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2003 건강보험 심사평가통계연보’ 발간

뉴스 제공
2004-11-25 15:44
과천--(뉴스와이어)--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신언항)이 발간한 「2003 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 가입자 4,696만명이 연간 1인당 평균 14.4일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인당 평균 14.4일 의료기관 방문은 2000년 11.8일에 비해 22% 증가한 것이며 특이한 것은 2000년과 비교하여 연령별 진료일수는 5세미만이 13.4% 감소한 반면 5~9세 5.8%, 10대 32.3%, 20대 22.0%, 30대 22.8%, 40대 45.3%, 50~64세 31.9%, 65세이상 노인이 54.7% 각각 증가한 것이다.

노인층을 제외하면 40대가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가장 크게 상승하였는데 주요 원인은 사회경제적 이유로 질병 발생위험도가 높아진 사유 이외에 가벼운 질환이라도 조속히 병·의원을 찾아 조기치료 및 예방하려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9세미만 소아 진료실적이 감소하거나 증가률이 적게 나타난 사유는 저출산·출생아수 감소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구화된 식생활, 음주, 흡연, 과식, 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의 반복으로 인해 질병발생요인이 높아지는 고혈압, 비만, 동맥경화, 폐암등 생활습관 관련 질환으로 지난해 국민의 16%인 752만명이 치료 받았다. 2000년 대비 환자수는 49.8%, 병·의원 방문일수는 54.9% 상승하였다.

주요 생활습관 질환의 2000년 대비 의료기관이용 환자수 증가는 골다공증(89.3%), 고콜레스테롤(80.9%), 고혈압(53.9%), 당뇨병(45.4%), 심장병(29.0%), 폐암(28.7%), 동맥경화(28.5%), 알코올성 간질환(21.3%)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만의 경우 치료 환자수(16천명)는 비교적 적지만 9배(875.7%)나 대폭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전체환자 중 50대가 41.1%, 65세이상 노인 34.6%, 40대 16.5%, 30대 5.5%, 20대 1.6% 19세이하 0.7% 순으로 분포되어 고연령일수록 생활습관 관련 질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른 질병과 달리 비만으로 인한 환자는 19세이하 연령층이 11.8%를 점유하여 청소년 비만현상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습관 관련 질환은 대부분 질병이 악화되기까지는 아무런 자각증상없이 몇 년이고 문제가 없이 진행되는 길고도 조용한 병이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운동과 생활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노인진료비가 총진료비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2000년 17.4%(2조2893억원), 2001년 17.8%(3조681억원), 2002년 19.3%(3조6811억원), 2003년 21.3%(4조3723억원)으로 해마다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이며 진료비 평균 증가율도 24.4%로 총진료비 증가율(12.4%)보다 2배정도 더 높았다.

노인다발생질병은 입원의 경우 ①노인백내장>②뇌경색증>③폐렴>④당뇨병>⑤폐질환 이며 외래의 경우 ①고혈압>②배(背)통>③무릎관절증>④급성인두염>⑤급성기관지염 순으로 나타났다.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한 질병은 위-식도 역류질환 3.2배, 무릎관절증 3.1배, 전정기능의 장애 2.6배, 현기 및 어지러움 2.5배, 치매 2.4배씩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정기능의 장애
인체균형을 유지하는 내이 세반고리관의 기능장애로서 몸의 평형과 자세 유지의 장애 및 현훈(어지러움)등의 증상이 나타남.


연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안학준 7056-050

이 보도자료는 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