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관리·리더십분야의 세계 최고권위자 하버드대 에이미 에드먼슨 교수 초청 특강

서울--(뉴스와이어)--세계경영연구원(IGM, 이사장 전성철)은 ‘글로벌 명사 초빙 프로그램’(GGP, Global Guru Program)의 일환으로 오는 11-16일 변화관리 리더십분야의 세계 최고권위자인 하버드대학의 에이미 에드먼슨(Amy C. Edmondson)교수를 초청해 국내 CEO들을 대상으로 강연하는 시간을 갖는다.

에드먼슨 교수는 IGM을 졸업했거나, 재학중인 국내 유력 CEO들과 주한 다국적 기업들의 CEO, SK텔레콤, KTF 임원 및 간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강연과 세미나를 차례로 가질 예정이다.

특히 IGM출신 CEO들을 대상으로 한 그의 강연에는 IGM부설 ‘외국인 CEO 포럼’ 소속의 다국적 기업의 CEO들이 대거 참석해 글로벌 학습에 함께 나선다.

송자 대교 회장,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남용 LG 전자 부회장, 신상훈 신한은행장, 김신배 SK 텔레콤 사장, 조용주 KTF 사장, 박진수 LG 석유화학 사장, 노연상 S-OIL 사장, 김영환 e믿음치과 원장(전 과학기술부 장관) 등 한국의 기라성 같은 CEO들과 외환은행의 윌리엄 H. 로엘 부사장, 스카이랜 디벨로프먼트(Skylan Development)의 피터 월리치노프스키CEO, 슈트트가르트 스포츠사의 마이클 베터 사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에드먼슨 교수의 이번 강연은 최근 FTA 협상 타결 이후 더욱 심화될 글로벌경제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관리와 위기관리의 경영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에서 국내 CEO들에게 나침반역할을 해줄 것으로 보인다.

IGM의 전성철 이사장은 “세계화 시대에서의 기업 발전의 절대조건은 글로벌 스탠더드적 가치에 근거한 변화관리 능력의 발현에 있다”면서, “에드먼슨 교수는 변화관리 리더십, 서비스 매니지먼트, 조직학습 등 글로벌 경영의 노하우를 생생하게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에드먼슨 교수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박사과정 전체를 총괄 책임지고 있으며, 2006년부터 IGM의 학술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6월 IGM의 GGP에서는 하버드 경영대학의 프란시스 프라이(Frances Frei) 교수가 방한해 LG 텔레콤 간부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Excellence’에 대해 교육을 해 상당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참고자료1] 에드먼슨 교수의 주요 강연 일정
11일 오후 5:30-8:00 , IGM 최고경영자과정(IGMP) 강연, 조선호텔 오키드룸
12일 오전 7:00-8:30, 병원협회 CEO 모임 강연
14일 오전 8:00-10:00, SKT 임원 및 간부직원 대상 강연
오전 11:00, IGMP 원우회 CEO대상 강연
오후 5:30-9:00, IGM 북클럽 ‘MMP 플러스’ CEO 대상 강연, 프라자 호텔
15일 오전 9:30-오후 4:30, KTF 임원 및 간부직원 대상 강연

[참고자료2] 에드먼슨 교수의 약력
에이미 에드먼슨 교수는 1996년 부교수로 하버드대학에 들어온 이래 변화 관리 리더십, 서비스 매니지먼트, 조직 학습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또한 차기 리더들을 위한 하버드 경영대학의 세계은행 프로그램의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그 동안 50편이 넘는 주옥 같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뛰어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00년에는 조직 학습 분야에서 최고 논문상을, 2003년 Cummings Award를 그리고 2004년 Accenture Award에 수상했다.

산업 현장에 바탕을 둔 에드먼슨 교수의 연구는 헬스 케어와 제조업에서부터 우주 탐험에까지 넓은 영역을 포괄한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병원에서의 리더십 활동과 환자의 대한 안전한 심리적 환경 조성의 영향력’과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매니지먼트 팀의 역할’에 대한 것들이 있다. 그녀는 또한 조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리더십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현재 에드먼슨 교수는 경영학과의 학과장으로서, 하버드의 박사과정을 총괄하고 MBA와 최고 경영자 과정에서 리더십, 서비스 매니지먼트, 조직 학습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박사과정에서는 산업조사 방법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차기 리더들을 위한 하버드 경영대학의 세계은행 프로그램에서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과거에는 하버드 MBA의 필수 과목인 기술과 운영관리(Technology and Operations Management)를 강의하였고, 17개의 박사학위 위원회에서 근무한 바 있다.

에드먼슨 교수는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고 각종 학술지와 경영 잡지에 50 편 이상의 논문을 기고했다. 2003년에 the Academy of Management's Organizational Behavior Division는 교수의 연구 업적을 인정하여 Cummings Award를 수여했고, 2000년에는 ‘팀에서의 심리적 안정과 교육 태도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behavior in work teams)’에 대한 연구를 이 분야의 올해 최고의 기사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2004년에 저술한 ‘왜 실패로부터 배우지 않는가: 시스템의 변화를 저해하는 조직 구조와 심리상의 문제 (Why Organizations Don't Learn from Failures: Organizational and Psychological Dynamics That Inhibit System Change)’는 경영 활동에 대한 높은 기여도를 인정받아 Accenture Award에 선정되었다. 이 외에도 그녀는 Cleveland Clinic, GM Powertrain, Prudential Financial, Simmons Mattress Company, 1YUM brands, IDEO product design, NASA의 실패한 콜롬비아 미션을 포함하는 18개의 하버드 비지니스 케이스를 저술하였다.

학문의 길에 들어서기 전, 에드먼슨 교수는 Pecos River Learning Center에서 연구이사로 재직하면서 설립자이자 CEO인 Larry Wilson과 함께 포천 100대 회사들의 다양한 조직 변화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실행하였다. 1980년대 초반에는 저명한 건축가이자 발명가인 Buckminster Fuller와 최고 엔지니어(Chief Engineer)로 공동으로 작업했다. 에드먼슨 교수는 하버드 대학에서 조직 행동 박사학위, 심리학 AM, 엔지니어링과 디자인 AB를 받았다. 남편은 세계적인 줄기세포 연구의 권위자인 George Daley박사이다.

[참고자료3] 에드먼슨 교수의 강의 요지

강의 1: “Leading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hange”
(어떻게 리드할 것인가?)

21세기의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조직은 계획-실행이 아닌 도전-탐구를 통해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방법을 학습해야 합니다. Edmonson 교수는 기존의 변화 경영 전략과 새롭게 떠오르는 학습 조직 운영 전략의 차이점에 대한 강연을 통해 참석자들이 발전된 ‘변화 관리 리더십’을 체득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합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시시각각 변하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스스로 배우고 변화에 발 맞추어 나가는 학습 조직 구축을 통해 지속적인 변화관리에 성공하는 방법을 전달합니다. 의료사고와 소송이 끊이지 않던 3류 병원을 급변하는 환자의 요구와 상태에 맞추어 시의 적절하게 대응하는 학습조직으로 구축하여 세계적인 병원으로 변신한 Children’s hospital의 사례를 통해 변화관리의 단계와 리더십의 역할, 문화의 변화 그리고 학습 조직을 구축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칩니다.

강의 2: “How Organizations can better learn from failures”
(실수에서 배우는 성공 비결)

바둑이나 운동경기를 보더라도 묘수나 뛰어난 역량이 승부를 판가름하기 보다는 실수가 성패를 결정 짓듯 개인이나 조직의 성패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실수를 관리하고 실패를 최소화하는 법이 중요한 성공 조건이며 실수 혹은 실패에서 배우는 개회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이번 강의는 Edmonson 교수의 오랜 연구결과의 정수이며 참석자들은 모든 실패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요인과 실수의 연쇄고리를 깨는 방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Edmonson 교수는 ‘실수의 확장 모델’이라는 frame을 토대로 실수를 유발하는 내부 및 외부 요인을 설명하고 실수의 유형을 운영과 전략 및 문화적 문제로 구분하여 이들이 어떻게 재난으로 연결되는지 설명합니다. 그리고 각 사례별로 교훈을 도출하고 실수의 경고 신호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계속되는 불확실성에 직면하더라도 시행 착오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해 나가는 조직을 만들 수 있다면 모호한 위험 앞에서도 오류를 줄이고 파국적인 결과를 예방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알려진 해결책이 없는 상황에서 직면하게 되는 위험, 미래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조직 운영의 혼란을 관리하기 위한 경영 전략 학습 여행입니다.

강의 3: “Eight steps and five trip wires in organizational change”
(변화관리 8단계와 변화를 추진할 때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여행을 가기 전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지도를 챙기고 목표지에 도달하는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일 것입니다. 기업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해 누구나 변화해야 하는데 이 변화의 여정을 거치는 가장 최선의 방법 그리고 곳곳에 숨어있는 장애물을 미리 파악할 수만 있다면 얼마나 큰 도움이 되겠습니까? 세계 제일의 변화관리 전문가인 하버드 경영대학 존 코터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세계 일류기업들의 변화관리 노하우가 고스란히 녹아있는 풍부한 사례 위주의 강연입니다.

IGM세계경영연구원 개요
IGM세계경영연구원은 2003년 설립부터 지금까지 20만 명이 넘는 CEO와 임직원의 리더십과 전문역량을 키우고 지식으로 기업의 전략실현과 성장을 돕는 국내 최고의 프리미엄 교육 전문 기관이다. 2019년 메타넷 그룹의 일원이 되어 '지식의 가치를 통해 세상을 이롭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꿈을 펼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igm.or.kr

연락처

IGM세계경영연구원성일권(선임 연구위원), 홍미영 / 안미현 CEO스쿨실장
연락처: 서울 종로구 사직동 262-83, TEL 722-1730, FAX 722-088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