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기자협회 성명-인터넷언론 노동자들을 벼랑 끝에 세운 부도덕한 사주를 규탄한다

서울--(뉴스와이어)--인터넷기자협회 소속사인 <시민의신문>의 이형모 전 대표이사의 성추행 사건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한동안 잠잠하다 싶었더니 다시 이형모가 화려한 컴백을 했다는 <뷰스앤뉴스>의 보도까지 나오고 있다. 개탄스럽지 않을 수 없다.

시민사회와 언론계의 유력 인사들로 구성된 시민의신문 이사회는 도덕성과 대의명분, 원칙과 상식으로 시민사회를 발전시키고, 사회를 개혁해야 하는 막중한 책무가 있다. 뿐만 아니라 법을 지키고, 사회적 약자인 여성의 모성과 인권을 보호해야 할 언론인으로서의 공적 책무가 있다.

<프로메테우스> 보도에 따르면 시민의신문 이사회는 이형모의 성추행 사건에 대해서 '사퇴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사표를 반려했을 뿐 아니라 이사들은 시민의신문 파행 책임을 노조와 직원들에 전가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본분을 망각한 행동이 아닐 수 없다.

이사회가 제 식구 감싸기 행태를 보이는 가운데 이형모는 자신의 빚만을 상계 처리해 시민의신문을 훌훌 떠났고, 5억여원에 달하는 부채를 남겨놓았다고 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가?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기업 경영을 잘못하거나 자신의 부도덕한 비리로 인해 기업에 막대한 손실을 끼쳤을 때 해당 CEO는 사회적, 법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단죄를 받고 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시민의신문 이사회는 이런 기본 상식마저도 저버리고 있는 셈이다.

지금 시민의신문 노동자들은 차가운 초겨울 날씨에 20여일 넘게 정상화를 촉구하는 농성과 실천행동을 벌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어려운 생존권 박탈 위기에서도 굴하지 않고, 시민의신문을 정상화해서 시민사회를 위한 정론지, 시민을 위한 언론매체로 만들기 위해서 눈물겨운 투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는 이형모 전 대표에게 분명히 요구한다. 이형모는 자신이 관계하고 있는 시민사회와 관련된 모든 단체와 언론사의 임원직을 즉각 사퇴하고, 시민사회와 언론계에서 전면 퇴진해야 한다.

특히 이형모 전 대표는 자신의 부도덕한 성추행으로 인해 빚어진 일련의 사태로 막대한 부채를 짊어진 채 생존권 박탈에 놓인 시민의신문 언론노동자들에게 대해서 진심으로 사죄하고, 그들의 생계 보장과 시민의신문 회생을 위한 금전적인 보상 조치를 이행해야 할 것이다.

그는 한 해에만 1억3천여만원에 달하는 급여 및 인센티브 등을 받아 갔다고 한다. 시민단체 공동신문을 표방하는 시민의신문 사주로서 취할 도리가 아니다. 이런 행동은 언론사를 공적 사회적 자산으로 본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이윤 추구를 위한 사기업으로 이용한 것이 아닌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이형모는 현재 시민의신문 최대 주주로 알려지고 있다. 그와 관계인사의 지분이 30%를 넘는다고 한다. 그들의 불참으로 인해 시민의신문은 최근 임시주주총회마저 무산됐다. 그가 지분을 소유하는 한 시민의신문 경영 정상화와 직원들의 생존권 확보는 요원해 보인다. 따라서 이형모는 도의적인 차원에서라도 자신이 소유한 시민의신문 지분을 전면 시민사회와 언론계 또는 시민의신문 노동자들에게 기부하거나, 매각해 시민의신문 정상화에 기여해야 한다.

우리는 또한 시민의신문 이사회가 사장추천위원회 즉각 구성과 부채 해결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이형모 전 대표와 시민의신문 이사회가 시민사회와 언론계를 여망과 시민의신문 노동자들의 생존권적 요구를 외면할 경우, 협회 차원에서 강력하게 대응할 뜻을 천명한다.

2006년 11월 9일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웹사이트: http://www.kija.org

연락처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사무처 02)725-500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