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71.3%, 한중 FTA 체결 지지

서울--(뉴스와이어)--전경련은 국내 기업들은 한미 FTA 체결은 물론 중국과의 FTA 체결을 적극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비스 기업은 83.6%가 중국과의 FTA 체결을 원해

전경련이 최근 주요 회원기업 및 상장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한중 FTA 기업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기업(415개사)의 71.3%가 한중 FTA 체결을 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서비스 기업은 83.6%가 중국과의 FTA 체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FTA 체결시 수출증대 및 경쟁력 제고 기대

전경련은 한중 FTA 체결을 찬성하는 기업들은 수출환경 개선을 통한 대중 수출증가(50%)를 가장 큰 이유로 제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중국시장 점유확대로 인한 경쟁력 제고(38.2%), 외국 및 중국기업들의 국내 직접투자확대(6.8%) 등을 이유로 들었다고 밝혔다. 반면에 한중 FTA 체결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기업들은 수입증가로 인한 국내시장 점유율 하락과 국내 취약산업의 기반약화를 그 이유로 들었다.

3년 이내 중국과 FTA 체결 희망 기업 많아

FTA 추진시기와 관련하여, 향후 2-3년 이내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중기(4-5년 이내) 35.1%, 장기(5년 이후) 20%, 조기(1년 이내) 6.3%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후생, 국내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 기대

기업들은 한중 FTA가 체결되면 수출을 비롯하여 국내경제 전반에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중 FTA가 수출 및 국내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힌 기업은 각각 87.4%, 70.3%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기업들은 소비자 후생증대(67.7%), 국내투자 유치(55.4%)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활동과 관련해서는 통관절차 간소화로 인한 무역비용 경감(39.3%)과 고관세 철폐(37.4%)가 가장 큰 기대효과로 제기되었으며, 이밖에 반덤핑 등 무역구제조치 완화(19.5%)와 지재권 등 각종 제도개선을 기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중 FTA 추진시 기업들은 활용전략으로 신규사업 진출과 투자확대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시장 확보에 따른 신규사업 진출이 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중국 현지투자 확대(26.5%), 특혜 원산지 적용을 위한 해외부품 조달선 중국으로 전환(10.4%)이 그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한중 FTA 추진시 양국간 무역 및 투자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대 중국 시장진출을 위해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수입증가로 인한 국내시장 점유율 하락과 국내 취약산업의 기반 약화도 우려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전경련 FTA팀 김용옥 팀장 02-3771-032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