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상자료원, 12월 주말의 명화 ‘2006 고전영화관 Again’ 展 선보여
<반도의 봄>(1941)주5일 근무제에 따른 토-일 휴무에 발맞추어 직장인과 가족 관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매달 주말마다 대중적인 고전영화들을 선보여 온 ‘주말의 명화’의 12월 프로그램명은 “2006 고전영화관 Again”展이다. 고전영화관의 상영작 중 ‘히트작’이라 할 수 있는 작품들을 모아 현재적 의미를 되새기기 위한 기획이다.
<춘몽>(1965)상영작 중 <미몽>(양주남, 1936)과 <반도의 봄>(이병일, 1941)은 한국영상자료원이 2005년에 수집한 초기 극영화들로, 문예봉이 분한 파격적인 여성상과 당대 영화제작 현실에 대한 세련된 연출로 각각 유명세를 탄 작품들이다. 이와 함께 미국인 버튼 홈스가 촬영한 19세기말 조선의 모습이 담긴 <한국-KOREA>, 일본 감독 스미즈 히로시가 조선총독부의 의뢰로 연출한 40년대 서울에 대한 기록영화 <경성> 등 초기 기록영화들을 만나는 자리도 마련되어 있다.
유현목 감독의 <춘몽>(1965)과 이두용 감독의 <최후의 증인>(1980)은 검열로 인해 삭제된 부분들을 복원한 작품들로, 복원판 공개 이후 영화팬들의 큰 관심을 모았던 작품들이다. 이와 함께 5월에 개최된 이만희 감독 전작전 관객투표에서 각각 1, 3위로 ‘재발견’된 작품들인 <생명>(1969)과 <태양 닮은 소녀>(1974)도 현재적인 의의가 큰 작품들.<닫힌 교문을 열며>(1992)
독립영화의 고전적인 작품 <닫힌 교문을 열며>(1992)와 배용균 감독의 ‘장인적’ 기질이 드러나는 작품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1995)은 필름이 아니면 볼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계속된 재편성 요청이 있었던 작품들이다. 공포영화의 고전인 <깊은밤 갑자기>(고영남, 1981), <목없는 여살인마>(김영한, 1985) 역시 공포영화팬들의<깊은밤 갑자기>(1981) 열화와 같은 성원으로 다시 만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최무룡 감독의 <피어린 구월산>(1965)과 <나운규 일생>(1966), 고영남 감독의 <마지막 정열>(1965), 이규웅 감독의 <마지막 황후 윤비>(1966), 나봉한 감독의 <문정왕후>(1967)는 50~60대 이상의 올드 팬들의 취향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12월 마지막주를 제외한 매주 주말 오후 2시, 4시30분에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료는 2,000원(경로 우대 1,000원)이다.
웹사이트: http://www.koreafilm.or.kr
연락처
한국영상자료원 홍보담당 민병현 02-521-3147 (202) 019-9727-7630 이메일 보내기 FAX: 02-582-6213
-
2009년 9월 20일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