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평년보다 2.3배 많아
□ 황사 발생 일수
황사 관측일은 전국 평균으로는 8.2일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황사관측일수 평년값 (‘73년~’00년의 평균) 3.6일의 2.3배 수준이며 2000년 이후에 평년값을 초과하는 경향 ('05년 5.1일, ‘06년 10.3일)을 보이고 있다. 월별 황사 관측일 수는 2월에 0.2일 (평년 0.1일), 3월에 3.2일 (평년 0.7일), 4월에 2.0일 (평년 2.0일), 5월에 2.8일 (평년 0.9일)로 나타났다. 3월과 5월은 평년의 3~4배 수준, 4월은 평년과 같은 수준으로 황사가 관측되었다.
□ 5월에 황사가 빈번했던 원인
일반적으로 5월에는 황사발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금년 5월에는 황사의 주 발원지역인 내몽골, 만주, 황토고원지역의 5월 달까지 강수량이 적어 지표면의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었고 발원지 근처에 중심을 둔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다량의 황사가 부유하였다. 또한 저기압 중심이 한반도 근처로 지나가는 경로를 보여 황사가 우리나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류의 방향이 형성되어 평년보다 많은 황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황사특보 현황과 금년에 처음 발생한 현상들
금년 4월에 한차례 황사경보가, 5월에는 두 차례의 황사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올해에 발생한 황사 중 가장 강한 황사는 황사경보가 발령된 3월 31일 ~ 4월 2일의 황사이다. 이때에는 대구에서 황사농도가 최고 2019 ㎍/㎥ 까지 증가하였다.
황사특보제도가 도입된 ‘02년 이후로 전국적인 규모로 황사특보가 발표 (3월31일~4월 2일) 된 것과 5월에 황사주의보가 발표된 것은 금년에 처음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금년과 같이 5월 하순 (5월 26일~28일)에 전국적인 규모로 황사가 발생한 경우도 ‘70년 이래로 처음 있는 현상이다.
□ 금년 황사업무 개선 사항
기상청은 2월 황사특보 개정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황사 특보기준을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황사주의보는 1시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400㎍/㎥ (기존 500 ㎍/㎥)이상 이 2시간 이상 예상될 때 로 황사경보는 800㎍/㎥ (기존 1,000㎍/㎥)이상이 2시간 이상 예상될 때로 조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또한, 금년부터 황사이동경로에 있는 관측공백지역의 황사상황을 입수하기 위해 중국과 몽골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국제협력단원과 현지 교민들 중 황사모니터(애칭 ‘아르고스‘)를 선발하였다. 기상청에서는 이들 아르고스들이 수시로 보내오는 황사상황을 황사예보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 향후 전망
6월 이후에는 기압계와 황사발원지의 특성상 황사의 발원자체가 적어지고, 풍계를 고려할 때 황사가 발원하더라도 우리나라로 향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황사발생 가능성은 적어진다. 그러나 금년 5월에 황사발생일수가 평년의 약 3배인 점과 ‘73년에는 6월 17일에도 국지적이긴 하나 황사가 나타난 점, 그리고 11월에도 황사가 관측된 과거사례 (’02, ‘05, ’06년 등) 등을 고려할 때 6월 이후의 황사발생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웹사이트: http://www.kma.go.kr
연락처
기상청 태풍황사팀 과장 유희동 02-2181-0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