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 대처상황(오전11시 현재)
지난 7. 7일 부터 중앙부처, 자치단체, 유관기관 간의 긴밀한 공조체제를 구축, 한발 빠른 사전 대비를 적극 추진하고 있음
기상 개황
장마전선이 활성화를 띠면서 북상함에 따라 충청이남 지방에 비가 오고 있으며, 호우특보가 발효된 남해안 지방에는 천둥, 번개와 함께 시간당 최고 20mm 내외의 강한 비가 오겠음
기상특보 및 예비특보
기상특보
- 호 우 경 보 : 부산, 경남(의령, 함안, 창녕, 진주, 산청, 7.9, 09:50)
- 호우주의보 : 대구, 경북 구미 등 11개 시군, 충남(서천, 논산, 부여 7.9 11:00), 전북(군산, 익산, 7.9 10:20)
- 풍랑주의보 : 남해동부먼바다(7.9, 13:00)
예비특보
- 태 풍 : 제주도, 제주도 전해상, 대구, 경북, 광주, 전남북, 부산, 울산, 경남, 서해남부앞바다, 남해동부전해상, 남해서부전해상, 서해5도, 대흑산도·홍도, 서해중부전해상
- 호 우 : 광주, 전남북, 대흑산도·홍도, 대구, 경북, 충남, 충북
- 풍 랑 : 남해서부 앞바다, 서해 중부·남부전해상, 남해동부앞바다, 동해남부전해상, 동해중부전해상
- 강 풍 : 울릉도·독도
제3호 태풍 “에위니아” 현황과 전망
제3호 태풍 “에위니아”는 오늘(9일, 日) 03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180km 부근 해상(26.3N, 125.9E)에서 매시 23km의 속도로 북진하고 있으며 중심기압은 955hpa임(크기는 중형, 강도는 강)
특히, 태풍의 중심 부근에는 초속 38m(시속 137km)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고 8~12m의 높은 파도가 일고 있음
제3호 태풍 ‘에위니아’는 강한 세력을 유지하며 10일(월) 03시 서귀포 남서쪽 약 260km 부근을 지나 계속 북상하여 제주도 서쪽 해상을 거쳐 10일(월) 오후 서해상으로 빠져 나갈 것으로 예상됨
태풍대비 사전조치 추진상황
우리 청에서는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간의 유기적인 연계 체계를 구축, 한단계 빠른 사전대비(One Step Ahead)와 신속한 상황 대처를 위하여
7. 7일(금) 청장 주재하에 상황판단 회의를 개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근무를 실시토록 하고 이어 16개 시·도 방재담당 국장 회의를 개최,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하도록 시달하였으며
7.9(일) 청장 주재하에 상황판단 2차 회의를 개최, 16개 시·도 및 232개 시·군·구도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판단회의를 개최, 피해최소화 대책 추진
7. 8일(토)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소방방재청장 주재 14개 중앙부처 국장)를 개최하여
- 도로, 항만, 저수지 등 소관 시설물별 현장 중심의 사전점검 실시
- 각 기관별 긴급연락체계 구축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 수립 및 이행 등에 철저를 기하도록 하였으며
시·도 및 시군구의 활동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 7. 7일(금) 현장관리관 및 현장 T/F팀 52명을 현지에 급파하고
- 7. 8일(토) 소방방재청장은 보령시의 산사태 위험지구 현지점검 실시
전국의 모니터 위원을 활용하여 자치단체 재난대응 계획(Action Plan) 이행실태와 자치단체장 활동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 활동이 미흡한 지자체에 대하여는 이행을 촉구하고, 향후 재해복구비 차등지원 등을 통해 자율과 책임에 의한 방재행정을 실시할 계획임
향후계획
오늘(7. 9) 태풍대비 관련 국무총리 주재 관계장관 회의 개최(14:00) 및
중앙재난전략상황실 방문(15:00), 국가위기경보(주의)발령 검토
태풍 상황을 예의 주시, 중앙부처, 자치단체, 유관기관 간의 긴밀한 연계 공조체계를 구축, 인명 및 재산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하겠음
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조치사항
< 7. 7(金) 조치사항 >
소방방재청장 주재 상황판단회의 개최
- 일시/장소 : ‘06. 7. 7(금) 09:30/재난전략상황실
- 기상상황(태풍) 분석·보고 및 재해이력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처계획 논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단계 비상근무 실시
- 7. 7(금) 13:00부터 7개반 39명으로 확대 실시
태풍 북상에 따른「현장상황관리관」지방자치단체 파견
- 경남, 전남 등 전국에 소방방재청 팀장을 반장으로 7개반(45명) 편성·파견, 관할지역·시설 안전조치 및 대국민홍보 등 태풍대비 활동 전개
< 주요 활동 및 조치상황 >
○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상황 및 사전대비실태 현장점검
○ 지자체장 주재 상황판단회의 개최 및 재난취약시설 현장점검 등 실시
태풍 대비 시·도 재난 담당국장 회의 개최 ( 7. 7 17 : 00)
- 소방방재청장 특별 지시사항 시달,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전대피 철저, 비상대응계획에 따른 대응철저, 지역대책본부 사전대비 조치사항 등
긴급구조통제단 상황대처 회의 개최
- 태풍 피해활동 강화 및 신속한 인명구조체계 강화
- 태풍 접근단계별 소방관서 활동지침 시달, 중앙119구조대 전진배치 등
태풍 대비 상황관리 제1호 시달 및 통보(중앙부처, 유관기관, 지자체)
-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별 소관 재난업무 분야 사전 예방활동 강화
- 태풍 북상에 따른 소방방재청장 특별 지시사항 시달,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전대피 철저, 비상대응계획에 따른 대응철저 등
재해경감대책협의회 가동 준비
- 재해관련 학·협회에 태풍으로 인한 피해발생시 신속히 현장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비상연락망 정비 등 사전대비토록 통보
소방방재청장, 시·도 부지사 특별지시
- 민선 자치단체장 교체와 장마기간과 겹친 제반환경 등 잠재적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사전대비 철저 지시
하천 제초작업 등 하도정비 철저 지시
- 태풍 영향범위 이전에 산사태 토사 및 잡초 등을 제거하고 하도정비를 철저히 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즉시 조치
수해복구 사업장 특별관리대책 지시
- 사업지구별 행정기관, 시공사, 주민 등으로 「방재관리단」을 구성하여 재해취약요인 사전 제거 등 긴급 예방대책 강구
자연재해위험지구 및 재해취약시설 등 풍수해 예방대책 철저 지시
- 소하천정비사업장, 재해위험지구정비사업장, 배수펌프장 등 시설 관리 철저
전국 시·도지사 및 시·군·구청장 태풍대비활동 독려 및 확인
< 7. 8(土) 조치사항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 개최(7. 8, 10:00)
- 국방부, 건교부, 산자부, 보건복지부 등 16개 부·처·청 관계국장
- 인명피해를 최우선으로 한 발 앞선 태풍대비 철저 당부
- 각 부처별 태풍 에위니아 사전대비 상황 보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단계 비상근무 확대 실시(7. 8, 10:00)
- 국정홍보처, 농림부, 해양수산부 등 14개 중앙행정기관 14명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근무 : 총 7개반 53명
소방방재청장 서해안지역 현지확인 실시(7. 8, 14:00~20:00)
- 산사태 등 붕괴 위험지역 및 해수욕장 주변 태풍대처상황 점검
- 충남 보령시 산사태 위험지역 및 태풍사전대비 철저 당부
KBS, MBC, SBS, YTN, MBN 자막방송 요청(7. 8, 15:00)
- 제3호 태풍 에위니아 북상에 따라 산간계곡, 유원지 등의 행락객은
태풍대비에 유의하도록 5개 방송사에 자막방송 요청
위험지구예찰 강화 및 지역주민 안전대비 추가지시(7. 8, 16:00)
- 태풍 및 기상특보에 따라 자치단체별로 위험지구 예찰을 강화
- 축대, 옹벽, 담장 등의 붕괴에 유의하도록 마을방송 등을 활용
- 수동식 배수문 작동실태 일제 재점검 실시
- 바닷가 낚시 및 피서객, 어로조업객 등 안전대피 조치(제주, 경남, 전남)
태풍 북상에 따른「현장상황관리관」활동
- 경남, 전남 등 전국에 소방방재청 팀장을 반장으로 7개반(45명) 편성·파견, 관할지역·시설 안전조치 및 대국민홍보 등 태풍대비 활동 전개
민간 모니터 위원을 활용한 현지 실태 파악
- 제주, 전남지역 등에 현지활동사항 파악(특이사항 없음)
※ 마을 앰프를 통하여 태풍 사전대비사항 홍보 확인
기상특보 발표에 따른 재난예방활동 통보(8회)
- 제주, 경남·북, 전남·북 등 호우경보 등 기상특보에 따른 대비 철저
< 7. 9(日) 조치사항 >
소방방재청장 주재 상황판단회의 2차회의 개최
- 일시/장소 : ‘06. 7. 9(일) 10:30/재난전략상황실
- 기상상황(태풍) 분석·보고 및 향후 대처계획 논의
Ⅱ.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 대처사항
국방부
- 태풍북상에 따른 장관지시사항 시달
- 장관 주관 태풍대비 대책회의 실시(7. 8 09:00)
- 항공기·선박 등 주요장비 대피 및 경계초소 조정
※ 태풍영향권 부대 지휘관 부대내 대기
해양수산부
- 연안여객선, 선박 신속한 기상 전파 및 수산증양식시설 점검
- 동중국해(북위31도이남) 출어선 대피지시(7. 8 09:00)
- 차관주재 태풍대비 비상대책회의 개최(7. 8 16:30)
산업자원부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기관 회의결과 통보 및 비상근무 시달
- 전력·가스·석유시설의 공사장 현장책임자 비상대기 및 예방활동
농림부·농촌진흥청
-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사전관리 철저 지시
- 농촌진흥청 비상근무 체제유지 및 농작물 관리요령 전파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력원자력
- 고속도로, 철도, 항공, 홍수통제소 및 각종공사장 예방활동 철저 지시
- 건교부 차관 임진강 수해취약 지역 시찰(7. 7 14:00)
- 운문댐, 남강댐, 주암댐, 보성강댐 사전방류 실시
보건복지부
- 태풍대비를 위하여 사회복지시설 안전대책 철저 지시
환경부
- 태풍피해대비 현지점검 실시(북한산국립공원 7. 8 16:00)
경찰청
- 전 지방경찰관서의 통신망 일제 재점검 실시(7. 8 07:00)
- 태풍대비 경찰활동 강화 지시(7. 8 10:00)
산림청
- 산사태 위험지역 예방조치 및 산림휴양시설 입장객 대피철저 지시
기상청
- 청장주재 방재기상협의회 개최 및 태풍정보 등 기상조치
해양경찰청
- 태풍대비 해상 중앙구조본부 운영체제 가동, 긴급구조태세 유지
- 여객선, 유·도선 등 운항상황 파악 및 피항지 사전선정 점검
- 어선 출·입항 통제, 대피상황 파악 및 정박어선 안전점검 실시
국정홍보처
- 태풍 북상에 따른 재난방송보도 협조 요청
- 산간계곡, 하천변 유원지 야영중인 행락객 태풍대비 철저
Ⅲ. 지방자치단체(장) 주요 대응·조치상황
자치단체 공무원 등 비상근무 실시
- 총 4,946명 (·경북 2,255, 경남 1,334, 제주 등 1,357)
태풍 북상에 따른 위험지역 주민에 대한 사전대비 홍보
- 주민 홍보 : 총 1,555회(경북 661, 경남 673, 제주 등 221)
- 음성 통보 : 총 235회( 경북 118, 경남 62, 제주 등 55)
등산객·행락객 등 주민 대피 조치
- 총 811명 (등산객 253명, 행락객 454명 기타 104)
공사장 등 재해 취약지역 예찰 및 점검 실시
- 총 3,545개소 (공사장 1,137, 방재 시설물 1,934, 기타474)
※ 경북 875개소, 경남 1,685개소, 제주 등 985개소
선박결박 대피 등 안전조치 이행
- 결박 9,715척, 대피 6,191척(경북, 경남, 제주 등 해안지역)
재난경보시스템 확인점검 및 보수조치
- 총 178개소(제주시93, 서귀포시85)에 대한 사전점검을 실시 이상이 있는 22개소 긴급수리 완료
태풍대비 구조·구급 예방활동
- 소방공무원 위험지역 순찰 722회, 위험지역 전진배치 11개소 63명
<지방자치단체장 주요활동 상황> ○ 대풍 북상에 따른 상황판단 회의 개최 : 146개 자치단체
○ 재해위험지구 및 방재시설 등 주요시설 현장 점검 : 209개 자치단체
○ 기관장 정위치 비상근무, 현장점검 등 지시독려 : 63개 자치단체
○ 관내 재해취약시설 현지 확인점검 : 171개 자치단체
- 재해위험지구, 대규모 공사장, 인명피해우려 지역 등
- 배수펌프장 등 주요 방재시설 가동 준비태세 확인
- 해일피해 우려지역 사전대비 조치실태 확인점검
○ 비닐하우스, 수산 양식시설 등 사유시설 피해예방 대책 독려 등
Ⅳ. 현장상황관리관 활동상황
상황관리관 파견 개요
- 파견지역/인원 : 16개시도/소방방재청 소속 7개반 45명
- 파견기간 : 2006. 7. 7(금)~상황 종료시
- 주요임무 : 태풍대비, 사전조치 상황 현지확인 점검 및 독려 등
주요 활동상황
- 지방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및 운영실태 확인 점검(공통)
- 자치단체장 태풍 대비 활동 계획 확인 및 점검 독려
- 피해우려지역, 주요 방재시설 현지 확인점검 및 가동준비실태 확인
· 토사유출 등이 우려되는 건설공사장, 배수펌프장, 재해위험지구 등
- 유수소통 지장물 제거, 수방자재·장비 비축 실태 확인 점검
<주요 점검 내용>
- 광주 광산구 동곡배수펌프장 외 2개소 점검
- 대전 유성구 대덕테크노밸리 3·4단지 공사장 점검
- 강원 양양 산불피해지역 및 대형건설공사현장 점검
- 부산 수방자재 사전확보 실태 점검
- 경남 김해 재해위험지구 현장 점검
- 충남 공주시 우성면 연암천 등 침수우려지역 점검 등
미담 및 수범사례
- 하천수해복구 공사 현장에 유수 소통 장애요인 제거용 장비 배치(전북 진안군)
- 사면붕괴 우려지역 응급복구 추진(강원 춘천시)
· 춘천시 효자1동 우체국 뒤 사면붕괴 우려지역 응급조치 완료
7. 9(일) 활동계획
- 자치단체장 활동계획 확인 점검 및 독려
- 피해우려지역 사전대비 실태 지속검검 및 확인 독려, 지도
소방방재청 개요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 재난관리 전담기구이다. 전신은 행정자치부 민방위재난통제본부이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재난종합상황실,예방안전국, 소방정책국, 방재관리국, 119구조구급국,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하기관으로 중앙119구조대,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중앙소방학교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nema.go.kr
연락처
소방방재청 02-2100-5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