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마이크로, 2007년에 웹 위협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TrendLabsSM에서 수집 및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6년, ID 도용, 기업 스파이 활동 및 부당 취득은 주로 조직적인 범죄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표적 공격을 실행하고자 하는 공격자들 사이에 봇넷(Botnet)이라는 신종 공격이 큰 인기를 누렸다. 다가올2007년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악의적 공격을 포함한 웹 기반 위협의 증가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겨냥한 공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의 인터넷 대역폭 증가로 인해 미디어 파일, 최첨단 프로그램 그리고 기타 데이터 유형의 다운로드가 널리 확산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악의적인 공격자들이 악성 코드를 숨기기 위해 점차 공용 네트워킹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으며, 의심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감염 루틴을 실행하게 된다.
대다수의 공격들은 여전히 금전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특히 2006년에는 이미지 스팸이 기승을 부렸다. 이미지 스팸은 이미지 내에 광고성 문구를 넣음으로써 메일 제목이나 내용으로 스팸을 분류하는 컨텐츠 필터링을 쉽게 비껴갈 수 있는 수법이다. 또한 올해는 스파이웨어 및 악성 코드 개발 그룹과 해커들이 손을 잡고 가정 및 기업 사용자들로부터 부당하게 금전적인 이익을 취득한 것도 특징이다.
2006년에는 전세계적으로 글로벌하게 확산되는 바이러스 공격이 사라진 대신, 소규모의 표적 공격이나 국지적 지역 공격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이 소규모 표적공격은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 그룹과 같은 특정 집단을 집중적으로 겨냥하여 감행된다. 국지적 지역 공격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지만, 목표 지역과 국가에서만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악성코드들을 이용하여 공격을 감행한다. 이는 분명 소수의 특정 그룹에게 영향을 미치고 여러 악성코드를 결합하여 혼합형의 위협을 만든다는 점에서 기존의 바이러스 감염과 확연하게 구별된다.
트렌드마이크로는 2007년 이후에도 공격자들이 이러한 추세에 편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트렌드마이크로의 2006년 위협 보고서 및 2007년 예측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디지털 위협은 전년 대비 약 163% 증가했다.
- 웹 기반 위협은 지난 12월 이후 약 15% 증가했다. 올해 약 50만 건 보고
- 스파이웨어와의 전쟁은 최고점에 도달한 것처럼 보이며, 일부 애드웨어는 클릭 사기(click fraud)의 출현으로 “악성 코드”로 전락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 트렌드마이크로는 매달 평균 2백만 여 종 이상의 스팸이 인터넷에 범람하는 것을 확인했다.
- 봇(bot)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12월 이후 평균 15%의 증가를 기록했다(매달 14만 개 이상의 봇(bot)이 등록됨).
수석 위협 분석가인 제임즈 야네자(Jamz Yaneza)는 “컴퓨터 범죄가 조직적인 범죄로 발전하면서 개인 공격자들의 단순한 “공격 게임”은 사라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금전적 이익을 공격의 주요 목적으로 간주하고, 대규모로 발생했던 공격이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교묘하게 작성된 공격으로 변화된 과정을 확인했다. 보이지 않는 웹 공격이 성숙 단계에 도달하고 있으며, 혼합형 위협을 통해 기업 및 개인 데이터를 도용하거나 금전적 이익을 얻으려는 시도가 점차 교활해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다운로드 및 설치할 항목에 대해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개인사용자에게 권장하는 보안 수칙
- 소프트웨어 설치를 요구하는 웹페이지를 주의할 것. 신뢰할 수 없는 페이지와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설치를 허락하지 말 것
- 인터넷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때 업데이트된 안티바이러스 및 안티스파이웨어 툴을 이용해 스캐닝할 것
- 발신자에 관계없이 예기치 않은 혹은 이상한 이메일을 경계할 것. 특히 그 메일의 메일 내용에 포함된 링크나 첨부파일을 열지 말 것
- 윈도우 운영시스템의 "자동업데이트" 기능을 항상 켜둘 것
- 항상 안티바이러스 실시간 스캐닝 서비스를 받을 것
트렌드마이크로의 2006년 위협 동향 및 2007 전망 보고서의 원본은 http://www.trendmicro.com/en/security/white-papers/overview.ht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trendmicro.co.kr
연락처
한국트렌드마이크로 서운계 차장 (02)2188-8224 이메일 보내기
-
2006년 11월 29일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