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대 해외석학평가 결과

2006-08-08 15:59
서울--(뉴스와이어)--서울대공대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학의 각 분야별로 세계 석학들을 초빙해 대학의 연구력을 평가 받았다. 2006년 3월부터 시작된 평가는 전기공학, 기계항공공학, 화학생물공학 그리고 재료공학의 총 4개 분야에 대해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보고서를 통한 사전 평가에 이어 3박4일간의 방문평가가 있었다.

최근 몇 년간 발표된 국제기관들의 대학별 순위에 근거하여 서울대의 국제적 경쟁력과 위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있다. 그러나 서울대공대는 이번 해외석학평가를 통해 서울대 전체의 국제적 대학순위가 아니라 공학분야에 대한 국제적 경쟁력과 위치를 확인하고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자발적으로 해외석학들을 초청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다. 참고로 서울대 자연대가 작년에 비슷한 취지로 해외석학평가를 실시하여 미국 대학의 20-30위권 수준이라는 좋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해외석학의 평가를 받는다는 자체는 이미 서울대공대가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나타내는 강한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세계적 수준의 대학들은 그 분야 석학들의 평가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으며, 이러한 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대 공대는 지난 7년간(1999년부터 2005년까지) 시행된 1단계 BK사업으로 연구력 및 국제논문발표실적 등 정량적인 기준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섰으나, 이번 평가를 통해 이제는 보다 종합적인 의미에서 서울대 공대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을 점검하고, 실질적인 세계적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실시하고자 여기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실천 방안(action plan)에 대하여 자문을 얻고자 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기공학부, 기계항공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의 3개 분야는 공히 세계 10-20위권의 대학으로 평가 받았는데, 특히 전기공학부는 인구 1억 이하의 국가들에 소재한 관련 대학 학과 중에는 최고의 수준으로 인정되었다. 또한 화학생물공학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우수한 대학, 즉 동경대, 칭화대 등보다 더 좋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계항공공학부도 안정적인 재정 지원 등이 보장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전 세계 10위권 내의 학과로 도약할 수 있을 것 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현재 재료공학부의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서울대공대의 재료공학 분야 경쟁력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2004년의 경우 서울대 전체 1900여명 교수들이 발표한 국제학술지 논문수는 3,116편인데 이중에 재료공학부 40여명(서울대 전체교수의 약 2%)의 교수들이 발표한 논문은 서울대 전체의 10%를 넘는 320편에 달했다. 연구업적의 양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서울대공대 재료공학부는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단적인 예로 가장 최근인 2006년 8월의 경우만 살펴봤을 때 재료공학부의 김상국 교수의 연구 결과는 "Applied Physics Letter"의 표지 노문으로, 그리고 김도연 교수(공대학장)의 연구 결과는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의 표지를 장식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재료공학부의 평가는 상당히 좋으리라고 예상되며 석학평가단이 내일 기자 회견을 갖는다.

해외석학들은 전반적으로 서울대학교의 학생수준에 대해서 아주 좋은 평가를 내렸으나 앞으로 세계적인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한결같이 학생과 교수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 우수한 외국인 학생과 교수의 유치를 위한 노력, 미래를 내다보는 교과과정의 확립, 교수의 연구와 학생에게 필요한 안정적인 재정 지원, 교수 채용 및 승진 제도 보완, 강의 부담의 축소, 능력 중심의 인센티브 제도 등의 현안들을 해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기계항공분야 평가위원장인 Thomas Hahn 교수는 “와서 직접 평가를 해보니 전반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충만한 좋은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수간 협력적 연구의 부족 등이 적절히 보완되면 세계적 수준에서 이 분야를 선도하는 경쟁력있는 대학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화학생물공학분야 평가위원장인 Howard Ted Davis 교수는 “전반적 수준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 큰 발전을 위해 교수의 승진 및 급여, 행정 지원, 강의 부담 등 주요 현안 해결 권한을 학부장, 학장, 총장에게 부여하는 시스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서울대 공대는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2003년부터 공학교육인증(ABEEK) 준비를 시행하여 2006년 5월에 인증심사를 받았으며, 이번 2학기부터 경제, 경영, 법 등의 교양교육과 기업에서의 인턴쉽 교육을 공과대학생에게 실시하는 등 다양한 교육개선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수에 대한 강의법 자문실시, 특허 등 지적재산권의 확보를 위한 기구 확보 등의 자구노력과 함께 2005년에 삼성경제연구소에 의뢰하여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를 수행하는 등 공과대학 교육과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본 해외석학초청 연구력 평가는 바로 이러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다.

기계항공분야 해외석학평가 요약

국내 자동차, 중공업, 조선, 에너지, 환경 분야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이 있으므로 이들 분야의 대표적인 대학인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의 수준이 세계적으로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를 평가받고, 이번 평가를 통해 향후 산업 경쟁력을 유지 및 강화할 수 있는 적절한 고급인력이 대학에서 배출될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기계항공공학부 평가에 참석한 평가단이 8월 3일 서울대 이장무 총장 및 김도연 학장에게 제출한 평가결과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The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MA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ossibly competes well with the top ten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departments in the world in terms of faculty productivity in scientific publications, graduate degrees produced, student quality, and research/education facilities. Overall, the School would almost certainly rank in the top twenty such departments. With sustained faculty performance combined with further improvements in other areas such as ubiquitous global environment on campus, forward-looking curriculum, and stable financial support for faculty research and students, the School can become one of the top ten departments in the world.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는 교수연구업적, 석박사학위 배출 실적, 학생의 질적 수준, 연구 및 교육 시설 등 여러 항목에서 전 세계 기계항공관련 학과들 중 이미 세계 10위권에 들어있다. 또 전반적으로 볼 때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는 현재 확실히 세계 20위권 내에 속한다. 현재의 교수 업적 수준이 유지되는 동시에, 대학의 전체적인 환경, 미래를 내다보는 교과과정, 교수의 연구와 학생에게 필요한 안정적인 재정 지원 등 기타 분야에서 한층 더 발전이 있다면,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는 전 세계 10위권 이내의 학과가 될 수 있다.

기계항공분야 해외석학평가단 구성

Dr. H. Thomas Hahn, 위원장

경력 :
UCLA 기계항공공학과 학과장, UCLA Raytheon 석좌교수
Editor-in-Chief,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President, International Committee on Composite Materials (2005-2007)
Fellow of ASME
Fellow of American Society for Composites

학력 : Ph.D., Penn State University (1971)

Research : Composite structures and materials

Dr. Debasish Dutta

경력 :
NSF 대학원 교육 Division Director, University of Michigan 교수
Program Director of IGERT
ASME Design Automation award (2004)
NSF Director's award for Collaborative Integration (2006)

학력 : Ph.D., Purdue University (1987)

Research :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Dr. Philip Arthur Nelson

경력 :
영국 University of Southampton 부총장, 교수
Director, Institute of Sound and Vibration Research
Fellow of the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Fellow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Fellow of the Institute of Acoustics
Fellow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Presi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Acoustics

학력 : Ph.D., University of Southampton (1978)

Research : Noise and vibration

화학생물공학부 해외석학평가 요약

· 전반적 수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수준이며 세계 20위권

· 교수 승진 및 급여, 행정 지원, 강의 부담 등 주요 현안 해결 권한을 학부장, 학장, 총장에게 부여할 때 전반적인 수준 세계 10위권 도달 예상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평가단의 평가와 자문을 구하였다.

-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는 대학원 과정 활성화 및 대규모 연구비 수주가 1980년대 중반 이후 시작되어 본격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의 역사가 15~20년 정도밖에 안 되는데,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가 이러한 짧은 역사로 같은 분야의 세계 대학들과의 경쟁이 과연 가능한가? 또 가능하다면 현재 수준은 어떠한 정도인가?

- 화학생물공학부가 세계 10위권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들은 무엇인가?

- 학부의 연구 활동 및 생산성은 세계 선도 대학들과 비교할 때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 현재의 연구 분야를 감안할 때, 미래로 갈수록 국제경쟁력의 향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하는가?

- 화학생물공학부가 교수 32명, 학부생 500명, 대학원생 350명 정도의 규모인데, 이러한 규모는 세계 선도 대학으로 자리 잡기에 적절한 규모인가?

- SCI 논문수, 국제학술지 발표의 양적인 면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임이 이미 알려져 있는데, 그 질적인 측면은 어떠한가?

이번 화학생물공학부 평가에 참석한 평가단이 8월 4일 총장 및 학장에게 제출한 평가결과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Given the relative youth of the research/graduate program at SNU,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School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is extremely good with an exceptional level of research effectiveness. The School could well be the best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program in the Asian-Pacific region. It may be or could be in the top twenty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s in the world.

It is poised for emergence into the top ten international departments if the current and future faculty can gain the international visibility that they deserve. A more flexible structure giving the school chair, dean and president greater authority to address key issues in faculty hiring, raises, travel,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in reducing the teaching load to international standards, in merit-based faculty compensation is needed.

서울대학교의 연구 및 대학원 프로그램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일천함을 고려할 때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는 탁월한 수준의 연구 효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의 질과 생산성은 대단히 우수하다. 화학생물공학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최고의 화학 생물 공학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세계 20위권내에 충분히 속할 수 있다. 화학생물공학부는 현재 및 미래의 교수진이 그 능력에 어울리는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는다면 세계 10위권 학부로 부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교수 채용 및 승진, 출장, 행정 구조, 국제 표준에 부합하도록 강의 부담 축소, 능력 중심 교수 급여 등 주요 현안들을 해결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학부장, 학장, 총장에게 현재보다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유연한 체제가 필요하다.

화학생물공학부 해외석학평가단 구성

Dr. Howard Ted Davis, 위원장

경력 :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전 화학공학 및 재료과학과 학과장, 전 공과대학 학장
1995-2005 Dean, Institute of Technology,
1980-95 Head,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nd Materials Science, 1963-present, Professor, University of Minnesota

학력 :
Furman University, B.S., 1959 (Chemistry)
University of Chicago, Ph.D., 1962 (Chemical Physics)

Research :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Statistical Mechanics and Dynamics, Porous Materials, Computer Simulations of Thermodynamics

Dr. David V. Boger

경력 :
맬버른 대학교 교수, 전 화학공학과 학과장, 전 호주레올로지학회 회장
1978-1983, 1990-2004
Australian Delegate on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Rheology (ICR), 1991-2002 Chairman of the Trade Waste Acceptance Advisory Committee,
2000-2003 BHP Billiton Fellow,
President of the Australian Society of Rheology
Program Leader in the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Bioproducts

학력 :
Bucknell University, B.S.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Illinois, M.S.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Illinois, Ph.D.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Rheology, Environmental Engineering (Waste Water Processing and Recycling, Sustainable Technologies), Nano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Tissue Engineering, Microfluidics), Materials and Minerals Engineering (Hydrometallurgy, Flow Process Modelling)

Dr. Michael L. Shuler

경력 :
코넬 대학교 교수, 의공학과 학과장, 전 화학공학과 학과장
Professor, Chair, Samuel B. Eckert Professor, Chemical Engineering with joint appointment in Institute of Food Science, Cornell University, 1974~현재
James and Marsha McCormick Chair of Biomedical Engineering, Cornell University, 2004~현재
Director, Bioengineering Program
Director,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학력 :
University of Notre Dame, B.S., 1969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Ph.D., 1973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Structured Models, Minimal Cell, In Vitro Toxicology, Cell Culture Analogs for Pharmacokinetic Models, Nanobiotechnology, Heterologous Protein Expression Systems, Plant Cell Tissue Culture, Biodegradation and Bioremediation.

재료공학부 해외석학평가단 구성

Dr. Gary L. Messing, 위원장

경력 :
미국세라믹학회 회장, 펜실배니아 주립대학교 교수, 펜실배니아 주립대학교 재료연구소 소장
President, American Ceramic Society, 2002~03
Director, Materials Research Laborator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SU), 1997~2001
Founding Director, NS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Research Center on Particulate Materials at PSU, 1991~97
Distinguished Professor, Ceramic Science and Engineering, PSU, 2002
Professor,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85~

학력 :
New York State College of Ceramics at Alfred University (Alfred) BS 1973 (Ceramic Eng.)
Univ. of Florida (Gainesville) MS 1975 (MSE)
Univ. of Florida (Gainesville) PhD 1977 (MSE)

Research : Nucleation and Crystallization of Chemical Precursors; Inorganic Powder Synthesis, Sintering and Grain Growth, Textured Ceramics, Nanocrystalline Materials

Dr. Thomas P. Russell

경력 :
Univ of Mass at Amherst 석좌교수
Director, Materials Research Science and Engineering Center 1997~
Associate Editor, Macromolecules, 2001-
Fellow,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2
Professor,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1996~

학력 :
Boston State College BS 1974 (Chemistry)
Univ. of Massachusetts at Amherst MS 1976 (Polymer Sci. & Eng.)
Univ. of Massachusetts at Amherst PhD 1979 (Polymer Sci. & Eng.)

Research : Polymer-based nanoscopic structures; Polymer-based nanoparticle assemblies;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ies in thin polymer films; Surface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Polymers; Polymer Morphology; Kinectics of Phase Transitions; Supercritical Fluid/Polymer Interactions

Dr. Robert Sinclair

경력 :
스탠포드대학교 재료공학과 학과장
Chair, 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Stanford University

학력 :
Cambridge University BA 1968 (Materials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hD 1972 (Materials Science)

Research : High resolution electron microscopy, interface structure and phase transformation.

Dr. Ian M. Robertson

경력 :
일리노이 주립대 얼바나 샴페인 대학교 석좌교수 및 재료공학과 학과장
Head, Dep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IUC), 2004~
Professor, Dep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IUC, 1995~
Donald B. Willett Professor of Engineering, UIUC, 2005~
Principal Editor,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1995~

학력 :
Univ of Strathclyde (Glasgow, Scotland) BS 1978 (applied physics)
Oxford University PhD 1982 (metallurgy)

Research : mechanisms of strain transfer across interfaces, dynamics of deformation and fracture in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environments, superplasticity, deformation mechanisms under extreme conditions, deformation in nanograined materials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개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글로벌 산업과 사회의 지도자 육성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s://eng.snu.ac.kr/

연락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대외협력실장 성우제 02-880-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