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접착제 발산 실내공기 오염물질, 현장평가 가능성 열려

인천--(뉴스와이어)--국립환경과학원(원장:윤성규)은 페인트나 접착제 등에서 나오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방출셀(cell)을 이용함으로써 현장에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 방출셀법(Emission cell method) : 시험대상 건축자재의 표면에 0.035 L 용량의 용기(cell)를 설치하여 오염물질 발생량을 측정하는 방법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그동안 실험실에서만 측정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방출셀법을 이용해 시공 후 현장에서도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유럽에서 연구가 활발한 방출셀법은 소형챔버법으로 하게되어있는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형챔버법(Small chamber method) : 20 L 용량의 용기(chamber)에 시험대상 건축자재를 넣고 오염물질 발생량을 측정하는 방법

액상 건축자재(페인트, 접착제, 실란트) 40개에 대한 실내공기 오염물질 방출시험 결과, 방출셀법은 소형챔버법에 비해 오염물질 방출농도는 약 1.2 ~ 1.5배 높게 측정되었으며, 두 시험방법의 상관성은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방출셀을 이용한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안)'의 근거 자료로 제공되고,벽지나 바닥재와 같은 고상 건축자재에도 적용·보완하여 현장과 실험실에서 손쉽게 건축자재의 오염물질을 조사할 수 있도록 활용할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www.nier.go.kr

연락처

국립환경과학원 실내환경과 장성기 과장 032-560-7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