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검색 기술력의 집합체인 검색엔진 자체 개발로 검색서비스 경쟁력 배가
다음은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의 적용을 웹문서 영역을 시작으로 카페검색, 블로그 검색 등 각 디렉토리별로 점차 확대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해 초 엔지니어, 개발자 등으로 구성된 개발 엔진 TFT를 구성했으며, 다음의 대용량 데이터를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검색 엔진 개발을 완료했다.
특히 이번 웹문서 검색베타 사이트에서 첫 선을 보인 웹 검색로봇(웹크롤러) ‘Daum operating agent/다음오에이)’는 문서간의 연결 관계에 기반한 우선 순위 선정 방법을 기본으로 ▲정보량이 많은 문서별로 차등적인 가중치 부여 ▲실시간으로 문서 중요도에 대한 랭킹 계산 등을 통해 양질의 문서를 선별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문서 중요도의 기준은 해당 문서와 타 문서들과의 연계성 외에도 사용자들의 웹문서 사용 패턴을 분석해 적용된다.
기존 검색로봇의 경우 ▶웹문서 수집 ▶스팸필터링 ▶데이터가공(검색엔진으로 로딩하기 좋은 포맷) ▶검색엔진 로딩 등 여러 단계를 거쳐 최신 정보 업데이트가 되는 반면, ‘Daumoa’는 수집과정에서 검색엔진으로 바로 로딩할 수 있도록 스팸 필터링과 순위 계산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 보다 신속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는 점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또한 다음은 각기 다른 브라우저나 언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니코드 인코딩을 지원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 향후 외국어 및 사전서비스 등에 확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수집한 자료를 검색엔진으로 반영되는 주기를 국내 최단기로 설정해 최신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점 역시 장점이다.
다음은 이번 웹검색 서비스의 자체 운영을 시발로 카페, 블로그, 동영상 등 대용량 UCC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대용량 문서에 대한 시스템 확장의 용이성 및 자동화를 기반으로 한 리소스 관리의 최소화를 실현 할 계획이다.
다음 손경완 검색본부장은 “이번 검색 엔진 개발은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함으로써 차세대 검색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성장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며 “다음이 보유한 30억건에 달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용자 니즈에 가장 최적화 된 검색 결과를 구현하는 등 차별화 된 검색 서비스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다음은 이르면 오는 6월 중 그 동안 검색/블로그 등 다음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검색 서비스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검색 패러다임을 이끌어 갈 'UCC검색'서비스를 전격 오픈 할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www.daum.net
연락처
다음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Planner 박현정 02-6718-0179
-
2014년 9월 23일 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