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날 행사 7일 열려
오는 2015년이면 창원, 구미, 울산 등 전국 7개 시범단지를 대상으로 펼쳐지고 있는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생산, 수출, 고용 등이 획기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은 7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리는‘제2회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날’ 행사를 통해 이 같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성과와 비전, 로드맵과 미래 발전상을 발표했다.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로서 그 동안 산업단지에 신선한 변화의 바람을 선도해 온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성과와 미래를 가늠해 보는 이번 행사는 “산업단지, 산·학·연이 함께 하는 혁신공간 창출‘을 슬로건으로 6월 7일과 8일 양일간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펼쳐진다.
산업자원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최, 한국산업단지공단, KOTRA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제2회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나’ 행사는 7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혁신클러스터 국제컨퍼런스’ △ 글로벌 바이어가 대거 참가하는 ‘수출상담회’ △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해외 혁신클러스터 기관과의 협력교류 행사 △ 글로벌 기술이전사업화 핵심전략 심포지엄 △산업단지 사진전 전시행사 등 다채로운 행사로 꾸며진다.
이번 행사는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인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지난 2년간의 의미있는 성과를 돌아보고 창출된 성과를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중장기 비전과 로드맵이 발표되어 우리 경제가 혁신주도형 경제로 진일보하는 의미가 부여된다..
<개막식 및 비전, 로드맵 발표>
행사 첫 이벤트인 개막식에는 김영주 산업자원부 장관,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김칠두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홍기화 KOTRA 사장을 비롯하여 전국 7개 혁신클러스터추진단, 전국 지자체, 대학, 지원기관, 기업 등 지역 혁신주체 그리고 해외 클러스터 기관, 해외 바이어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펼쳐졌다.
개회식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중장기 비전 영상물 상영을 시작으로 ‘2015 혁신클러스터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한 중장기 사업 로드맵이 발표됐다. 민봉준 한국산업단지공단 클러스터추진팀장은 발표를 통해 지난 2년간 사업추진의 성과를 보고하고, 클러스터 정책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성과분석 결과와 성과확산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올해 말까지 1단계로서‘한국형 클러스터 기반 구축’이 이뤄지며 △ 내년부터 2011년까지 ‘자립형 클러스터 성장기반 확립’의 2단계 사업이 추진됐다. △ 오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단계 사업추진을 통해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 육성’의 목표를 완성한다는 내용이다.
이어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혁신클러스터 비전 선포식’을 통해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오는 2015년까지 ‘한국경제를 견인하는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 육성’을 목표로 하는 이벤트도 마련되었다.
한편, 이날 개막식에는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 진흥 유공자들에 대한 표창 수여 행사도 진행된다. 영예의 대통령상에는 신주식 삼홍전자 대표와 박인석 휴먼라이트 대표가 수상하게 되며, 국무총리 표창에는 창원산업단지 성우기전과 박성길 한국산업단지공단 클러스터추진팀 과장이 수상할 예정이다.
<혁신클러스터 국제회의>
행사 첫날 오후 1시부터 인터컨티넨탈 호텔 그랜드볼룸에서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산업클러스터학회(회장 박삼옥 서울대 교수) 주관으로 ‘클러스터 정책과 창의도시 발전에 관한 국제세미나가’가 열린다.
국제 세미나는 알렌 스코트 미국 UCLA 공공정책대학 부학장과 필립 맥캔 뉴질랜드 와이카토대학 교수의 ‘도시의 혁신과 창의성’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두 가지 분과별로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클러스터 정책과 도시의 혁신’을 주제로 한 제 1분과에서는 임경순 포항공대 교수의 사회로 슈진유 대만 국립대만대학교 교수의 ‘신죽 클러스터의 혁신과 창의 네트워크’ 발표에 이어 김인중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센터소장, 남기범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유지 후루카와 일본 TAMA 산업활성화협회 회장, 브라이어 소 홍콩생산력촉진국 컨설턴트가 패널로 나서 토론의 시간을 갖는다.
제2분과는 이의영 군산대 경제통상학부 교수의 사회로 ‘클러스터정책과 창의도시발전의 시사점’을 주제로 한 토론을 펼친다. 신동호 한남대 지역개발학과 교수가 ‘한국의 혁신클러스터와 창의도시로의 발전과제’를 발표하고 이철우 경북대 교수, 김호연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 손정렬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 훙 대만 신죽 사이언스파크 원장이 패널로 나서 토론을 가진다.
행 사 명: “클러스터정책과 창의도시발전에 관한 국제세미나”
개최일시 : 07. 6. 7(목) 13:30 - 17:40
개최장소 :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주 관 :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클러스터학회
참석인원 : 産·學·硏·官 혁신주체 400명 내외
* 세부 프로그램
13:46~15:06 (80′)
기조강연 : 도시의 혁신과 창의성 알렌 스코트
미국 UCLA 공공정책대학 부학장 세계화정책연구소 소장 필립 맥캔
뉴질랜드 와이카토대학교 교수
제 1분과 : 클러스터정책과 도시의 혁신 : 이론과 적용
‣ 좌장 : 임경순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15:15~15:45 (30′)
발표1: 신쥬(Hsinshu)클러스터의 혁신과 창의 네트워크 슈진유 대만 국립대만대학교 교수
15:45~16:15 (30′)
※ 좌장정리 6′ 토론: 김인중,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센터소장 (6′)
남기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 (6′)
TAMA Yuji Furukawa(6'), HKPC(홍콩생산력촉진국) Bryan MK SO(6')
제 2분과 : 클러스터정책과 창의도시발전의 시사점
‣ 좌장 : 이의영 군산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16:30-17:00 (30′)
발표1: 한국의 혁신클러스터와 창의도시로의 발전과제 신동호
한남대 도시 및 지역개발학과 교수
17:00~17:30 (30′)
※ 좌장 정리 6′
토론: 이철우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6‘)
김호연 선균관대학교 경제학부 교수(6‘)
손정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6‘)
대만 신쥬(Hsinshu) 사이언스파크원장 der-Ray Hung(6')
<전략산업별 부품소재 수출상담회>
한편, 행사 양일간 인터콘티넨탈 호텔 그랜드 볼룸과 오키드룸에서는 글로벌 바이어와 유력 바이어가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초청 구매정책 설명회’와 ‘전략산업 부품소재 수출상담회’가 한국산업단지공단과 KOTRA 주관으로 열린다. 이 행사에는 매출 100억불 이상인 해외 빅 바이어 4개사*와 유력바이어 업체 80개사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회원사 100여개사가 참여한다. 특히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기술개발과 제품개발을 이룬 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바이어(4개사) : Ingram Micro(IT, 세계 최대 PC제품 유통업체, 캐나다), International truck&Engine(자동차, 디젤엔진, 트럭 및 스쿨버스 제작업체, 미국), Balleo(자동차), The Chugoku Electronic Power(기계, 일본)
■ 글로벌 기업초청 구매정책 설명회
- 일시 : 6. 7(목) 14:00~17:00
- 장소 : 오키드룸
- 행사방식 : 전 국내 기업대상 글로벌 기업들의 구매정책 설명회
■ 전략산업별 부품소재 수출상담회
- 일시 : 6. 8(금) 09:00~17:30
- 장소 : 그랜드볼룸
- 행사방식 : 자동차부품, 기계, 전지전자, 의료, 부품소재 등 산업분야 총 80부스 설치
<글로벌 클러스터 협력교류회>
한국산업단지공단은 혁신클러스터 업무협력 MOU 등을 체결한 해외 7개 기관과 국내 혁신지원기관을 초청, 상호 추진업무와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교류·협력의 시간을 갖는다. 이번에 참가하는 해외 클러스터 기관은 일본의 TAMA산업활성화협회, 독일 슈타인바인스재단, 핀란드 울루 테크노폴리스 PLC, 홍콩 생산력촉진국, 태국 산업단지관리청(IEAT), 대만 신죽사이언스파크, 필리핀 상공회의소, 필리핀 클라크경제자유구역개발청 등 7개 기관이다.
산단공은 이들 해외 기관과 상호 협력분야에 대한 소개 및 토론의 시간을 갖고 혁신클러스터 사업이 활발히 추진 중인 반월·시화산업단지를 방문하여 클러스터 교류행사를 갖는다.
▶ 해외 협력기관
국가-기관명-참석자-직책
일본 TAMA산업활성화협회 후루카와 유지(Yuji Furukawa)회장
독일 슈타인바인스재단 올리버 담닉(Oliver Damnik)
핀란드 울루테크노폴리스PLC 마우리 사히(Mauri Sahi)
홍콩 홍콩생산력촉진국 브라이어 소(Bryan MK So)
태국 태국산업단지관리청 스리바닉 하사딘(Srivanik hasadin)이사
필리핀 필리핀상공회의소 도날드 디(Donald G, Dee)회장
대만 대만 신죽사이언스파크 데어레이 황
<글로벌 기술이전사업화 핵심전략 심포지엄>
이와 함께 혁신클러스터 회원사의 기술이전을 확산하기 위한 핵심전략 심포지엄이 6월 8일 오후 2시부터 오키드룸에서 열린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삼성경제연구소 곽수종 수석연구원의 ‘한미 FTA와 기업의 지적재산권 활용방안’ 발표와 하청일 테크란 이사의 ‘선진 해외 기술 도입 및 활용 우수사례’ 소개 그리고 이승호 델타텍 대표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의 생존전략’ 발표가 이어진다.
■ 행사명 : Global 기술이전사업화 핵심전략 심포지움
Session Ⅰ : 한미 FTA와 기업의 지적재산권 활용방안
* 지적재산권을 중심으로 한미 FTA에 따른 기업의 대응전략(SERI 곽수종)
Session Ⅱ : 선진해외 기술도입 및 활용 우수사례 등
* 케이스 중심의 선진해외 기술도입 사례 및 기술도입 전략(테크란 하청일)
Session Ⅲ : 글로벌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의 생존전략
* 국내외 기술관련 비즈니스 특성을 고려한 기술이전제도 및 절차(델타텍 이승호)
<산업단지 사진전>
부대행사로 지난 2월 한국산업단지공단 창립 10주년 기념행사로 개최된 ‘제1회 산업단지의 美 디카사진공모전’ 수상작과 웅장한 국가산업단지 항공촬영 전경을 전시한 사진전 행사가 로비에서 펼쳐진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이번 제2회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날 행사를 통해 혁신클러스터 사업이 국가경제를 견인할 핵심 정책임을 부각하는 한편, 사업 성과를 널리 알려 지속적인 성공사례 창출을 앞당길 계획이다.
김칠두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은 지난 해 말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에서 열렸던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성과보고회’를 통해 정책의 유효성이 검증된 만큼 지속적인 성과창출을 통해 산업단지가 국민경제의 제2도약을 앞당기는 첨병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kicox.or.kr
연락처
산업단지공단 홍보팀 이길재 02-6300-5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