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한국당 논평- 생계형 범죄를 막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국민소득 2만불 시대를 맞은 대한민국이 이런 나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 많은 복지정책 예산은 어디다 쓰는 것인지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지자체 복지정책 인력들은 어디에 숨어서 낮잠을 자고 있는지 알 수가 없는 노릇이다. 선심성 정책들로 가득한 금년 예산안도 역시 생계형 범죄를 강 건너 불구경 하듯 할 것으로 보인다.
이 나라가 빈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툭하면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하지 못한다’라고 변명 아닌 변명을 늘어놓는다. 조금만 노력하면 제대로 된 분배정책이 실현될 터인데 정치권이나 정부나 정권 재창출에만 눈이 멀어 어디서 정부 지원이 새고 어디서부터 흐름이 잘못되었는지를 눈여겨보려 하지 않는다. 이만한 복지 재원으로도 충분히 생계형 범죄를 막고 극빈층의 자살을 줄일 수 있는데 왜 못하고 왜 안하고 있단 말인가.
앞으로 군인에게는 월급을 더 늘리겠다, 육아와 보육비를 더 지원하겠다, 여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 하겠다 등등 많은 복지 정책을 내놓고 예산을 잘도 편성하는데 어찌하여 극빈층에게 돌아가는 것은 빈껍데기뿐이란 말인가. 그 예산의 작은 일부라도 떼어서 생계문제로 고통 받는 극빈층에게 돌아가게 할 수는 없는 것인가. 앞서 나열된 정책들은 잠시 늦췄다가 나중에 경제가 좋아지고 국가 재정이 튼튼해지면 그 때 시행하면 안 되는 것이란 말인가.
오죽했으면 길거리에 있는 하수구 뚜껑과 가로수 보호판 , 전선 ,철제구조물 등 돈이 되는 것들이라면 가리지 않고 다 뜯어가겠는가. 제대로 된 분배가 이뤄지지 않고 ‘더불어 사는 사회’ 에 대한 계몽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대사회의 부작용이 아니겠는가. 함께 아파하고 고민하고 부끄러워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고서는 백날 선진 복지정책을 구현한다고 떠들어도 헛수고가 될 것이다. 이번 설날에는 이웃의 어려움을 돌아보고 마음이나마 따뜻한 정을 나누었으면 한다.
2007 년 2 월 13일 선 진 한 국 당 수석 부대변인 오 세 진
웹사이트: http://www.gk.or.kr
연락처
선진한국당 대변인실 , 02-761-0591 ,019-386-0386 , 이메일 보내기
-
2011년 3월 13일 1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