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2005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거행
이날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141명, 석사 127명, 학사 129명 등 총 397명이 학위를 받게 된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71년 설립 이래 박사 6,523명, 석사 17,106명, 학사 8,060명 등 총 31,689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되었다.
또한 「20대 박사의 산실」이기도 한 KAIST는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도 박사학위 수여자 141명 중 46.1%인 65명이 20대 박사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KAIST 출신 박사 총 6,523명 중의 43.7%인 2,850명이 20대 박사로 기록되고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박영일 과학기술부차관, 임관 KAIST 이사장 등 내외 귀빈이 참석할 예정이다. 서남표 KAIST 총장은 학사 및 석사 학위자 학부 대표 각 1명과 박사 학위자 전원에게 직접 학위를 수여하고 졸업식사를 하게 된다.
■ 최연소 박사, 생명과학과 김세호씨
이번 졸업생 중 최연소 박사는 생명과학과를 졸업하는 김세호(金世浩, 만 26세, 1980년 2월 19일생)씨며, 학위논문제목은 “시냅스 세포접착 단백질 NGL에 의한 흥분성 시냅스 형성에 관한 연구(Regulation of exciting synapse formation by the trans-synaptic adhesion between netrin-G and NGL)”(지도교수 :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이다. 졸업 후 삼양사 의약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바이오의약분야 연구에 전념할 金씨는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 기존 의약 개발의 한계인 고비용, 저성공률을 극복하고 새로운 유전자 치료약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 국내외 특허 총 12건, 신소재공학과 김경태씨
“꿈의 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라는 신소재를 응용, 고강도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로 과학계의 주목을 받은 김경태(金炅泰, 29)씨도 박사학위를 받는다. 金씨의 박사학위 연구결과는 소재분야 저명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2005년, 2006년 연속 게재되고, 특히 2005년 논문은 저널 심사위원측으로부터 상위 10%내에 속하는 탁월한 연구결과로 인정받았다. 최근 金씨의 연구개발결과가 2006년 과학기술부 지원 우수연구성과 50선에 선정되었다. 金씨는 해외우수저널에 총 8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지난 3년간 박사학위논문과 관련된 연구개발결과로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등에 총 12건의 특허를 출원 및 등록했다. 金씨가 개발한 핵심기술이 유망 벤처기업인 (주)바이오니아와 기술실시계약을 체결, 산학협력의 모범적인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졸업후 독일 드레스덴(Dresden) 고체 및 물질상태 연구소(IFW-Dresden) 에케르트(J.Eckert) 교수 그룹에서 공동 연구를 계획하고 있는 金씨는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재료의 실용화 방안을 연구, 한국이 나노복합재료기술의 세계 선두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金씨의 박사학위논문은 “분자수준 혼합에 의한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재료의 제조공정 및 기계적 특성(Fabrication Proc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Metal Nanocomposites by Molecular Level Mixing)(지도교수 : 신소재공학과 홍순형 교수)이다.
웹사이트: http://www.kaist.ac.kr
연락처
KAIST 홍보팀 042-869-2291~3
이 보도자료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