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자원대책위원회 개최

서울--(뉴스와이어)--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자원대책위원회(위원장: SK 신헌철 사장)는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기술수준이 선진국의 50%에 불과하는 등 사업환경이 크게 열악하다고 밝히고,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산업계 공동 기술개발, 수소 연료전지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 노력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신헌철 위원장은 고유가 상황의 지속과 심각한 에너지·자원 확보경쟁에 대비하여 지속적인 자원확보는 물론 신성장동력 육성 방안의 하나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고 주장하였다.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 미흡

전경련은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기술개발과 설비투자 자금의 일부 지원에 그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민간투자 유인은 물론 초기시장 창출이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예컨대 외국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및 구매를 의무화하고 있는데 반해 국내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공공구매 제도가 최근에 도입된 데다 권장 수준에 불과하여 시장 창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은 선진국의 50% 이하 수준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5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며, 기술개발 투자 누적액(1990년~2004년)의 경우도 미국의 4%, 일본의 6.5%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투자 확대는 물론, 나눠먹기식 자금지원 방식을 개선하고, 부품소재 등에 대한 기업간 공동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해야한다고 밝혔다.

국내 바이오연료 시장확대 정책 재검토 필요

바이오연료의 원료인 대두유 등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전세계 수요 급증 시 원료 수급 차질로 사료·농산물의 가격상승, 식량부족 문제, 삼림파괴·물부족 등 부작용이 심화될 수 있다고 밝히고, 확대일로에 있는 바이오연료 보급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28일) 11:30-13:00 전경련회관 19층 경제인클럽에서 개최된 회의에 SK 신헌철 사장(위원장), 대성산업 장석정 사장, GS칼텍스 손영기 부사장 등을 비롯한 위원 20인이 참석하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전경련 산업본부 이병욱 본부장 02-3771-030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