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는 수다, 아빠와는 침묵...10명 중 1명, 가족과 대화 안해

서울--(뉴스와이어)--5월은 가정의 달이다. 그러나 그 명칭이 무색하게 가족 간의 소통부재와 트러블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특히 독신 인구와 이혼율이 증가하면서 가족이란 전통적인 개념이 흔들린 상태.

TV 속에 등장하는 갖가지 가족 관련 프로그램(‘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사랑과 전쟁’, ‘긴급구호 SOS’ 등)에서는 대다수 문제의 해결법으로 ‘가족 간의 대화’를 꼽고 있다. 가장 가깝지만 때론 남보다 먼 사이가 되기도 하는 가족. 결국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을 느껴야 한다는 것이 지금 우리가 당면한 과제이다.

여성포탈사이트 젝시인러브(www.xyinlove.co.kr)에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가족 중 가장 많이 대화하는 사람은?’이란 질문에 총 310명(기간: 2007.5.16~21)이 참여한 결과, 응답자 중 53%(163명)가 ‘어머니’를 꼽았다.

특히 여자응답자가 엄마와 대화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같은 여자라 통하는 게 많아서(닉네임 RaNi, 블루베리, 기염상 등)’라는 의견이 압도적이었으며, ‘친구처럼 편해서(닉네임 hyuck, 라미 등)’라는 의견도 있었다.

다음으로는 ‘모두 잘 안 한다(47명)' 가 꼽혀 응답자 중 약 15% 가량이 가족과 대화부재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사는 게 바빠서’, ‘나이가 들면서’, ‘다투기만 해서’, ‘말 안 해도 마음을 알 거라 생각해서’ 등의 이유를 들며 점점 개인주의로 변하는 가족 모습을 꼬집었다. 또한 ‘컴퓨터 사용시간이 늘면서 대화할 시간이 줄었다(닉네임 나다송 등)’라는 의견도 있었다.

특이한 점으로는 이 항목을 꼽은 이 중에는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법을 찾으려 한다는 것이 눈에 띄었다. ‘가족끼리의 여행이나 특별한 자리를 만들면 부드럽게 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길 수도 있을 것(닉네임 브론테스)’, ‘그래도 가족이야 말로 진정한 대화상대가 아닌가 생각, 부모님과 식사라도 하면 대화해야 할 듯(닉네임 푸른 자유), ‘방종하지 말고 짧은 말부터 건네는 방법을 써야(닉네임 abce 1) 등의 자구책을 들기도 했다.

이외에도 ‘손위 형제’와 ‘손아래 형제’를 꼽은 네티즌은 각각 33명, 40명에 달해 10%를 상회했다. ‘나이가 들수록 코드가 맞아서’, ‘부모님보다는 맘 편하게 터놓을 수 있어서’, ‘비슷한 세대로 동병상련을 느껴서’ 등의 의견이 많았다.

반면 기타의견을 제외하고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한 ‘아버지(16명)’의 경우 5%에 그쳐 아버지와 가족간의 대화부재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이긴 했지만, 아버지와 많이 대화한다고 꼽은 네티즌들은 ‘남자 대 남자로 잘 통해서’,’다른 집에 비해 아버지와 친해서’, ‘아버지가 자상하고 세심해서’ 등의 이유를 들었다. 그러나 아버지와 대화하기 힘들다는 네티즌들은 그 이유로 ‘아버지는 일하느라 바빠서(닉네임 트리비아니, 명래리 등), ‘엄격하고 권위적이어서(닉네임 cutie, 둥이아빠)’, ‘의견이 안 맞아서(닉네임 토끼 등)’ 등의 이유를 꼽아 아버지와의 세대차이, 시간적 여유 등이 문제시되었다.

가족 간의 대화부재의 원인은 가족들의 개인주의, 빠르게 변하는 사회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등이 꼽힐 수 있다. 가장 가까워야 할 가족이 가장 멀어진 데는 서로에게서 도움을 구하거나, 손을 먼저 내밀지 않기 때문.

위 설문조사 결과처럼 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서로 간의 공감대 형성과 세대차를 아우를 수 있는 이해심이 필요하다. 결국 이런 바탕이 이뤄진다면 그 상대가 부모님이든 형제든 원활한 대화를 통해 가족애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

굳이 5월이 아니더라도 365일, 가족을 중심으로 끈끈한 사랑을 이어나간다면 가정의 달이 필요 없지 않을까? 내 가족 구성원에 대해 궁금해 하고 이해하려 든다면 대화 시간이 하루 일분에서 30분, 한 시간으로 늘어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xy.co.kr

연락처

컨텐츠 사업부 대리 임기양 02-393-807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