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독도연구소, 前일본외교문서 편찬위원 스미오 교수 초청강연회 개최

경산--(뉴스와이어)--10월은 ‘독도의 달’이다. 지난해 7월 경북도의회(의장 이상천)는 일본 시마네(島根)현의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 조례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매년 10월을 ‘독도의 달’로 정하는 조례를 제정한 바 있으며 올해로 1주년을 맞았다.

이에 대학연구소 최초로 독도에 관한 학제적(inter-displinary) 연구를 시작한 영남대 독도연구소(소장 김화경, 국어국문학과)는 27일 오후 2시, 인문관 312호에서 ‘독도의 날 기념 초청강연회’를 열고 독도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강연 제목은 ‘국경문제의 타개를 위해서’. 초청연사는 일본외교문서 편찬위원을 역임한 바 있는 쓰쿠바(筑波)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과 하타노 스미오(波多野 澄雄, 59, 국제정치경제학전공) 교수.

그는 이날 강연에서 한-일간의 독도 문제를 비롯해 러-일간의 북방 4개 도서 문제, 중-일간의 센카쿠제도 문제 등 현재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3대 국경문제를 발전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그는 중국과 러시아, 중국과 베트남이 ‘50대 50’ 방식으로 국가간 분쟁을 야기했던 국경문제를 해결했음에 주목하면서, 분쟁지역을 면적으로 균등하게 나누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실질적 이익을 존중하면서 쌍방이 타협한다는 의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일본처럼 2차 세계대전 패전국으로서 전후 10만㎢를 잃은 독일이 어떻게 국경문제를 극복했는지도 주목한다. 그는 1970년대 독일이 소련, 폴란드와의 무력행사금지 조약, 국교정상화 조약을 각각 체결하고 이미 기정사실화된 국경은 당분간 변경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함으로써 유럽의 긴장완화를 촉진했고 최종적으로 독일 통일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독일의 사례에서 일본 정부의 “고유한 영토” 개념이 설득력 낮은 생각이라고 비판한다. 즉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 적혀있는 “다케시마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도, 국제법상으로도 명백하게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이다”라는 문구에서 ‘고유한 영토’를 ‘과거에 외국의 영토가 되었던 적이 없는 지역’으로 이해하고 있는 일본의 인식이 세계사에 비추어 보았을 때 보편적이지도, 통용 가능한 것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그는 “국경문제, 즉 영토문제는 ‘제로섬(zero-sum)게임’이 아니라 ‘윈-윈(win-win)게임’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며, 그러한 인식 위에서 안전보장, 에너지, 경제협력, 문화 등 영토 이외의 문제를 포괄하는 패키지 교섭을 하고 그 안에 영토문제를 포함시키는 방식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동북아의 국경문제 해결움직임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토문제에 대한 타협과 양보가 동아시아 전체의 이익과 안정에 연결된다고 하는 확실한 전망이 필요하다”면서 “가까운 장래에 중국과 한국, 극동 러시아까지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공동체’가 현실화되던지, 아니면 공동체에 이르는 프로세스가 명확해진다면 동아시아 전체의 평화와 이익이라는 큰 목표를 위해 영토문제에서 서로 타협하고 양보하는 움직임이 생겨날 것”이라는 견해를 밝힐 전망이다.

한편 다음달 2일부터 6일까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연구회’ 회원들이 한국을 방문해 울릉도과 독도를 직접 방문할 계획인 등 일본의 독도영유권 망언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행적들은 계속되고 잇다.

이러한 가운데 영남대 독도연구소는 다음달 24일 한국과 중국, 러시아의 저명학자들을 초청해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근거 없는 일본의 영토주권 주장에 대한 공동의 대응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독도문제를 비롯해 동북아지역의 평화협력과 공존에 장애가 되고 있는 국경문제를 보다 폭 넓고 발전적 시각에서 심도 있게 다룰 것으로 기대된다.

웹사이트: http://www.yu.ac.kr

연락처

영남대학교 비서홍보팀 이원영 053-810-101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