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명옥의원, “상장 제약사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5.3% 불과”
이는 안명옥 의원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상장 제약기업의 광고선전비 및 R&D 투자 규모’를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
2005년도 55개 상장 제약회사 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LG생명과학’(매출액 대비 R&D 비율 29.4%)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에스텍파마’(19.7%), ‘녹십자백신’(17.2%), ‘바이넥스’(10.0%) 순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이 10%를 초과하는 경우는 55개 상장회사 중 4개 회사에 불과하며, 이들은 모두 국내 매출액 순위 10위권 밖에 해당하는 제약회사들이었다.
55개 상장제약회사 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이 높은 상위 15개 제약회사의 평균 연구개발비는 1,345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9.7%에 해당된다. 또한 연구개발 투바비율이 높은 상위 15개 회사 중 매출액 순위 10권에 내에 드는 제약회사는 4개 회사(한미약품, 대웅제약, 녹십자, 종근당)에 불과하다.
2005년도 55개 상장 제약회사 중 매출액 대비 광고선전비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매출액 순위 20위에 해당하는 태평양 제약으로 10.8%였다. 다음으로 일동제약(10.2%), 삼천당제약(10.0%), 동화약품(9.3%), 대화제약 순이었다.
매출액 대비 광고선전비 비율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보다 높은 제약회사는 55개 상장 제약회사 중 22개였다. 이들 제약회사들의 연구개발 투자비율은 평균 3.1%에 불과했다.
특히, 매출액 순위 1위인 동아제약은 광고선전비가 462억원으로 매출액(5,336억원)의 8.7%를 차지했으나 연구개발 투자비(229억원)는 광고선전비의 절반수준(4.3%)에 불과하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관련해, 안명옥 의원은 “2005년도 보건산업진흥원 조사결과, 우리나라 의약품 기술수준은 미국과 같은 최고 기술국에 비해 60%수준으로 기술격차 연수가 4.1년이었다”며, “보건의료산업의 핵심인 제약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안명옥 의원은 “연구개발 투자야말로 제약기업 발전의 관건이며, 특히 한미 FTA 협상으로 인한 시장변화 등 국내 제약산업의 위기가 가중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국내 제약산업 보호를 위한 각종 대책과 더불어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웹사이트: http://www.amo21.net
연락처
국회 안명옥의원실, 02-784-0929
-
2007년 10월 21일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