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기자협회 논평-정부는 정보 접근권 더욱 확대해야

서울--(뉴스와이어)--인터넷기자협회는 10일 공개된 정부와 인터넷기자협회를 포함한 주요 언론단체와의 협의 내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힌다.

이번 정부와 언론단체간의 협의 과정에서 정부 관계자들과 언론단체장들은 매우 진지하고 신중하게 폭넓은 의견과 입장을 교환하고 논의하였다. 기사송고석 좌석 수부터 브리핑 룸 개수, 경찰서 기자실 존폐 문제, 언론자유를 제약하는 국가보안법 및 북한 관련 언론사이트 차단 해제 문제, 취재훈령 제정, 정보공개위원회에 언론인 참여 등 정보공개법 개정 등을 광범위하게 논의하였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정부와 이번 언론단체간의 논의와 협의 과정이 의미 있었다고 판단한다. 협의 과정은 진지했고, 내용은 폭 넓었다. 그리고 이번 협의 내용의 상당 부분에 대해서 국민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부 협의 내용과 관련 진보적 인터넷언론과 전문지 매체의 관점과 기존의 주류언론의 시각을 비교해 볼 때 확연한 입장 차이가 나타나는 대목도 있었다.

일선 부처 현장에서 유력 언론사 상주기자단을 위주로 한 기사송고석 배정과 각종 취재 편의 제공, 주요 정부 관계자와의 간담회, 풀기자단 구성 등에서 인터넷언론과 전문지 매체는 기성 일간지와 방송사 등에 비해 많은 차별을 받아왔던 점이 사실이다. 반면 주류 언론의 일부 기자들은 인터넷언론 등의 이런 문제의식에 대해서 ‘큰 문제가 없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시대를 따라잡지 못하는 정부 부처의 기자실 운영의 일부 폐단은 반드시 고쳐야 한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문제점 해소 전까지 시행을 유보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대안 없는 논쟁과 대립만으로 언론 자유와 국민의 알권리가 지켜진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과 관련 앞으로도 문제점을 면밀히 파악하고 개선책과 대책 마련에 적극 노력할 것이다.

아울러 전자 브리핑 확대와 관련해,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그간 풀기자단에게만 제공해 오던 e-춘추관 사이트를 1백74개사 등록기자 3백10명 전원에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참여정부 초기부터 청와대에 온라인기자실 설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e-춘추관 사이트 개설 초기에도 풀기자단에게만 이용권을 줄 것이 아니라 등록기자 전원에게 이용권을 부여할 것을 청와대에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인터넷기자협회의 요청을 거절했다.

지난 6월 17일 노무현 대통령과 언론인과의 대화 이후 인터넷기자협회는 정부와 언론단체간의 협의 테이블에 참여해 왔다. 이 과정에서 인터넷기자협회는 e-춘추관 사이트 이용 불가 등 풀기자단과 인터넷기자, 전문지 기자 등이 포함된 등록기자간의 차별을 시정할 것을 여러 차례 제기한 바 있다.

뒤늦었지만 청와대가 e-춘추관 사이트를 등록기자 전원에게 개방하기로 한 것은 인터넷기자협회의 문제 제기를 청와대가 수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협회는 청와대의 이번 조치를 환영한다.

천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밝혔듯 e-춘추관 온라인 질의응답 시스템 확대 개편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해 기자들의 청와대 정보 접근권을 현재보다 더욱 확대해야 한다. 청와대 관계자 취재는 매우 까다롭고 어렵다. 대면 취재는 공식 브리핑 외에 접근하기 어렵고 전화 취재 하늘에 별 따기처럼 쉽지 않다. e-춘추관 공개 확대와 온라인 질의응답 시스템 확대 개편을 통해 언론의 취재 사항에 대해서 성실하고 충실하게 응해 줄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2007년 7월 10일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회장 이준희

웹사이트: http://www.kija.org

연락처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사무처 02)725-500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