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성 골절환자 10명 중 7명, “골다공증 진단 받은 적 없어요”

서울--(뉴스와이어)--골다공증의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이라고 알려져 있는 골절을 경험한 환자들에게서 조차도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골다공증학회(회장 임승길 연세의대 교수)와 대한골대사학회(회장 김기수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골다공증 조기진단의 중요성 및 골다공증성 골절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 9월 25일부터 10월 20일까지 전국 13개 병원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 265명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절을 경험한 환자 10명 중 7명이 골절을 경험하기 전 정기적인 골밀도 검진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골다공증 조기진단에 대한 인식이 지극히 낮은 수준이었다.

골절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 10명 중 6명은 골절 후에도 골다공증 질환을 의심한 적이 없으며 골절 후 골밀도 검사를 한 환자가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특히 골다공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기 보다는 골절 증상에 대한 외과적 처치(37%) 및 식습관 개선(30%)에만 치중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골다공증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기대 수준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해 일상생활에 끼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골절 재발 우려(48%)나 외출시 불편함(47%) 등 육체적 고통 뿐만 아니라 심리적 위축감, 우울증 등 정신적 스트레스(25%)도 상당한 것으로 응답, 골다공증의 폐해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골절 경험 이후에도 골다공증의 합병증에 대한 우려를 하는 환자는 조사 대상의 5%에 불과했다.

대한골다공증학회 임승길 회장은 “환자가 골절을 경험했다는 것은 골다공증이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를 말한다”면서 “골절로 인한 육체적인 고통 못지 않게 심리적인 위축감도 크기 때문에 50대 이상 폐경여성들이라면 매년 골다공증 정기검진을 통해 골절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라고 밝혔다.

골다공증은 50세 이상 폐경 여성의 30%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으로, 지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0세 이상 인구의 고관절 골절 추이 조사에 따르면 5년 사이 골절 증가량은 여성의 경우 2.3배, 남성은 1.8배 늘었고, 손목뼈 골절의 경우도 남녀 모두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골대사학회 김기수 회장은 “골다공증은 소리없이 찾아오는 침묵의 질환으로 간과되기 쉬운데, 조기진단을 통해 골다공증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골다공증학회와 대한골대사학회는 10월 20일 세계골다공증의 날을 기념해 10월 한 달을 골다공증 인식의 달로 정하고, 골다공증 조기진단 및 골절 위험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대국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골다공증학회 개요
대한골다공증학회는 다학제를 표방하며 매진한 결과 최근에는 학문적으로 내과, 산부인과, 기초의학, 정형외과, 가정의학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ECTS, 일본의 JOS학회, 중국의 내분비학회 및 노인병학회 산하 골다공증 분회와 신뢰를 쌓아가고 있어 한중일간 심포지움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eanosteoporosis.or.kr

연락처

KPR 홍보대행사 김은영 차장 02-3406-2258 정연미 대리 02-3406-224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