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연, 초급·중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개최

창원--(뉴스와이어)--국전기연구원(원장 박동욱 www.keri.re.kr) 전력연구단에서는 국가 기간시설물의 부식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손실이 증가하고 전기방식 분야 기술자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초·중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과정을 5월 15일부터 18일(초급), 5월 30일부터 6월 1일(중급)까지 창원 본원에서 각각 진행한다.

전기연구원은 지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지중설비의 전기적 부식에 대한 지원사업을 실시한데 이어 지난 2001년부터 국가 기간시설물 전식대책 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국내 관련 기관 및 기업의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전기방식 기술을 전수, 현장 활용능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교육기간 중에 참가자들이 제시하는 현장애로기술을 함께 토론하여 해결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전기연구원은 지난 2001년 미국의 NACE로부터 전기방식 관련 최종 기술자격인 ‘Level 4 CP Specialist’ 자격을 취득한 바 있으며 해당 자격을 취득한 김대경 그룹장의 주관으로 해마다 초급 및 중급 전기방식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2007년 5월 현재까지 초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과정을 이수한 인원은 총 243명이며, 중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과정을 이수한 인원은 57명이다.

이론교육과 실험, 현장실습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초·중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과정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초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주요 내용
○ 이론교육
- 부식의 기초 및 종류
- 전기방식의 기초
- 방식 기준
- 방식전위 측정
○ 전기방식 측정장비 및 기자재
- 측정장비 : 기준전극, Multimeter, Ammeter, Data Loggers, Current Interrupter, Shunt, Soil Resistivity Meter, Pipe Locator, Coating Inspector 등
- 기 자 재 : 희생양극, 외부전원용 양극, Backfill 재료, 정류기 등
○ 실험
- 금속의 갈바닉 부식 원리
- 오옴의 법칙
- 정류기의 원리 및 유지·관리
○ 현장실습
- 전위 및 전류 측정
- Close Interval Potential Survey
- Side Drain Test
- Coating Defect Survey
- 배관의 절연 측정
- 토양비저항 측정

□ 중급 전기방식 기술전수 주요 내용
○ 이론교육
- 간섭의 개요 및 종류
○ 타 전기방식 설비에 의한 간섭
- 양극간섭
- 음극간섭
- 합동간섭
- 유도간섭
- 점핑간섭
○ 전력선에 의한 유도간섭
- 용량성 유도간섭
- 유도성 유도간섭
- 저항성 유도간섭
○ 지하철에 의한 간섭
○ 간섭의 진단 및 대책
○ 현장실습
- 전기방식 설비의 간섭 진단

한국전기연구원 개요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1976년 국가공인시험기관으로서 첫 출발한 이후 2017년 기관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획득하는 등 최고 수준의 전기전문연구기관이자 과학기술계 대표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성장했다. 현재 경남 창원에 소재한 본원 외에 2개의 분원(안산, 의왕)이 있으며, 전체 직원수는 620여명에 달한다. KERI는 실현 가능하면서도 대규모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연구과제를 집중 선정하여 국가사회에 기여하는 대형 성과창출을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업무분야는 차세대전력망 및 신재생에너지, 초고압직류송전(HVDC), 전기추진 및 산업응용 기술, 나노신소재 및 배터리, 전기기술 기반 융합형 의료기기, 중전기기 시험인증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eri.re.kr

연락처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연구단 전력기술팀 이현구 선임연구원 055-280-1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