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체감경기 전월대비 부진 지속 전망
ㅇ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는 94.2로 기준치 100을 하회, 기업들은 7월의 체감경기가 전월보다 부진할 것으로 전망
· 6월 전망(98.6)에 이어 2개월 연속 지수 100 미만을 기록, 환율·유가 및 치열한 국제경쟁 등 기업경영을 둘러싼 여러 악재가 실제 기업들의 체감경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냄
· 산업별로는 제조업(93.1)의 경우 중화학공업(94.9), 경공업(87.8) 모두 지수 100 미만을 기록하여 전월대비 경기부진을 전망했으며, 비제조업(96.2) 역시 전월대비 경기부진을 전망
· 부문별로는 내수(95.6), 투자(99.6), 자금사정(99.6), 채산성(91.8) 등은 전월대비 부진을, 수출(102.2), 고용(101.8)은 전월대비 소폭 호전을 전망
ㅇ 6월 실적 BSI도 94.2를 기록, 전월대비 체감경기가 부진하였음을 응답했으며 계절조정 전망치는 102.5로 전월 대비 호전을, 계절조정 실적치는 97.0으로 전월 대비 다소간의 부진을 응답
· 원화강세와 유가급등 등 각종 경제악재가 지속적으로 작용, 최근 3개월 연속 100 미만을 기록, 실제 기업이 느끼는 실적치도 전월대비 부진함을 나타냄
ㅇ 매출규모가 큰 기업 중심의 가중지수의 경우, 전망치는 104.7로 소폭의 경기호전을, 실적치는 95.2로 전월대비 경기부진의 결과를 나타냄
□ 고유가 및 원화강세의 지속과 함께 북한 미사일 사태 우려, 본격적 하투시즌 도래, 기타 정책금리 인상, 날로 심해지는 경쟁국의 추격 등 여러 요인들로 경기부진의 우려 심화
ㅇ 연초부터 이어온 고유가와 전반적인 원화강세 및 원재료가 상승 등 대외 악재가 기업경영에도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여, 기업인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전망도 다소간 부정적임을 나타냄
ㅇ 하절기 도래에 따른 일부 업종의 호전전망에도 불구, 上記 요인 외에도 북한 문제에 따른 지정학적 요인, 최근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우려, 본격적 하투시작과 중국 등 경쟁국 제품 추격에 따른 경영여건 악화도 향후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
ㅇ 지수 상으로는 지난달 10개월 만에 100 미만으로 하락한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어,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악재가 기업에 실질적 어려움을 주고 있음을 반증
□ 고유가 대책의 지속 시행, FTA 체결 확대를 통한 해외시장 확대 등 대외요인에 대한 대응과 함께 금리 추가인상 억제, 원칙에 입각한 노사정책 시행 등 대내요인 안정에도 힘써야 함
ㅇ 환율변동 속도조절과 해외자원개발 지원강화 및 에너지절감시설 투자에 대한 지원 등 고유가 대책 지속 시행
ㅇ 한-미 FTA 등 주요국과의 FTA 협상은 업종별 손익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함께 국가경제 전체의 손익 관점에서 접근
ㅇ 북한 미사일 문제 등은 주변국과의 공조를 통한 해결로 지정학적 불안요인을 최소화
ㅇ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향후 불확실한 경기상황 하에서 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 증대를 감안하여 자제
ㅇ 불확실한 하반기 경제상황을 감안, 일부 사업장 노조의 무리한 임금인상 요구는 자제되어야 하며, 본격적인 하투시즌 도래에 대비 노동현장의 법치주의 확립에 노력
□ 업종별 동향
ㅇ 경공업(87.8)은 음식료(106.1), 고무 및 플라스틱(100.0)을 제외하고 섬유(61.5), 의복 및 가죽, 신발(72.2), 나무 및 목재(77.8) 등 대부분 업종이 전월대비 부진을 전망하였으며, 실적(89.0) 또한 전월대비 부진
- 계절적 성수기가 도래한 음식료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원화 강세 지속과 고유가에 따른 경영악화 및 중국 등 경쟁국의 저가제품 추격 등으로 전월대비 경기부진을 전망
ㅇ 중화학공업(94.9)은 전통적 호전 업종인 선박 등 제조업(114.3)과 고유가로 인한 마진증대를 기대한 정유(140.0), 기타 철강외1차(114.3) 등의 호전전망에도 불구하고 펄프 및 종이(55.6), 제약 및 화학제품(93.0), 비금속광물(84.6), 자동차 및 트레일러(78.0) 등의 부진으로 전월대비 경기부진 전망
- 경공업에 비해서는 다소간 지수가 높았으나 환율하락과 고유가 등 대외 여건 영향을 많이 받는 업종 특성상 전월대비 경기호전을 예상하지는 못하였으며, 6월 실적(97.0) 또한 전월대비 부진
ㅇ 정보통신산업은 통신 및 정보처리(111.1),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105.7), 반도체, 컴퓨터 및 전기(105.6) 등 全업종에서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
ㅇ 비제조업(96.2)은 도매 및 상품중개업(102.0), 운수업(120.0)은 전월대비 호전을, 건설(79.6), 전력 및 가스(72.7)는 부진을, 소매업(100.0)은 전월과 유사한 경기를 전망
- 지속적인 건설경기 침체 및 본격적 하절기 도래로 건설, 전력 및 가스 업종은 경기부진을 전망했으나, 물동량 증가를 전망한 운수업은 전월대비 경기호전 전망
□ 부문별 동향
ㅇ 내수(95.6)는 섬유(61.5), 펄프 및 종이(61.1), 비금속광물(61.5), 나무 및 목재(66.7), 의복 및 가죽, 신발(72.2) 등 대부분 업종이 전월대비 경기 부진을 전망했으나 소매업(129.2), 운수(110.0) 등 일부 업종은 호전을 전망(6월 실적은 103.2로 전월대비 호전)
ㅇ 수출(102.2)은 원화강세에도 불구 전월대비 소폭 호전을 전망하였으며 의복 및 가죽, 신발(88.9), 철강외1차(85.7), 자동차 및 트레일러(80.5)는 전월대비 부진을, 비금속광물(115.4), 선박 등 제조업(128.6) 등은 전월대비 호전 전망(6월 실적은 99.2로 약보합)
ㅇ 투자(99.6)는 전월과 유사한 약보합 경기를 전망했으며 철강(109.5), 반도체, 컴퓨터 및 전기(111.1), 통신 및 정보처리(116.7)는 전월대비 호전을, 고무 및 플라스틱(88.9), 철강외1차(85.7) 등은 전월대비 부진 전망
ㅇ 자금사정(99.6)은 섬유(69.2), 나무 및 목재(88.9), 펄프 및 종이(88.9), 자동차 및 트레일러(87.8)의 악화전망과 철강외1차(128.6), 선박 등 제조업(128.6), 운수(120.0) 등의 호전전망이 혼재
ㅇ 재고(109.1)는 음식료(90.9), 운수(95.0), 전력 및 가스(90.9)를 제외한 전업종이 재고증가를 전망한 가운데 섬유(130.8), 의복 및 가죽, 신발(133.3), 철강(128.6) 등의 재고증가 전망이 두드러짐
ㅇ 고용(101.8)은 전월과 유사한 강보합의 경기상황을 전망했으며 철강(114.3), 선박 등 제조업(128.6), 소매업(116.7)은 고용상황 호전을, 고무 및 플라스틱(88.9), 나무 및 목재(88.9) 등은 상황부진을 전망
ㅇ 채산성(91.8)은 원화강세, 고유가 등으로 인해 전월보다 상당폭의 악화를 전망한 가운데 섬유(53.8), 펄프 및 종이(66.7), 자동차 및 트레일러(78.0)의 악화전망이 두드러짐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전경련 홍보실 정조원 02-6336-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