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정책사업 집행 강화 조직 개편
이번 조직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IT기술의 첨단화 및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으로 주민등록번호 오·남용 등 개인정보보호 침해가 갈수록 심화됨에 따라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운영 및 민원처리 만족도 제고 등 개인정보보호 기능과 업무를 대폭 강화한 것이다.(개인정보보호단)
또한 스팸 대응 업무를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로 통합, 피싱 및 보트(Bot)와 연계되어 갈수록 지능화, 고도화 되고 있는 불법스팸대응 기능을 강화하였다.
또 IT839기술업무 전문화를 위해 종전에는 각단에서 분산 수행했던 IT839 사업기획 및 시범사업 등 업무를 1개부서(정보보호기술단)에서 집중 처리토록 개편했다.
이와 함께 올해 CCRA(국제상호인증협정) 가입에 따라 가입국 수준의 평가능력을 확보하고 평가·인증 제도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보보호 제품 평가 관련 업무와 조직을 재편하여 국제화·전문화를 지향하도록 했다.(보안성평가센터)
2004~2005년 MS·시스코 등 세계적인 IT기업과 미국의 카네기멜론대학(CMU), 일본의 IT담당기구인 IPA등 세계 유수의 기관들과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국제협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확대, 심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하고, 지난해 기획예산처로부터 우수기관상을 받은 업무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해 생동감 넘치고 업무효율이 배가되는 조직으로 경영할 수 있도록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KISA의 조직은 종전 4단(정책기획단·기반시설보호단·전자거래보호단·산업지원단), 1실(경영기획실), 1센터(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체제에서 이번에 4단(정책기획단·인프라보호단·정보보호기술단·개인정보보호단), 2센터(보안성평가센터·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 1팀(총무팀)체제로 개편된다.
KISA는 금번 조직개편을 계기로 정보보호업무와 국제협력, 경영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2006년까지 경영목표인 최고의 정보보호전문기관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웹사이트: http://www.kisa.or.kr
연락처
경영기획실 연구원 장세정 02-405-5174
이 보도자료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11년 4월 11일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