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7일 국내 100여명의 학자들 ‘고조선 건국기사 개선과 국사교육 강화’에 대한 지지성명서 발표
이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 2월 23일 중국동북공정 등 주변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7년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고조선 건국 과정을 정식으로 편입하고 청동기 보급시기를 최대 1000년 가까이 앞당긴 것과 관련한 국내 학계의 첫 대대적인 반응이다.
이날 발표될 성명서에는 국내 상고사 연구에 크게 공헌해온 박성수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를 비롯하여 서영대 교수(인하대학교 사학과), 김호일 교수(국학학술원 원장), 최복규 교수(강원대학교 사학과, 강원고고학연구소장), 김창수교수(동국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진성규(중앙대학교 사학과 교수) 등 15여명의 사학과 교수들과 함께 정상옥 총장(동방대학원대학교) 등 100여명의 학계, 단체 인사들이 동참과 지지의 뜻을 밝히고 있다.
행사를 주최하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부설 국학연구원(구 선도문화연구원) 측은 “여타국과 달리 식민사관에 젖어 자국의 역사축소에 앞장서온 국내 학계는 그동안 한국의 역사문화에 대한 양심과 책임을 져버렸음을 뼈아프게 반성해야 한다” 며, “금번 교육인적자원부의 용단을 계기로 국내 상고사연구에 대한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이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고 행사 취지를 밝혔다.
이들은 “이번 교육인적자원부의 조처는 새로운 고고학적, 문헌적 연구성과를 적극 반영한 점에서도 적절하였지만, 무엇보다도 일본의 교과서 왜곡에 이은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민족의 정체성이 부정되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우리 스스로를 지켜내는 일차적 방어막을 이루어내었다는 점에서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교육인적자원부의 국사교과서 부분 개편에 대한 지지 성명서를 발표한다.
또한 “금번의 조처로 일제강점기 이래 토막 난 고조선사 연구가 비로소 회복의 전기를 맞게 되었다. 고조선사 복원 사업은 한민족의 사활이 걸린 국가적인 중대 사업이다. 이를 시발로 향후 본격적인 연구를 통하여 만주·한반도 지역에 걸친 강대한 고대국가, 선도에 바탕한 홍익인간사상이라는 고도의 정신문화를 일구어내었던 고조선의 진면목을 역사적으로 명백히 드러내야 한다”며 정부의 상고사 복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할 예정이다.
성명서에는 △ 단군 조선의 건국 전후사에 관한 문헌고증 연구를 존중하고 그 성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국사교육에 수용하는 방안 적극 검토 △ 상고사 연구 심화과정에서 등장하는 단군 이전의 신시와 환국의 역사 연구 심화 △ 한국사의 외연을 한반도에 국한시키지 말고 고구려, 발해, 금, 요, 원, 청, 일본열도로 뻗어나간 역사를 밝혀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한국사 왜곡에 맞서야 함 △ 우리 역사와 문화의 중심인 유불도 외래삼교 이전에 있었던 우리 민족 고유의 선도문화에 대한 연구 강화 △ 우리 역사를 총체적으로 재검토하여 지난날의 사대주의와 일제식민사관과 사회주의 유물사관에서 벗어나야 함 등 5개 연구 제언도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연락처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홍보팀 윤관동, 041-529-2621, 016-594-4332,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7년 2월 23일 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