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시들음병’ 초기에 잡는다

대전--(뉴스와이어)--산림청(청장 서승진)에서는 지난 9월말까지 전국 일제조사를 통해 파악된「참나무시들음병」감염목 13만그루에 대하여 확산초기인 현 시점에서 완전방제를 위해「참나무시들음병 방제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각 시·도 및 지방산림청에 시달하면서 단계별 추진대책에 따라 금년 12월말까지 제1단계로 37천여그루에 대해 긴급방제토록 하였다고 밝혔다.

산림청(청장 서승진)에서는 최근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하여 전국 9개 시·도 61개 시·군·구에서 13만여그루가 동시다발로 발생한「참나무시들음병」에 대한 방제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각 시·도 및 지방산림청에 시달하고 단계별 추진대책에 따라 금년 12월말까지 제1단계 37천그루를 긴급방제토록 하고 방제예산 13억원을 투입하였다고 밝혔다.

효율적인 예산집행을 위하여 신규발생지가 많은 서울시·강원도를 비롯한 8개 시·도, 지방산림청은 피해도「중·경」인 감염목까지 20천여그루를 완전방제하도록 하고 피해가 심한 경기도는 고사목 17천여그루에 대해 서울시와 강원도 경계에서 피해지역 중심방향으로 압축방제해 나가기로 하였다.

참나무시들음병은 병원균(레펠리아속 곰팡이)이 주로 참나무류(특히 신갈나무)에 감염되며, 나무속에서 번지면서 도관을 막아 수분 상승이 차단되어 나무를 죽게 하는 무서운 병이라고 밝혔다.

이 병원균을 옮기는 매개충(광릉긴나무좀)은 5월 중순부터 나타나서 나무줄기의 하단부에 주로 구멍을 뚫고 들어가며 암컷이 구멍 속에 산란한 후 곰팡이를 감염시키고 공생하는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유충)는 구멍 속에서 번식하는 곰팡이를 먹고 자라는 습성을 갖고 있다.

이 병에 감염된 나무는 7~8월경부터 빠르게 시들어 말라 죽으며, 감염목 줄기에 매개충이 침입한 구멍(직경 1㎜정도)이 보이고 구멍 주변과 뿌리 부근 땅 위에 목분 배출물이 많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는 2004년 8월에 경기도 성남시 속칭 “이배재”에서 처음 발생된 병이며, 매개충(광릉긴나무좀)은 1935년에 처음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는 2004년에 처음 발생된 병이라 제대로 연구된 방제기술이 없어 많은 어려움을 겪어오다 지난 8. 30일 서울 노원구 (태릉 삼육대학교 내) 피해 현장에서 갖은 실무자 토론회를 계기로 그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추진한 연구 시연사업 결과 등을 기초로 체계적인 방제 기본원칙을 정하고 단계별 추진대책과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단계별 추진대책으로는 금년 12월말까지 신규발생한 시·군·구는 피해도「경」까지 전량 방제하고 기존발생지 시·군·구는 고사목과 피해도「심」인 생입목까지만 우선 방제하기로 정하였다.

한편 초기단계에서 완전방제를 위해 고사목과 피해도「심」인 생입목은 벌채한 후 훈증 또는 소각방법을 적용하고 피해도「중」이하는 신규발생한 시·군·구와 기존발생한 시·군·구를 구별하여 훈증·소각 또는 약제주입방법을 병행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적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세부추진계획에서는 방제 추진체계 강화를 위한「지역통합방제」와「숲가꾸기 병행방제」를 추진하고「구역별책임방제」시행 및 지도감독을 강화하여 방제작업 품질을 향상시켜 나가기로 하였으며, 현장중심의 연구개발 촉진과 실효성 있는 예찰·방제체계를 확립해 나가면서 국민 참여를 통한 현장 중심의 체험 홍보로「참나무시들음병」피해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많은 국민의 동참을 유도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방부와 문화재청 그리고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유관기관에 대하여도 군사시설보호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및 국립공원 내 산림에서 발생되는「참나무시들음병」에 대해 초기단계에서 완전방제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였다고 밝혔다.

산림청 개요
1967년에 설립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외청이다. 산림의 보호 육성, 산림자원의 증식, 우량종묘 개발 및 보급, 산림사고 및 병충해 방지, 야생조수의 보호, 목재 수급의 조정, 해외산림자원 개발 및 임산물 수출입 등의 업무를 관할한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임업정책국, 국유림관리국, 사유림지원국, 기획관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산림항공관리소와 5개 지방산림관리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forest.go.kr

연락처

산림병해충방제과 이상인 042-481-4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