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국내 T-Commerce 키워드는 ‘CRM’

서울--(뉴스와이어)--데이터방송 및 T-Commerce 컨설팅 업체인 티컴미디어(대표 김현희)에서는 2007년 국내 T-Commerce의 주요 키워드는 "CRM"으로 분석하였다.

- "정보+커뮤니티+커머스"의 결합

올 한해 T-Commerce와 관련하여 CJ, GS, 현대 홈쇼핑등에서 T-Commerce를 시작하였고 최근 하반기 들어 2007년 상반기를 목표로 주요 CP업체들이 다양한 정보와 결합된 T-Commerce를 준비하고 있다.
내년 한해 T-Commerce와 관련되어 중요한 트렌드는 정보와 상거래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대다수의 업체들이 2007년 상반기를 목표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관계로 자세한 상호 및 서비스 모델을 밝히기는 힘들지만 몇 몇 업체들의 중요한 서비스 기획 포인트는 정보+상거래+커뮤니티를 결합한 T-Commerce라고 할 수 있다.

사실 T-Commerce라는 것이 원래 상품 정보, 콘텐츠 정보를 결합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별반 새로울 것이 없다고 할 수 있지만 좀 더 다른 점은 정보의 컨셉이 특정 타깃층을 세분화 하여 성별, 연령별로 정보의 제공 자체가 세분화 되어졌다는 것이다.

가령 패션 관련 T-Commerce는 기존 여성층을 대상한다는 넓은 의미의 서비스에서 좀 더 타깃층을 좁혀 시즌별, 테마별, 취업시즌, 여대생들의 방학 시즌/취업 시즌/졸업 시즌 등의 세분화된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하여 정보와 T-Commerce를 결합하였다는 것이다.

- 2007년 T-Commerce 주요 화두 "CRM"

이러한 세분화된 타깃층 및 카테고리별 T-Commerce는 반드시 CRM과 연동하여야 성공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전제 조건이다.또한 현실적으로 디지털 케이블TV 보다는 IP-TV 기반에서 세분화된 T-Commerce 및 CRM 연동 모델등이 선을 뵐 것으로 예상된다.

일례로 현재 몇 몇 CRM 개발 기업들이 티컴미디어와 공동으로 CRM 기반 지원의 T-Commerce를 개발하고 있다. 본디 CRM은 혁신적인 서비스도 아니며 개발 조건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이 어떠한 환경에서 서비스가 되고 그것을 CRM을 통하여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느냐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TV의 속성 자체가 사용자의 환경 및 연령, 성별 등의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기본 데이터값이 불특정하다면 CRM 지원 자체가 무의미 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앞선 기술과 개발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여도 TV의 속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준 데이터를 끄집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일부 유럽의 국가에서는 교통카드 및 신용카드기능이 부여된 스마트카드를 통하여 사용자의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있지만 아직 활성화 단계는 아니며 또한 쌍방향 광고 및 이벤트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게 하는 방법론도 있지만 아직은 데이터 기본값으로의 활요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면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결국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신뢰 혹은 물리적인 외부의 어떠한 작용에 의하여 기준 데이터값을 추출하여야 하지만 이 두가지 방법론다 기술적인 어려움 보다는 TV라는 매체 속성상의 어려움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T-Commerce 지원 CRM 개발 동향을 분석하여 보면 앞서 설명한 유럽 사업자들의 방식처럼 스마트카드를 기반한 CRM과 인증키 기반의 CRM등 몇 가지의 개발 동향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까지는 국내 업체들의 T-Commerce CRM에 대한 관심과 이를 마케팅 또한 차별화된 서비스로 이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부족하여 활성화가 더딘 상태이다.

TV를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업체들이 점 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타사와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에 고심하고 있는 업체들 모두 고민의 주요 화두는 수익 모델 발굴일 것이다.

어차피 TV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초기부터 유료의 서비스가 전면적으로 많아 진다면 이는 결국 사용자들의 유료TV 서비스를 외면 하는 현상으로 나타날 것이다.

디지털 케이블TV나 IP-TV 등 모두 초기 콘텐츠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하여 2~3년 동안은 유료 서비스 보다는 무료의 서비스를 지향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2~3년간의 무료 서비스 동안 CRM을 통한 사용자들의 축적된 사용에 대한 DB를 구축한 업체들만이 향후 유료화된 서비스가 보편화 되었을 때 시장의 선점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에서의 포털 서비스 사업자들이 초기 무료의 시장에서 탈피 유료화된 서비스에서도 견고히 안정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었던 요인에는 가입자 베이스 기반의 다양한 마케팅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무료, 유료화 서비스에서도 사업의 확장이 가능하였다.

2007년에는 이러한 정보+상거래+커뮤니티를 결합한 T-Commerce와 CRM 이 두가지가 T-Commerce 산업에서 주요한 키 포인트로 예상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t-commerce.or.kr

연락처

서비스 기획팀 ; 김세형 대리 :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