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5월 수출입 동향

서울--(뉴스와이어)--2007년 5월 수출입 실적 및 전망

【 5월 수출입 실적 】: 수출 11.9% 증가, 무역수지 14.8억달러 흑자

금년 5월 輸出은 전년 동월대비 11.9% 증가한 312.5억달러, 輸入은 13.6% 증가한 297.7억달러로 무역수지는 14.8억달러 흑자를 기록

조업일수가 반영된 日평균 수출입액도 각각 13.3억달러(9.5%), 12.7억달러(11.1%)로 수출입 모두 전년 동월대비 증가세 시현

輸出은 환율하락 등 불리한 여건에도 조업일수 증가(0.5일), 철강,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호조세 등에 힘입어 월간 실적으로는 역사상 최고치이며 1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 기록

* 품목별 수출증가율(%) : (자동차)20.0, (철강제품)21.6, (LCD패널)33.0 (일반기계)19.4

지역별로는 20일까지 對美(24.9%), 對中(25.9%) 등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시현하였으나, 원엔환율 하락 등에 따라 對日수출증가율(3.5%)은 둔화

輸入가운데 원자재는 원유, LNG 등 에너지 수입이 감소하였으나 철강 및 비철금속 등의 수입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

* 원자재 수입증가율(%) : (’06.5.1~20)32.4 → (’07.5.1~20)10.0

자본재의 경우에는 항공기·부품(194.6%)과 설비투자 회복조짐에 따른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정밀기계(32.8%), 기계요소(38.7%) 등을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

* 설비투자 증가율(韓銀, %) : (’06.1/4)7.0 → (’07.1/4)10.3
* 자본재 수입증가율(%) : (’06.5.1~20)18.6 → (’07.5.1~20)21.3

소비재도 최근 소비심리가 다소 개선되고 환율이 하락함에 따라 승용차(38.5%), 의류(18.3%), 생활용품(31.3%) 등이 꾸준한 증가세

* 소비재판매액지수 증가율(통계청, %) : (’06.4)5.5 → (’07.4)4.9
* 소비재 수입증가율(%) : (’06.5.1~20)25.1 → (’07.5.1~20)23.9

貿易收支는 14.8억달러 흑자로 ’03.4월 이후 50개월 연속 흑자 지속

【 평가 】: 수출은 역대 월간 최고치의 호조세이며 수입 증가세도 확대

수출은 세계경제 성장세 지속 등에 힘입어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작년 동월의 통계적 기저로 증가율은 둔화

그러나, 원달러환율·원엔환율의 하락지속, 中東 정정불안 등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美國경기 둔화, 中國의 긴축조치 등 수출을 둘러싼 대외여건은 불리한 상황

* 원/달러 환율 : (’05.12)1,013.0→(’06.12)929.6→(‘07.3)940.3→(4)930.8→(5.31)927.7
* 국제유가(두바이 $/bbl) : (’05)49.4→(’06)61.6→(‘07.3)58.92→(4)63.98→(5.30)63.89

수입은 국제유가·원자재 가격 상승(원자재), 설비투자 회복 움직임(자본재), 환율하락 및 소비심리 개선(소비재)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

* 수입 증가율(%) : (’07.1)19.8→(2)7.7→(3)12.2→(4)19.8→(5)13.6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수출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수입증가세 확대로 인해 작년 동월에 비해 감소

* 무역수지 흑자(억달러) : (’06.5)17.2 → (‘07.5)14.8

【 향후과제 】: 수출증가세 유지를 위한 정책노력과 무역수지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최근 환율하락으로 향후 수출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으로 수출기업들의 애로요인을 발굴·점검하여 이를 해소하는 노력 지속

* 원/엔 환율하락에 따른 민관합동 수출대책회의(6.4) 개최

아울러 국제유가, 내수회복 등 수입증가 요인을 분석하여 무역수지 추세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1. 수출 동향 (잠정)

가. 輸出 추이

5월 輸出은 전년 동월대비 11.9% 증가한 312.5억달러로 ’06.1월(3.6%)이후 2월부터 16개월 연속 두자리 수 수출 증가율 기록

조업일수를 고려한 日평균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9.5% 증가한 13.3억달러로 견조한 수출 증가세가 지속

자동차(20.0%), 철강제품(21.6%), 선박(12.5%), 일반기계(19.4%) 등 주력 품목 대부분이 수출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반도체(반도체 가격약세), 석유제품(정제시설 보수) 등은 보합세 및 소폭하락

지역별로는 20일까지 對美(24.9%), 對中(25.9%) 등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시현하였으나, 원엔환율 하락등에 따라 對日수출증가율(3.5%)은 둔화

나. 13大 품목별 輸出 동향 (5.1~20일 실적을 바탕으로 5월 전체 추정)

◈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한 품목(7) : 자동차(20.0%), 철강제품(21.6%), LCD패널(33.0%), 석유화학(23.6%), 일반기계(19.4%), 선박류(12.5%), 컴퓨터(11.2%),
◈ 한 자릿수 증가한 품목(3) : 자동차부품(8.8%), 무선통신기기(1.6%), 섬유류(6.3%)
◈ 보합·감소한 품목(3) : 반도체(0.0%), 석유제품(△1.0%), 가전(△9.9%)

주력 수출제품인 철강, 자동차, 액정디바이스, 석유화학 등은두 자릿수 수출 호조세 지속

자동차 부품, 섬유류, 무선통신기기는 아시아지역 등으로의 수출증가에 힘입어 완만한 증가세

반도체(반도체 가격약세), 석유제품(정제시설 보수), 가전(해외생산확대)은 감소세

다. 지역별 수출 동향(5.1~20일까지 잠정치 기준)

지역별로는 對中, 對美 등에서 20% 이상의 높은 수출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對日, 對EU 수출증가율은 둔화

ㅇ 對中 수출은 무선통신기기(69.8%), 기초산업기계(68.6%), 컴퓨터(52.1%), 석유화학(51.4%), 일반기계(40.2%), 전자부품(30.8%), 합성수지(28.6%) 등 대다수 품목이 증가

ㅇ 對美 수출은 석유화학(330.3%), 석유제품(125.5%), 고무제품(44.8%), 무선통신기기(39.4%), 산업용전자제품(30.5%), 자동차부품(28.1%), 승용차(17.5%) 등의 수출호조에 힘있어 증가

ㅇ 對日 수출은 철강제품(63.2%), 산업용전자제품(22.8%), 일반기계(16.6%), 석유화학(14.9%) 등은 증가세이나, 석유제품(△21.2%), 전자부품(△19.1%), 가전(△19.1%) 등은 감소세

ㅇ 對EU 수출은 철강제품(170.1%), 일반기계(25.0%), 전자부품(22.8%) 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전(△13.8%), 무선통신기기(△1.5%) 등의 감소로 전체적인 증가율은 둔화

2. 수입 동향 (잠정)

가. 輸入 추이

5월 수입은 전년 동월대비 13.6% 증가한 297.7억달러로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모두 높은 증가세 기록

원자재는 원유, LNG 수입은 감소했으나 철강 및 비철금속 등의 수입증가로 꾸준한 증가세

자본재는 항공기·부품, 정밀기계, 전자부품 등을 중심으로 수입증가세 지속

소비재는 최근 소비심리가 다소 개선되고 환율이 하락함에 따라 승용차, 생활용품 등의 꾸준한 증가세

나. 용도별 수입 동향 (5.1~20일까지 잠정치 기준)

원자재는 철강금속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자본재는 설비투자 회복 조짐, 소비재는 환율하락 및 소비심리 개선 영향으로 수입 증가세가 확대

원자재는 원유, LNG 등 주요에너지 수입은 감소했으나, 철강 및 비철금속 등의 수입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0.0% 증가

ㅇ 원유는 전년 동월대비 도입단가 하락으로 수입액이 감소
ㅇ 미정제 니켈괴(361.4%), 동괴(15.5%) 등 비철금속제품(29.6%)과 철강판(33.5%) 등 철강제품(54.8%)의 수입이 증가세

* 철강제품 수입증가율(%) : (’07.1)49.3→(’07.2)38.8→(’07.3)50.0→(’07.4)75.6

ㅇ 슬랩(128.7%), 고철(84.7%), 사료(83.8%), 납사(69.8%), 금(49.0%), 펄프(35.4%), 유연탄(25.2%), 의약품(22.0%) 등의 수입도 크게 증가

자본재(21.3%)는 항공기및부품(194.6%), 광학기기(61.3%) 등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ㅇ 컴퓨터모니터(△27.9%), 전선(△25.8%), 금속공작기계(△9.1%) 등의 수입은 감소

소비재(23.9%)는 승용차(38.5%), 생활용품(31.3%), 의류(18.3%) 등을 중심으로 꾸준한 증가세 시현
다. 지역별 수입 동향 (5.1~20일까지 잠정치 기준)

지역별로는 中國, 美國을 중심으로 수입이 크게 증가

ㅇ 對中 수입은 철강제품(96.6%), 전자부품(78.7%), 일반기계(74.8%), 수송기계(74.7%), 기초산업기계(66.2%), 비철금속(57.7%), 컴퓨터본체(49.7%), 전선(45.6%) 등 모든 품목의 수입이 고른 증가세

ㅇ 對美 수입은 수송기계(140.5%), 석유화학(81.1%), 기초산업기계(75.2%), 비철금속(72.9%), 일반기계(48.2%), 정밀기계(45.2%), 반도체제조용장비(35.9%) 등의 수입이 증가

ㅇ 對EU 수입은 기초산업기계(73.1%), 일반기계(40.5%), 자동차(40.3%), 석유화학(21.3%), 전자부품(20.7%), 철강제품(15.7%), 산업용전자제품(12.8%) 등의 수입이 증가

ㅇ 對日 수입은 정밀기계(146.1%), 수송기계(59.9%), 반도체제조용장비(57.9%), 비철금속(51.0%), 철강제품(32.4%), 석유화학제품(29.6%),기초산업기계(17.0%), 반도체(13.7%) 등의 수입이 증가

ㅇ 對ASAEN 수입은 비철금속(117.2%), 석유제품(51.3%), 농산물(35.4%), 섬유류(20.6%), 전자부품(17.0%), 임산물(13.3%), 산업용전자제품(6.3%) 등이 증가세

3. 무역수지 동향 (잠정)

5월 무역수지는 14.8억달러 흑자로 흑자규모가 전년 동월(17.2억달러) 대비 2.5억달러 감소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의 고른 수입증가세로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을 상회하여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축소

對日·對중동 무역적자는 전년 동기대비 감소하였으나 對EU는 가전 등을 비롯한 소비재 수출 감소, 對中은 철강제품, 비철금속 등 원자재 수입 증가로 흑자규모가 감소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수출입팀장 차동형, 사무관 김범수, 주무관 백종승 02-2110-53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