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11월까지 비브리오패혈증 유행예측조사
비브리오패혈증은 해수온도가 18℃이상 상승하는 6~9월에 주로 발병하며,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사망률이 50%에 이르는 치명적인 감염병이다.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발병하지 않으며, 만성간질환, 알콜중독자, 만성 질환환자 등 면역저하자에게서 발생한다.
지난해에는 417건의 해수, 갯벌, 어패류 등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29건이 검출됐고 6월에서 8월사이에 대부분 검출되어 위생관리가 각별히 요구되고 있다. 올해에는 5월말까지 84건을 조사했으나 아직까지 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를 위해 연구원은 도내 서해연안의 해수, 갯벌, 어패류를 대상으로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의 오염도 조사를 실시, 균 검출 시에는 해당 시·군에 통보해 오염지역 어패류 생식 및 채취금지 등 행정지도 및 홍보를 통해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계획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서 섭취하고, 어패류를 손질한 칼, 도마 등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은 후 사용하며,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다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웹사이트: http://www.kihe.re.kr
연락처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장 031)250-2530
이 보도자료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12년 10월 9일 0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