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를 선도하는 표준화 백서 발간

서울--(뉴스와이어)--산업자원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원장 한영수)은 기업거래의 표준모델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2006 e-Biz 표준화 백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2006 e-Biz 표준화 백서」는 e비즈니스 표준화 현황과 전망, 그리고 표준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2002년, 2004년에 이어서 세 번째로 발간되는 본 백서는 이런 관점에서 e-비즈니스의 비중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기업, 정부 등의 조직뿐만 아니라 표준화에 참여하는 전문가에서부터 표준을 배우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안내자가 아닐 수 없다.

이번 백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이전의 백서들에 비해서 특정 프레임워크에 치우치지 않고, e비즈니스라고 하는 본래 의미에 보다 충실하게 거시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제1편 개요와 제2편 표준 프레임워크는 비전문가를 위한 내용으로, 전체적인 관점에서 e비즈니스 표준화를 쉽게 소개하고 있다. 제3편 요소기술별 표준화, 제4편 콘텐츠 표준화, 제5편 산업별 표준화, 제6편 국내외 표준적용 사례, 제7편 국내외 표준화 기관 등은 전문가를 위한 내용으로, 구체적인 기술과 표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필요한 부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제3편의 경우를 보면 일반적인 e비즈니스 요소기술 분류를 바탕으로 전자문서, 메시징, 보안, 비즈니스 프로세스, 비즈니스 서비스 인터페이스, 협업 프로토콜, 등록저장소, 전자카탈로그, RFID 등의 요소기술을 각각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두 번째로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이슈들과 이에 대한 전망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제1편 개요에서는 전체적인 소개와 함께 표준화에 관한 정책적 방향과 주요 표준화 이슈 및 전망에 대하여 잘 정리하고 있다. 주요 표준화 이슈로는 표준의 경쟁과 융합, 유비쿼터스 비즈니스와 표준, 표준과 지적재산권, 지불, 보안, 프라이버시, 전자문서 인증과 관리 등을 분석하고, 이에 관한 미래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제3편 요소기술 표준화에서도 e비즈니스 요소기술을 다루면서 세부적인 이슈와 향후 동향을 정리하고 있다.

세 번째로는 e비즈니스 콘텐츠를 e비즈니스 프레임워크나 기술로부터 분리해서 독립적으로 다루고 있다. 제4편에서 보면 전자문서, 코드, 컴포넌트,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과 같은 재사용 가능한 e비즈니스 콘텐츠 자원들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것은 기술이 안정되고 보편화되면서 사용자의 관심이 기술로부터 콘텐츠로 옮겨가는 일반적인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표준화된 콘텐츠의 재활용이 복잡한 e비즈니스 적용 현장에서 매우 중요함을 인식할 때 시의적절하다고 하겠다.

네 번째로는 e비즈니스 표준화에 참여하시고자 하는 분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제5편 산업별 표준화나 제6편 표준 적용 사례에서는 이전 백서에 비해서 그 종류나 깊이가 보강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7편에서는 국내외 표준화 기관의 업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부록으로 제시된 전자거래진흥원의 표준화사업에 대한 안내도 이런 방향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전의 백서에 이어 계속되는 대중화를 위한 노력이 돋보인다. 전문적인 관련 용어의 한글화와 한글 용어 통일을 기반으로, e-비즈니스 표준화와 관련된 기본적인 용어와 개념을 설명하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각 표준화의 개념과 적용 원리는 물론, 적용사례와 향후 방향까지 대부분의 내용을 도해를 통해 가능한 쉽게 설명하는데 노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비즈니스 표준화의 기본 개념부터 표준화 현황, 주요 이슈와 전망, 국내외 적용 사례, 관련 솔루션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2006 eBiz 표준화 백서』는 e비즈니스를 실현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과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자가 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kiec.or.kr

연락처

표준개발 김경인 연구원 02-528-5792
전자거래진흥원 02-528-571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