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기술을 이용한 츠나미 환경영향평가 추진
※ RCA : 국제원자력기구(IAEA) 아·태 지역 회원국들의 지역 협력체(Regional Cooperative Agreement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ed to Nuclear S&T for Asia and the Pacific)
RCA 사무국(崔健模 사무국장)은 UNDP 한국사무소(Zhe Yang 대표)와 6. 30(금) 협약을 체결하고 ‘츠나미 환경영향 분석 평가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동 연구는 과학기술부와 UNDP의 재정지원으로 2008년까지 총 30만불의 연구비가 투입되며, 츠나미 직접 피해국인 태국, 인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등 RCA 14개 회원국의 원자력 및 해양환경 분석전문가들이 공동 참여한다.
필리핀 원자력연구소(PNRI)의 Sombrito 박사가 연구를 총괄하고 해안 토양오염 분석은 스리랑카에서, 농지 및 식수 오염분석은 인도에서, 산호초 등 어업 생태계분석은 호주가 맡아 추진하며, 피해지역인 태국의 푸켓지역과 인도네시아 아체지역의 토양 및 해양으로부터 샘플링을 하여 원자력 방사선기술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보다 정밀한 환경평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피해복구 정책에 반영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RCA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주도하여 설립한 아태지역원자력협력체제로서 역내 평화적 원자력기술 이용의 증진을 목적으로 17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RCA 사무국은 RCA의 대외활동 증진을 목표로 한국정부의 주도로 ‘02. 3 설립되어 RCA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RCA 최건모 사무국장은 “이번 사업이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첫 결실이라는 점에서 IAEA와 회원국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우리나라 원자력 관련전문가들이 참여함으로써 “방사선 이용기술의 역내 개도국 진출 확대는 물론 우리나라 원자력기술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RCA/UNDP Tsunami 피해복구 지원사업
□ 사업의 목적
첨단 원자력기술을 활용하여 Tsunami 전후의 환경영향을 분석 평가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 피해국(인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 대한 복구 지원
☞ 활용기술:중성자 방사화분석(NAA), 엑스선 형광분석(XRF), 양성자유도 분광분석(PIXE), 유도결합플라즈마분석(ICP), 방사성 추적기술 등
□ 추진방안
○ RCA 사무국과 UNDP간 공동사업으로 추진
- 사업관리 총괄 : RCA 사무국
○ 참여국가 : RCA 회원국 17개국중 한국 포함 14개국
○ 연구사업 총괄 : Dr. Sombrito(필리핀 원자력연구소)
- 츠나미에 의한 해안 토양환경 오염 분석(스리랑카)
- 해수 유입으로 인한 농지 및 식수원 오염 분석(인도)
- 해양침전물로 인한 산호초 등 생태계 및 어업환경 분석(호주)
○ 연구기간/ 소요예산 : 2006년~2008년(3년)/USD 300,000
□ 사업의 기대효과
RCA 사무국의 Partnership 제고를 위한 새로운 모델 제시
첨단 원자력기술을 활용하여 Tsunami 피해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시도함으로서 원자력기술의 장점을 부각
- 쓰나미 전후의 토양, 식수원 오염, 해양생태계 등 환경영향 분석평가에 의한 구체적 자료 제시를 통한 국가정책에 반영
RCA 사무국 개요
□ 아·태 원자력협력협정(RCA)
IAEA 주축으로 설립된 아·태지역 원자력협력협정
☞ RCA:Regional Cooperative Agreement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ed to Nuclear S&T for Asia and the Pacific)
○ 설립연도 : 1972년(한국은 1974년 가입)
○ 회원국 : 아시아·태평양 지역내 17개 회원국
- 호주, 방글라데쉬, 중국, 인도, 인니,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뉴질랜드, 파키스탄, 필리핀, 싱가폴,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 아·태 원자력협력협정(RCA) 사무국
○ 구 성 : 최건모 사무국장 포함 6명
○ 임 무
-역내 17개 회원국을 대표하여 회원국간 원자력기술 연구 및 개발과 교육훈련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활동 지원
-직접적으로는 RCA 인식증대 및 RCA 파트너쉽 증진
-간접적으로는 우리나라 원자력기술의 위상제고 및 아·태 지역의 원자력협력을 주도하기 위하여 설립
○ 설립경위
-제30차 RCA총회시 사무국을 한국에 설치·운영키로 확정(2001.9)
- RCA 사무국 개소 : 2002. 3. 27 (RCA 설립 30주년 기념)
- RCA 사무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총회 결의안 (Resolution) 채택 (2003. 9. 17, 비엔나)
○ 주요 사업
- RCA 사무국 총회 결의안(Resolution)을 토대로 역내 원자력 협력을 주도
- RCA 인식 제고
· RCARO 웹사이트를 통한 RCA Information Flow 촉진
· RCA Information Kit 및 성공사례 홍보책자 발간
· RCA 사업에 대한 회원국 대사관 Mission Briefing, 국내 원자력
산업 시찰 등 국내·외 Presentation 개최
- 회원국의 원자력기술 활용증진을 위한 협력사업 지원
· RCA Post-doc Fellowship(‘05년까지 31명 지원, ’06년도 지원자 21명)
· RCA/KAIST 원자력석사과정 개설·운영(‘05년까지 13명 지원)
· RCA/KOICA 핵의학 인턴십 과정( ‘05년까지 46명, ’06. 9월, 10명)
· 회원국의 관련분야 전문가 초청 활용을 통한 Ownership 증진 및 참여 확대 추진(‘05년 3명, ’06년 CFE 1명, 단기활용 3명)
- UNDP, ESCAP 등 국제기구와 공동관심 사업의 발굴·추진 등
□ IAEA와 RCA 사무국간의 관계
IAEA와 17개 RCA 회원국은 회원국의 Ownership 증진을 위하여 아시아·태평양지역에 17개 회원국을 대표하는 지역사무국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
이에 따라 한국이 사무국 운영비를 부담하고 사무국장 인건비는 출신국이 부담하는 조건으로 RCA 사무국의 한국 유치를 제안
제 30차 RCA 총회(‘01. 9, 비엔나)에서 동 제안을 수용함으로써 RCA 사무국을 한국 원자력연구소내에 설치·운영
RCA 사무국은 IAEA와 회원국간의 협력관계 속에서 RCA 협정에 근거하여 인식제고 및 Partnership 증진 등 각종 사업 전개
IAEA는 RCA 사무국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회원국들도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음
웹사이트: http://www.most.go.kr
연락처
원자력국 원자력협력과 사무관 박지영 02) 2110-3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