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 여러분, 얼마나 행복하십니까?
‘세계 10대 도시 행복도 조사’는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서울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주요 도시들의 경험을 벤치마킹하고, 서울시민의 행복도 향상에 관한 정책들이 보다 견고한 학문적 기반위에서 수립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조사의의가 있다. 서울시민의 행복도를 조사하고 이를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결과 서울시민의 ▲행복도는 세계 10대 도시 중에 최하위(63.64점)로 나타났으며, 스톡홀름(80.08점), 토론토(79.97점), 뉴욕(78.30)이 1~3위를 차지했다. 도쿄가 8위, 베이징이 9위로 아시아 대도시 국가들의 행복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평균은 73.17점.
또한 서울시민으로서의 ▲자부심도 다른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55.51점으로 최하위이며, 뉴욕(82.99점), 토론토(80.03), 런던(76.50)이 1~3위를 차지했다. 특히 도시에 대한 자부심과 행복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행복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도시에 대한 자부심도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도 ▲문화와 교육환경 ▲복지 (복지제도, 복지시설, 양육시설, 소외계층 보호시설, 보건·복지환경) ▲생태환경(수돗물, 공기오염) ▲생활환경(교통, 공간확충, 편의시설) ▲서울시행정(정보접근성, 민원업무, 행정의 투명성) ▲공동체생활(이웃주민들과의 교류, 봉사활동) 등에서도 최하위를 기록해 서울이 세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각 부문별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직업선택 기회, 물가)에서는 7위 ▲안전(밤에 거리다니기, 교통사고, 재해 등의 위험)은 9위 ▲건강은 9위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와 서울복지재단이 대한민국학술원에 의뢰해 2006년 12월, 세계 10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총 10,014명 (각 도시별로 1천명씩, 18세 이상 성인 남녀) 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했다. 경제, 문화·교육, 복지, 안전, 생태환경, 생활환경, 도시행정, 공동체생활의 만족도와 개인 건강상태, 시민으로서의 자부심, 행복도 등을 조사했다.
‘세계 10대 도시 행복도’ 조사와 관련하여 이남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서울 글로벌 메트로폴리탄 포럼 조직위원회 부위원장)는 『행복도는 도시의 경제적 조건보다 도시의 문화·교육환경, 복지수준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 사회의 장점으로 여겨져 온 공동체 생활도가 서울의 경우 유럽도시에 비해 매우 낮은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서울의 공동체 생활 파괴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복지재단의 이성규 대표이사는 『서울시민 고객들의 행복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정책과 실천계획들이 마련되어야 한다』면서 『특히 복지부문이 서울의 경쟁력이 되어 서울시민의 행복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복지를 주축으로 문화, 환경 등이 결합되는 ‘서울형 복지공동체’를 형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 10대 도시 행복도 조사’에 관한 세부 내용과 논의는 서울시와 서울복지재단이 주최하고, 대한민국학술원이 주관하는 ‘세계주요도시 행복도 및 경쟁력 비교연구’에 관한 국제학술회의(1.19(금), 대한상공회의소 09:00-18:00)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학술회의 관련문의는 (02) 6011-8005.
※ 10개 도시 행복지수 조사 개요
1. 조사지역 : 서울시(Seoul), 뉴욕시(New York City), 토론토시(City of Toronto), 런던광역 시(Greater London), 파리광역시(Ville de Paris), 베를린시(Berlin),
밀라노시(Milano), 도쿄도(東京都), 베이징직할시(北京直轄市) 내
urban +suburbia, 스톡홀름시(Stockholm kommun)
2. 조사대상 : 18세 이상 성인 남녀
3. 자료수집방법 :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면접
4. 표본크기 : 총10,014명으로 국가별 표본의 크기는 아래와 같음
서울 1,000 뉴욕1,000 토론토 1,000 런던 1,000 파리 1,000
베를린 1,000 밀라노 1,014 도쿄 1,000 베이징 1,000 스톡홀름 1,000
5. 표본추출방법 : 성·연령별 할당을 고려한 무작위 추출
6. 실사기간: 서울(12/1-12/5) 뉴욕(11/28-12/14) 토론토(11/29-12/13) 런던(12/4-12/14) 파리(12/4-12/14)
베를린(12/4-12/14) 밀라노(12/4-12/14) 도쿄(11/29-12/10) 베이징(11/25-12/8) 스톡홀름(11/27-12/12)
웹사이트: http://www.welfare.seoul.kr
연락처
서울복지재단 사업지원부 홍보담당 김정수 02-2011-0415
-
2013년 3월 19일 0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