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소비자, 슈퍼 컨슈머로 진화 중
제품 소비의 주도권은 과거 경쟁이 없던 시절, 생산자 중심의 독점 시장에서 경제가 발전하면서 유통업자 중심의 가격경쟁 시장으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곧 가격경쟁 시장도 소비자 중심 시장으로 변화하였는데, 이때부터 기업들은 소비자들을 연구하고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마케팅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인터넷 환경에서도 고스란히 적용되고 있어 웹이 중요한 소비공간으로 발달하면서 소비자가 기업의 제품생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스스로 판매자가 되는 등 소비자 중심의 시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난 20일 개최되었던 웹사이트 분석기관 랭키닷컴이 개최하였던 유저 스페이스 컨퍼런스에서 인터파크 이헌범 상무는 이러한 온라인 소비자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소개 하였다.
첫 번째 특징은 얼리어덥터의 성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온라인 소비자들은 전문 리뷰 사이트나 지식검색, 전문 커뮤니티를 통해 신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있으며, 신제품에 대한 반응도 오프라인 시장에 비해 호의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신기술 수용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가 더해져 고가의 제품이라도 새로운 버전이 나올 때마다 구매하여 프리미엄 시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들은 또한 스스로의 파워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슈퍼 컨슈머로서의 특징을 보인다. 인터넷 공간을 이용한 소비자 간의 연결과 입소문(Buzz)의 활성화로 집단 행동이 쉬워지면서 개별적으로는 개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집단적으로는 전문 커뮤니티나 카페의 관련 게시판에 전파하는 버즈 마케팅을 자발적으로 실시한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이 이러한 슈퍼 컨슈머의 특성을 보이는데 준 전문가 집단이라 할 수 있는 분야별 전문 리뷰 사이트(SLR클럽, 세티즌닷컴, PMP인사이드, Kbench, 투데이스피피시)를 보면 남성 방문자가 84.87%, 여성 방문자가 15.13%로 남성 방문자의 비율이 월등히 높다. 반면 기존 종합쇼핑몰 내 리뷰 컨텐츠의 경우는 남성이 50.19%, 여성이 49.81%로 비교적 여성 방문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넷 참여형 마케팅도 활발해 지고 있다. 랭키닷컴과 동서리서치의 공동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5.57%가 이러한 기업의 온라인 마케팅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으며 74.16%가 상품평을 작성하거나 불만 사항을 표출한 적이 있다고 한다. 상품 자체나 아이디어를 제안한 경우도 31.21%나 되어 소비자의 기업의 마케팅 활동 참여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참여 활동에서 한 단계 진보하여 스스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늘어 나면서 온라인마켓플레이스 분야가 크게 발전하고 있다. 온라인마켓플레이스와 종합쇼핑몰 분야의 월간 방문자수의 차이는 1월 약 34만명에서 6월 118만명으로 그 차이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의 기업 독점 구도가 붕괴되고 온라인 소비의 중심이 B2C에서 C2C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렇듯 소비자들은 인터넷을 저렴하고 편리한 단순 상거래 공간에서 브랜드와 제품을 인지하고 소비/평가하는 보다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최근 인터넷 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트렌드는 UCC와 동영상 이지만, 온라인 소비자의 마인드 진화와 웹 공간의 무한한 확장 가능성 등은 언제든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두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현실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업만이 적자생존의 원칙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 구조 속에 성공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랭키닷컴 개요
대한민국 대표 시장조사기업 랭키닷컴은 2001년 웹사이트 평가/분석 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는 모바일 앱까지 분석 영역을 넓혀 디지털 소비자와 시장에 관한 다양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랭키닷컴의 분석 자료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뿐 아니라 아이핀, ISMS 의무대상자 선정 등 정부 IT 정책을 수립하는 근거 지표로 활용된다. 랭키닷컴에서는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이용량을 분야별 순위로 발표해 누구나 쉽게 IT 산업군별 경쟁구도를 파악할 수 있고, 랭키툴바를 설치하면 매주 업데이트되는 웹사이트 순위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rankey.com
연락처
랭키닷컴 마케팅팀 정은경(02-330-8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