 인한 막대한 재산 피해를 가져와 국민들에게 더 한층 해일에 대한 높은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2003년 9월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주었던 제 14호 태풍 매미 (MAEMI)는 마산과 여수에서 관측 해일고가 각각 2.58 m와 1.28 m를 기록하고 내륙에 강한 호우를 동반하여 해안지역에 4조 8천억원의 막대한 재산 피해를 가져왔다. 우리나라는 해마다 태풍에 의한 해일 피해가 커서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해일예보를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기상청이 구축한 폭풍해일 예측시스템은 여름철 태풍 내습시의 서해, 남해, 동해의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일 예측과 더불어 주요 연안 18개 지점(인천, 안흥, 보령, 군산외항, 목포, 대흑산도, 서귀포, 제주, 추자도, 완도, 거문도, 여수, 통영, 마산, 부산, 포항, 묵호, 울릉도)의 48시간 해일을 예측하게 된다.

이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어 우리나라 주요 연안의 폭풍해일 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태풍 등의 악기상 발생시 보다 신속 정확한 폭풍해일 대응체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 모델 개요
수치모델을 이용한 광역 폭풍해일 예측을 위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포함하는 북서 태평양 해역 중에서, 115~150 °E, 20~52 °N 사이의 해역을 대상으로 경·위도 방향으로 각각 5분 간격의 격자망으로 구성하였다. 사용한 모델은 Princeton Ocean Model (POM)이며, 조석 모델의 결과에서 추출한 조화상수 자료를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여 주요 8개분조인 M2, S2, N2, K2, K1, O1, P1, Q1 분조를 고려한 광역폭풍해일 예측모델 (Regional Tide/Storm surge model : RTSM)을 구축하였다.

웹사이트: http://www.kma.go.kr

연락처

기상청 해양기상지진연구실 실장 윤용훈 (02) 847-249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