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롬화방염제 TBBPA, 환경생물 위해도 높지 않아

인천--(뉴스와이어)--국립환경과학원(원장:윤성규)은 국내 방염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환경과 건강에 유해성이 의심되는 브롬화 방염제 TBBPA의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롬화 방염제의 유통량 및 사용현황을 바탕으로 환경모니터링을 수행하였고, 송사리, 물벼룩, 저서생물 등 환경생물을 이용한 독성시험 수행하여 국내 수계 및 퇴적물에 대한 브롬화방염제의 환경위해도를 산출하였다.

환경중 잔류농도는 울산화학공단 주변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검출농도는 수질에서 ND~0.04 ㎍/L, 퇴적물에서 5.9~90.8 ㎍/㎏, 그리고 생물체에서 1.92~5.33 ㎍/㎏으로 외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외국 환경 중 잔류농도: 수질은 ND~0.09 ㎍/L, 퇴적물은 0~9,753 ㎍/㎏, 생물체는 0.1~376 ㎍/㎏임

또한 송사리와 저서생물 Hyaella azteca을 이용한 독성시험에서, TBBPA가 이들 생물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NOEC)*는 각각 4 ㎍/L, 10㎎/㎏으로 산출되었고, 이 값을 불확실성계수 100으로 나누어 수생생물과 저서생물에 대한 예측무영향농도(PNEC) 0.04㎍/L과 0.1 ㎎/㎏를 도출하였다.

※ NOEC (무영향관찰농도) : 동물실험 등에서 구해진 그 용량 이하에서는 노출하여도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지 않는 농도

※ 불확실성계수 : 위해성 평가에 사용되는 여러 데이터는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음. 따라서 위해도가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불확실성계수를 사용함.

일반적으로 종간의 차이 (X10)와 감수성의 차이인 개체차 (X10)를 고려한 100을 최초의 값으로 함

※ 예측무영향농도(PNEC) = 무영향관찰농도/불확실성계수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해 볼 때, 우리나라 환경 중 TBBPA의 농도는 예측무영향농도(PNEC) 이하의 수준이므로 수생생물 및 저서생물 등 환경에 대한 위해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nier.go.kr

연락처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노출평가과 최경희 과장 032-560-7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