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재건축, 4개월만에 하락폭 둔화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5월 한 달간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전국 -0.84%,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은 -0.88%를 기록했다. 서울은 -0.95%로 4월(-2.10%)에 비해 하락폭이 크게 줄었다. 강남권(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역시 -1.03%로 4월(-2.27%)보다 하락세가 크게 둔화됐다.
서울의 경우 강동구(-2.34%), 송파구(-1.37%), 서초구(-0.88%), 노원구(-0.53%) 등이 하락한 반면 광진구(2.03%), 용산구(0.28%) 등은 상승했다.
강동구는 지난달에 이어 하락폭이 가장 컸지만 5월 들어 하락폭이 둔화된 상태다. 시세가 바닥이라고 여긴 투자자들이 매수에 가담했으며, 장기투자를 생각하는 실수요자들의 매수문의가 늘어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고 있다.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18평형이 5천7백50만원 하락한 6억9천만~7억3천만원,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 18평형이 3천5백만원 내린 6억3천만~6억7천만원이다.
송파구도 지난달에 비해 하락폭이 크게 둔화됐지만 여전히 매수자의 관망세가 심해 거래가 어려운 모습이다. 시세보다 5천만~1억원 낮은 가격에 급매로 내놓아도 거래는 힘들다. 장기간 거래가 안되자 매도를 포기하고 다시 거둬들이는 매도자도 증가하는 추세.
신천동 장미1차 39평형이 1억원 내린 10억~11억원, 가락동 가락시영2차 10평형이 6천만원 내린 4억1천만~4억2천만원.
노원구는 상계주공8단지 시세가 하락했다. 매물이 많지 않지만 빨리 팔아야 하는 매도자들이 거래를 위해 시세를 조금 낮춰주는 정도. 추진위원회가 대립해 사업진행이 어려웠으나 5월 5일 주민총회를 개최하고 새로운 추진위를 구성했다.
13평형이 5백만원 내린 2억6천만~2억7천만원, 15평형이 1천만원 내려 3억4천만~3억6천만원이다.
반면 광진구는 중곡동 중곡이 상승했다. 별다른 추진사항은 없지만 단지가 워낙 노후 돼 조만간 사업진행이 있을 것으로 보여 여유자금을 가진 일부 매수자들이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평형이 1천5백만원 오른 1억8천만~2억2천만원.
용산구는 국제업무지구 조성계획 발표 후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이촌동 일대가 여전히 상승세다. 매도자들이 개발 기대감에 좀처럼 매물을 내놓지 않고 있으며 가끔 나오는 매물도 호가가 워낙 높아 거래는 많지 않다. 하지만 매도호가로 거래가 성사되기도 한다.
이촌동 중산 18평형이 3천5백만원 올라 5억~5억2천만원, 이촌동 강변 22평형이 2천5백만원 상승한 3억5천만~3억7천만원이다.
경기지역 재건축 매매가 변동률은 -0.38%로 지난달(-0.52%)에 비해 역시 하락폭이 줄었다.
지역별로 남양주시(-3.19%), 안산시(-1.06%), 과천시(-0.84%), 안양시(-0.73%)순으로 하락했으며 상승한 곳은 없다.
남양주시는 호평동 남양아파트가 하락했다. 주택시장이 침체되고 재건축 초기단지로 2004년 추진위 승인 이후 별다른 움직임이 없자 매수세가 끊긴 상태. 20평형은 7백50만원 하락한 1억~1억3천원이다.
안산시는 매물도 많이 나오지 않지만 매수세가 완전히 끊겨 시세가 하락했다. 고잔동 중앙주공1단지 25평형이 1천만원 내린 3억5천만~3억6천만원이다.
과천시는 원문동 주공2단지가 하락했다. 기존 단지들이 계속 하락세를 보이자 동반 하락하고 있는 추세. 지난 4월 안전진단통과 후 8평형은 급매물 위주로 한 두건 거래됐으나 현재는 조용한 상태.
18평형이 2천5백만원 하락한 8억~10억원이고 8평형이 5백만원 하락한 3억9천만~4억5천만원.
안양시는 석수동 주공3단지가 하락했다. 6월 말 조합원 동호수추첨을 할 예정이지만 시장침체 장기화로 매수세가 없자 더 떨어지기 전에 매도하겠다는 조합원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물량도 많지 않고 매도를 위해 조금 시세를 낮추는 정도라 하락폭은 크지 않은 상태. 13평형과 15평형이 각각 1천만원 하락한 2억~2억2천만원, 2억2천만~2억4천만원.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센터장은 “1.11대책이후 재건축 아파트값이 5월 마지막주에 하락세를 멈췄지만 종합부동산세 부과기준인 6월 1일이 지나 급매물이 없어진데다 5월 비수기로 인해 거래가 부진해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일수도 있어 6월 재건축 동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drapt.com
연락처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팀장 02-516-0410(261) 010-3454-5907
-
2009년 12월 23일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