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생활의 중심 ‘스마트 의류’ 상용화 실현...산자부, 2006년 신규 중·장기 기술개발 과제 공고
산자부 지원으로 '04년 8월부터 시작된 “미래 일상생활용 스마트의류 개발”(‘04.8~’09.7, 총괄기관: 연세대학교, 총괄책임자: 이주현교수) 사업은 5년간 총사업비 150억원(정부 75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며, 대기업 2개(효성, 코오롱), 중소기업 11개(미광섬유, 삼성전기, 보끄레머천다이징, 에프씨지 등), 대학·연구기관(8개) 등이 참여하고 있다.
동 사업을 통해 2년여 만에 다양한 디지털 기능을 지닌 의류들이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으며, 그 개발 결과물의 일부로서, 가장 먼저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의류가 금년말 출시될 예정이다.
* 동 기술개발 참여기업인 (주)보끄레머천다이징, (주)에프씨지에서 출시 예정
- 의류에 직물신호선, 직물버튼을 내장시켜, 소매에 부착된 직물버튼을 사용하여 mp3 플레이어 작동(mp3·이어폰 제거시 세탁가능)
국내에서 개발될 ‘스마트 의류’는 일반 직물과 다름없는 질감과 촉감을 주면서도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 전도성 섬유재료, 직물신호선, 직물입력장치, 광섬유 직조 원단, 바이오 프로텍션 섬유 등 지금까지 국내에 실현되지 못한 고성능 특수섬유 개발을 추진중이다.
이러한 고성능 특수섬유와 디지털 기능이 부가된 mp3 기능의류, 헬스케어 의류, 발열기능을 갖춘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 광섬유 의류, 디지털 컬러의류, 미아방지용 어린이 내의 등을 제품화해 나가고 있다.
*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 혹한기, 혹서기 등에 온도, 습도, 자외선 등 외부환경과 체온 등 내부상태를 측정하고 발열기능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의류
* 헬스케어 의류: 피트니스 센터에서 입고 운동하는 동안 옷 속의 생체신호 센서를 통해 운동자의 체온, 심전도, 기타 건강관련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피트니스 센터의 서버에 전송하는 피트니스센터용 의류
* 광섬유 의류: 오디오의 이퀄라이저처럼 소리에 반응하며 리듬에 맞추어 빛을 발하는, 자유자재로 옷의 전체 색채 또는 무늬의 색채가 변하는 의류
* 미아방지용 어린이 내의: 어린이가 입을 속옷에 프린트된 컬러코드를 클릭하면 그 어린이의 부모 연락처 등이 휴대 통신기기에 출력되는 의류
이러한 스마트의류 기술개발은 미래패션의 큰 흐름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미국, EU 등과의 기술 및 시장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특히 세계시장은 ‘08년 2억불에서 ’10년 7억불, ‘14년 70억불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우리나라는 세계시장의 20% 이상을 점유(’08년 350억원)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산자부 이재훈 산업정책본부장은 “스마트의류는 전 세계적으로 시작단계에 있는 분야로 핵심기술 선점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고, 디지털 기능이라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의류에 추가한 신종 ‘명품 의류 브랜드’ 창출이 가능하여 유망 수출품목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산자부는 금번 스마트 의류 개발사업의 성과보도를 시작으로 금년 말까지 산자부의 R&D 지원으로 개발 예정인 기술 또는 제품 중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9대 핵심 기술을 선정하여 올해 말까지 매월 2~3회 연속적으로 소개하는 「희망한국 NewTech-NewBiz」 시리즈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시리즈를 통해 기술개발사업이 가져올 보다 편리한 세상의 비전과 먹거리 산업 발굴을 통한 우리 경제에 대한 희망을 제시할 예정이다.
한편, 산자부는 금년도 중장기 기술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보행자 추돌 및 충돌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지능형 충돌예방 안전시스템 개발 등 15개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 간편하고 안전하게 위암수술이 가능한 고화질 입체 복강경 시스템 개발 등 8개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미래형 조명인 OLED 기술을 이용한 면발광 조명 개발 등 4개 차세대신기술개발사업 등 총 27개 미래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키로 결정하고, 기술개발 수행기관(산학연 컨소시엄)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개발 제안서(Request For Proposal)를 8.14(월) 공고하였다.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업, 연구소, 대학 등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9.8(금)까지 산업기술평가원(ITEP) 또는 성장동력사업단에 접수하여야 하며, 산자부는 접수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위원회 평가 등을 거쳐 9월중에 과제 수행기관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 자세한 사항은 산업기술홈페이지(http://www.itech.go.kr/)를 참조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섬유생활팀 황규연 팀장, 문철환 사무관 02-2110-5653
산업기술개발팀 채희봉 팀장, 최형기 서기관 02-2110-5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