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국내 벤처기업들의 인터넷마케팅 실태’ 조사

대구--(뉴스와이어)--국내 287개의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대상으로 인터넷마케팅을 어떻게, 어느 정도로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정부기관으로부터 지원이 필요한 분야: 자금이 44.2%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홍보.마케팅(24.5%), 인력(12.9%), 기술(11.9%) 등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의 주요 방법으로는 (1)홈페이지의 검색엔진 등록, (2)언론홍보 및 매체광고를 통한 홈페이지 방문유도, (3)이메일 마케팅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마케팅을 위한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체의 37.6%가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의 26.6%가 타 기업과의 공동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을 수행함으로 인해서 기업 및 브랜드의 인지도 증가에는 도움이 되고 있지만. 매출증대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조사목적

본 조사는 국내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인터넷을 활용한 마케팅을 어떻게 혹은 어느 정도로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즉, 벤처기업의 기술 및 제품에 대한 홍보와 판로개척을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을 어느 정도로 하고 있으며, 인터넷마케팅의 성과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조사방법

전국에 있는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을 대상으로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를 메일로 발송하여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287개의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조사에 응하였으며, 통계패키지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주요 결과

(1) 설문응답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의 특성

① 창업기간: 3-5년이 전체의 3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1-2년(26.5%), 1년 미만(19.2%), 6년 이상(15.3%)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즉, 전체의 54.4%가 창업기간이 3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② 직원 수: 4-5명이 전체의 25.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명 이하(22.6%), 6-10명(20.2%), 11-15명(13.6%), 20명 이상(11.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즉, 전체의 51.9%가 직원 수가 6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③ 업종: IT.CT산업이 전체의 35.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전기.전자부품제조업(22%), 기계.장비제조업(10.1%), 기타 제조업(8%), 디자인 산업(5.9%) 등으로 조사되었다.

④ 소재지: 설문조사에 응답한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 중에서 소재지가 대구경북인 경우가 95.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⑤ 자본금 규모: 5,000만-1억 미만이 37.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5,000만원 이하(26%), 1-3억 미만(20.4%), 3억 이상(16.1%) 등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의 63.5%가 자본금이 1억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⑥ 창업보육센터 입주여부: 전체의 87.8%가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2%는 외부에 독립사무실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⑦ 정부기관으로부터 지원이 필요한 분야: 자금이 44.2%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홍보.마케팅(24.5%), 인력(12.9%), 기술(11.9%) 등으로 조사되었다.

(2)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의 추진실태

① 홈페이지 보유여부: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에서 인터넷마케팅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홈페이지가 개발되어 있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홈페이지의 운영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의 73.3%가 홈페이지를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6.7%는 현재 홈페이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가장 중요한 컨텐츠: 제품소개가 47.9%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회사.대표자 소개(21.9%), 회원서비스(A/S, 커뮤니티 등, 10.4%), 기타 유용한 컨텐츠(8.7%), 온라인 쇼핑(6.6%), 생활/비즈니스 정보제공(4.5%)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③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의 주요 방법을 우선 순위의 순서로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1위(34.3%): 홈페이지의 검색엔진 등록
2위(24.8%): 언론홍보 및 매체광고를 통한 홈페이지 방문유도
3위(12.3%): 이메일 마케팅
4위(7.6%): 포인트제도, 컨텐츠 제공 등을 통한 홈페이지 재방문 유도
공동5위(6.5%): 타 사이트 배너등록 혹은 배너교환
공동5위(6.5%): 타 사이트 게시판 등록

④ 인터넷마케팅을 위한 브랜드 보유: 인터넷마케팅을 위한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체의 37.6%가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38.7%는 향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타 기업과의 공동마케팅 진행: 현재 전체의 26.6%가 공동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동마케팅의 진행 형태를 살펴보면, 배너교환 혹은 공동쇼핑몰 등을 통한 제품의 공동홍보 및 판매가 전체의 39.6%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웹 컨텐츠의 공동개발 및 사용(23.8%), 기업 간 공동브랜드 사용(23.1%), 제품의 공동배송(6.5%)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3) 인터넷마케팅의 추진방향(혹은 원칙)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인터넷마케팅을 추진하는 방향(혹은 원칙)에 대해 우선 순위에 따라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 항목별로 5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평균점수를 산출하였다 *)

1위(3.51점): 타겟(목표) 고객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공동2위(3.43점): 고객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한다.
공동2위(3.43점): 상품의 홍보보다는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
4위(3.35점): 고객의 정보를 분석하고 활용한다.
5위(3.34점): 제품특성에 맞는 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인터넷마케팅을 수행한다.
6위(3.27점): 단순한 상품홍보용의 인터넷홈페이지 이상을 추구한다.
7위(2.78점): 타사와의 공동마케팅을 수행한다.

위에서 보면, 많은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타사와의 공동마케팅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인터넷마케팅의 성과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포함)들이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을 수행함으로 인해서 얻은 효과를 우선 순위에 따라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 항목별로 5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평균점수를 산출하였다 *)

공동1위(3.36점): 기업 및 브랜드의 인지도 증가
공동1위(3.36점): 마케팅 시간 및 공간 제약사항 감소
3위(3.35점):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원할
4위(3.32점): 제품 신뢰도 증가
5위(3.31점): 홈페이지 방문 수 증가
6위(3.19점): 인력 절감
7위(3.16점): 마케팅비용 절감
8위(3.14점): 매출증대
9위(3.05점): 타 기업과의 제휴 및 유대강화

4. 결론

국내의 벤처기업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넷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나름대로 소기의 성과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터넷마케팅이 매출증대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기업과의 공동마케팅에 있어서도 전체의 26.6%만이 공동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인력이나 자금력 등에 있어서 열악한 벤처기업들의 경우에는 타 기업과의 공동마케팅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판로개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이 매출증대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된 것에는 단순히 (1)홈페이지의 검색엔진 등록, (2)언론홍보 및 매체광고를 통한 홈페이지 방문유도, (3)이메일 마케팅과 같은 소극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것에도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넷마케팅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설문조사는 계명대학교 학생들의 도움을 받아서, 계명대학교 벤처창업보육사업단(단장 김영문교수)에서 실시하였다.

웹사이트: http://www.kubic.co.kr

연락처

053-620-203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