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부산국제기계대전’ 개최(5.30~6.3)
부산시와 부산기계공업협동조합, 부산경남금형공업협동조합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에는 25개국 406여개 업체 참여와 국·내외 12만명의 관람객이 참관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내 최고 기계관련 종합전시회로 발돋움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03년 첫 회에 이어 격년제로 개최되어 3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벡스코 전시장(26,508㎡)전체에 1,400여 부스가 설치되는 대규모 행사로 지난 2005년의 1,000부스보다 400여 부스가 확장된 국내 기계관련 종합전시회로는 최대 규모로 개최되어 짧은 기간에 전문 전시회로 성장하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 전시회에서 아쉬움으로 남아 있던 위아, 한화테크엠 등 국내 대기업과 바이스트로닉스, 아마다코리아, 스타코리아등 글로벌 기업 등 25개 업체가 대거 참여함으로서 실질적인 국제규모 전시회의 위용을 드러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참가업체의 전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해외바이어 340여명을 직접 초청하고, 특히 구매력이 높은 중동 바이어를 대거 모집하여 전시에 참관케 하였으며, 국내 바이어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홍보전을 전개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기계관련 종합전시회(BUTECH) △국제공장자동화기기전(AUTOTECH) △국제기계기술전(MECHTECH) △국제금형산업전(DIETECH) △국제환경산업전(ENSEC) △국제용접·공구산업전(WELDTECH) △국제부품·소재산업전(BUPAM)전이 동시에 개최되어 관련 산업에 시너지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출·구매상담회, 기계기술세미나, 아시아로보원대회, 신제품·신기술 발표회, 기술과학아카데미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려 기계산업 관련업체들이 가일층 진보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부대행사중 제1회 한국기술아카데미는 부산지역 기계관련 대학생 및 동아리들의 기술작품 120여점을 전시하여 미래 기술인을 양성하고, 산·학 협력관계 모색으로 산업에 실질적인 응용 및 활용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정기적으로 부산국제기계대전의 특화된 부대행사로 발전시켜 전국적인 규모의 기술경연장으로 확대 개최하여 기술인들의 사기앙양 등 축제장으로 승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계기술의 집합체로 알려진 첨단산업의 로봇기술을 선보이는 “아시아로보원대회”는 두발로 행동하는 로봇의 진수로, 한국·일본·중국·대만·싱가폴 등 5개국 60개 팀이 참가하는 굴지의 행사로서 많은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로 공단내 입주업체의 활성화는 물론, 기계산업 생산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부산·울산·경남이라는 국내 최대 공업지대를 부각시키는 계기와 함께 해외 판로확보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이 전시회를 국내 대표적 기계관련 종합전시회로 육성함으로써 우리 부산이 동북아 중심도시로 성장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편 이번 기계대전을 통해 약 5억불의 수출상담과 1억불의 수출계약이 성사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외 바이어를 대거 유치함으로서 수출 촉진과 기술·정보의 국제교류 활성화로 지역경제도 크게 개선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침체된 이공계 학생등과 기계관련 기업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하여 전국 이공계 고등학교 및 대학교 관련학과 학생들을 초청하여 무료로 관람케 함으로서 현장 학습의 장과 신기술 습득의 장으로 활용토록 지원하기 위해 무료관람신청을 접수받아 희망학교 등에 대하여는 전시현황과 최근 기계관련 산업동향 등에 대하여 브리핑을 해 줄 계획으로 있다.
부산시는 대회의 완벽한 준비를 위해 행정부시장(이권상)주재로 최종보고회를 지난 5월 15일 오후2시 시청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하고 업체 관계자 등 참석위원들에게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당부했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업체관계자 등 참석위원들은 한결같이 부산국제기계대전이 짧은 기간에 이렇게 급성장한 것은 부산시의 적극적인 지원과 부산기계조합, 부산경남금형조합등 전시관계자들의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 부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계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전시회가 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이권상 행정부시장은 부산국제기계대전의 양적 성장 뿐 만 아니라 질적 성장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이번행사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남은 기간동안 최선의 노력을 당부했다.
웹사이트: http://www.busan.go.kr
연락처
부산시 공업기술과 하대일 051-888-3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