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산자, 지속적인 수출증가세 유지를 위한 금년도 무역정책 추진 과제 제시
이날 강연회에서는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신흥유망시장에 대한 맞춤형 수출확대 전략 수립, 서비스·플랜트 등 새로운 수출성장 분야에 대한 노력 전개 등 금년도 무역정책의 방향에 대해 설명하였음
김 장관은 무역업계 CEO 및 종사자들의 노력으로 우리나라는 지난해 세계에서 11번째 수출 3,000억불을 달성한 무역강국이 되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여 무역 1조불, 국민소득 3만불 시대에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힘
이를 위해서는 미국의 경기 둔화 및 중국의 긴축기조 전환 가능성,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 대외적인 불안요인과 수출과 내수간 괴리, 중소기업의 수출비중 감소 등 대내적인 과제들에 대해서 현명하게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였음
또한, 대중국 무역흑자의 감소와 대일본 무역적자의 확대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흑자 기조 정착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
김 장관은 이러한 대내외적인 도전에 대해 우리 경제는 무역과 개방의 확대를 통해 해결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히고, 구체적으로는 무역인프라의 확충, 새로운 수출동력의 확충,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물자 관리체계의 고도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함
ㅇ (무역인프라 확충)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향한 '중장기 무역비전 수립', 무역의 전과정을 인터넷 기반으로 처리하는 e-Trade 플랫폼 구축, 20여개 대학과 연계한 현장 중심의 글로벌 무역전문가 양성, 환위험 관리 강화를 통한 채산성 확보 지원 등
ㅇ (새로운 수출동력의 확충) 문화, 서비스,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등 세계일류 상품 발굴 확대, 대-중소기업 동반 플랜트 수주 지원 확대, 서비스 수출 강화 등
ㅇ (수출시장 다변화) BRICs 시장 해외마케팅 지원 비율 확대, 신흥 유망시장 발굴(next 20) 및 수출확대 전략 수립, 중소기업 수출지원단 및 해외지사화 사업 확대 등 중소기업 수출지원 등
ㅇ (전략물자 관리체계 고도화) 기업 스스로 전략물자를 관리하는 자율준수 무역거래자 지정 확대, 중소기업용 전략물자관리 프로그램 보급 확대, 전략물자관리원 설립('07.6월) 등
< 무역협회 최고경영자 조찬회 개요 >
일시 : 3.20(화), 07:30~08:30
장소 :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호텔(2층) 그랜드볼룸
참석자 : 무역협회 회원사 및 무역업계 대표 280여명
*무역협회 회장단 9명, 기업대표 230명, 무역협회 및 관련기관 임직원 40명
주제 : 우리 산업·무역의 현황 및 주요 정책 방향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무역정책팀장 정순남, 서기관 이승렬 02-2110-5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