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데이, 10개월만에 참여기관 1,300곳 돌파
한국방송출판 TV유치원 하나 둘 셋이 운영하는 유아교육회, 원불교 교단 등 특화된 성격의 보육시설들이 육아데이 캠페인에 동참하여 다양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국방송출판 TV유치원 하나 둘 셋이 운영하는 유아교육회는 KBS TV ‘TV유치원 하나 둘 셋' 방송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 등 5개영역 관련 프로그램과 유아교육 커리큘럼을 적절히 조화시킨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는 유아교육전문기관으로 전국 300여개 보육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원불교는 지난 1956년 개설한 정읍 원광유치원을 필두로 전국 550여개 교당에 147개의 보육시설을 병설운영하고 있으며, 1980년 이후 27년째 매년 소속 보육시설 교사 연수를 실시할 정도로 보육을 교단차원의 중요 사업으로 인식하고 모범적으로 보육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기업과 은행, 보육시설의 캠페인 참여도 활발하다. 특히 최근 캠페인에 참여한 보육시설의 부모참여 프로그램은 보육시설의 독창성을 잘 살려 이색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신한은행과 교수신문, 베스트바이어 등이 7월 육아데이부터 캠페인에 동참해 정시 퇴근에 들어간다.
지난 5월 제주 YWCA 어린이집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성교육 인형극’을 관람했으며, 6월 진주 YWCA 어린이집에서는 아빠와 함께 ‘월드컵 응원모자 만들기’ 행사를 실시했다.
7월 육아데이에도 부천시청어린이집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야외 자전거타기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고양 문촌 어린이집에서는 일산 호수공원에서의 야외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육아데이 특별 이벤트도 다양하게 진행될 예정이다.
외식업체인 베니건스는 7월 6일부터 연말까지 매월 육아데이에 보호자 동반 초등학생 이하 고객에게 어린이 메뉴를 무료로 제공하며, 청담아이누리 한의원에서는 육아데이에 서울 지점에서 특별 사은품을 증정한다.
지난 6월에 이어 프로야구 육아데이 어린이 무료입장 행사도 7월 6일 육아데이에 계속될 예정이며, 인터넷 교보문고도 7월 4일부터 18일까지 육아 관련 도서를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특별 판매행사를 벌인다.
GS홈쇼핑에서는 아동용 그림책과 자녀용 보험상품 등 3개 상품 구매고객에게는 가족사진 촬영권을 증정하는 특별판매전을 준비하고 있다.
육아데이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기업이나 보육시설은 육아데이 홈페이지(www.6aday.net)에 접속하거나 육아데이 안내전화(02-776-5160)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여성가족부는 연말에 육아데이 우수 참여기업과 보육시설에 대해 특별시상도 할 계획이다.
여성가족부는 여성가족부 출범 1주년을 맞이하는 7월 육아데이부터 새로운 육아데이 캐릭터와 로고를 발표하고, 홈페이지(www.6aday.net)를 새로 단장하는 등 캠페인 확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육아데이 캐릭터는 사랑받는 자녀의 이미지를 연녹색으로 형상화하여 육아데이가 미래의 새싹인 우리 아이들을 위한 캠페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육아데이 허브사이트 역할을 하고 있는 육아데이 홈페이지(www.6aday.net)는 7월 1일부터 전면 개편하여 실속 있는 육아정보가 풍부한 웹진 형태의 친근한 홈페이지로 새로 단장했다.
두 아이의 엄마가 쓰는 ‘공감, 육아일기’, 딱딱한 육아 정책을 쉽게 설명해 주는 ‘풀어보는 육아뉴스’, 보육에 관심이 많은 아빠 권오진씨가 제공하는 ‘생활 속 육아 이야기’ 등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이 쉽고 재미있게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또 육아데이의 현장을 사진과 함께 소개해 주는 ‘생생 육아데이 현장’, 보육 전문가가 추천하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누구든지 자유롭게 육아관련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육아정보 창고’, 다양한 육아관련 사이트 소개 등 육아와 관련된 모든 정보와 지식들을 한자리로 모았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출범 1주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된 육아데이 캠페인이 앞으로 남성과 여성, 기업과 사회 등 우리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보육문화를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개요
여성정책과 가족정책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로 2001년에 설립됐다. 주요업무는 여성정책 기획 및 종합,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정책의 성별 영향 분석 평가, 가족폭력 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여성 인력의 개발과 활용, 성 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여성단체 및 국제기구와 협력 등이다. 기획조정실, 여성정책국, 청소년가족정책실, 권익증진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gef.go.kr
연락처
홍보관리관실 정책홍보팀 사무관 박한규 2100-6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