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공, 행정중심복합도시 대동맥 간선급행버스시스템(BRT) 건설 첫발

성남--(뉴스와이어)--한국토지공사(사장 김재현 www.iklc.co.kr)는 2,200만평 규모의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의 대중교통축선상 모든 지역을 20분 내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간선급행버스시스템인 BRT(Bus Rapid Transit) 건설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였고 6.4일 밝혔다

행복도시에 설치되는 BRT 시스템은 환상형도시 내부 순환도로를 통하여 대중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오송역(KTX호남선), 대전 외삼역(대전도시철도), 청주(청주공항)등의 광역교통과 연계로 수도권 접근성을 향상시켜 대중교통이용에 장애가 없는 최첨단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행복도시는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또한 행복도시에 도입 예정인 BRT는 시간당 수송량이 30,000인 이상의 국내 최초 상급 수준의 BRT 건설계획으로 이는 국내에 도입사례가 없는 우리나라 최초 사례가 되는 계획이며 BRT의 수준은 전용주행로, 입체화전용램프, BRT우선신호, 전용자동차, 환승시스템, 운영관리시스템의 포함여부에 따라 BRT 수준은 상급, 중급, 하급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행복도시는 BRT 건설에 IT강국의 위상에 걸맞도록 모든 과정에서 유비쿼터스 시스템(u-City)을 도입하여 이용자 및 관리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BRT와 함께 자전거도로를 연계 교통수단으로 반영하여 그린대중교통의 선진사례를 제시할 계획이다.

간선급행버스체계(Bus Rapid Transit)란 기존 버스체계에 철도운영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시스템으로서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 효율적 관리시스템 등을 갖추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지하철 수준으로 대폭향상 시킨 첨담 대중교통수단을 말하며 현재 네덜란드, 이탈리아, 호주, 브라질 등이 BRT 도입 운영하고 있다.

토공은 행복도시에 BRT 기본계획이 국내표준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국내·외 건설사례를 비교분석하고 관계 전문가의 자문 등을 거쳐 오는 12월 계획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www.iklc.co.kr

연락처

한국토지공사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개발처 U-인프라팀 041-860-748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