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광주, 여름철 기온이 내린다

광주--(뉴스와이어)--광주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녹색도시 조성을 목표로 1천만그루 나무심기와 공원내 웰빙숲 조성, 도심속의 푸른 5대 공원조성, 폐선부지 푸른길 공원사업 등 녹화사업과 광주천 정비사업 등을 잇따라 실시하고 있다.

이런 사업들의 성과가 가시화 되면서 실제로 여름철 도심 온도가 조금씩 떨어지는 등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상청 기후자료에 의한 최근 광주지방 여름철(7~8월) 일 최고 기온의 월평균기온을 분석한 결과, 7~8월 기간동안 한여름 기온이 예년에 비해 오히려 내려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의 최근 3년간(‘03~’05) 일최고기온의 월평균을 최근 10년간(‘93~’02)의 일최고기온의 월평균과 비교해 보면 여름철 가장 무더운 7월과 8월의 기온이 각각 -1.0도, -0.5도씩 낮아졌고, 기후평년(‘71~2000)과 비교해도 각각 -0.5도, -0.6도씩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과 직접 관계가 된다고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어렵지만, 지금까지 시민들의 시각적인 면과 피부로 느끼는 분위기로 보면 광주도심이 푸르게 변모된 데 따른 현상도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광주시는 도심지 도로공간 소규모 녹화사업과 담장허물어 나무심기 및 도심내 공공부지이전 소공원사업 등 추진결과, 도심이 한층 푸르고 시원한 도시로 변하고 있다.

시는 1000만그루나무심기 추진계획에 따라 2003년~2005년까지 심어진 290만그루의 나무에 의해 도심내 열섬의 강도가 약화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물과 나무와 예술이 있는 금남로 공원(3,491㎡), 도심을 가로지르는 도심철도 폐선부지 푸른길공원(7.9km, 107,915㎡), 종각이 있는 구.도청앞 소공원(2,102㎡), 화정근린공원(구.국정원 10,228㎡), 상록근린공원(구.도지사공관 18,126㎡)등 총 141,862㎡의 도심공원을 조성했다.

또한, 도시의 가장 중심을 이루고 있는 도로변 녹화로 교통섬 녹화(214,455㎡, 43,300주), 담장허물어 나무심기 및 소공원화 사업(4,539㎡, 46,700주), 가로수조성 및 수벽식재(94,800주) 등으로 총218,994㎡가 늘어나는 등 3년동안 도심지역의 순수한 녹지면적만도 307천㎡ 증가하였다.

여기에 심어진 수목들은 무더위에 지친 시민들에게 시각적 청량감을 주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제공하는 등 시민들이 나무에 의한 온도변화를 체감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의하면 도시의 공원과 녹지는 물의 증발효과와 식물의 증산작용으로 국지적인 기후를 조절하는데 있어 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시는 지난 2003년부터 지난해말까지 100억여원을 들여 폐선부지 푸른 길·화정 및 상무 등 근린공원·교통섬(60곳)·웰빙 숲 등을 조성하면서 290만 그루를 심었으며 올 말까지 식재 목표는 400만 그루(총 사업비 286억원)다.

녹지예산은 토지매입비를 포함하여 지난 2002년 0.5%에서 1.9%(일반회계 기준, 연 123억원)로 4배 증액됐다.

시는 오는 2014년까지 시비 등 900억원을 들여 느티나무·팽나무·회화나무·이팝나무·은행나무·소나무등1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을 계획이다.

도심 내 가로수는 2002년 8만7천 그루에서 목표연도 12만 그루로 37.9% 늘어날 전망이다

임희진 광주시 공원녹지과장은 “대대적인 녹화사업 이후 도심 내 ‘열섬현상’의 강도가 점차 약화되는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보다 정확한 기후분석은 1000만그루 나무심기운동의 반환점이 되는오는 2008년에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과학적인 분석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공원녹지과사무관 장철근
062)613-4190
광주광역시청 공보관실 062-613-213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