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국제관, ‘대구·경북 경제통합 대토론회’ 열려

경산--(뉴스와이어)--대구와 경북이 공동 발전을 목표로 경제통합을 선언한 지 언 1년. 그동안의 크고 작은 성과와 향후 추진과제들을 짚어보는 대토론회가 24일 오후 영남대 국제관에서 열렸다.

“대구·경북 경제통합 어디까지 왔나?”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지방정부와 지역상공계, 학계, 언론계에서 바라보는 시·도간 경제통합의 의미와 필요성, 향후 추진방향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특히 토론자들은 대구와 경북을 잇는 광역전철망의 구축, 통합산업단지의 조성, 동남권 신공항 건설 등 경제통합의 초석이 될 수 있는 숙원사업을 정치권에 강력히 요구했다.

한국선 대구일보 편집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김남일 대구경북 경제통합추진위원회 사무국장이 발제자로 나섰으며, 시·도를 대표해 박봉규 대구시정무부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정부부지사가 참석했다. 또 문영수 대구상공회의소 상근 부회장과 배병한 경북대 경상학부 교수, 이효수 영남대경제금융학부 교수 등 각계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발제자로 나선 김남일 사무국장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그동안 힘을 합쳐 지난해 국립대구과학관을 유치한 것을 비롯해 대구재활전문산재병원 건립부지 확보, 앙코르-경주세계문화엑스포 공동부스 운영 등의 성과를 이뤄냈다”고 강조했다.

김 사무국장은 이와 함께 앞으로 대구시와 경북도가 경제통합을 통해 이뤄할 16개 사업으로 △모바일필드 테스트베드 기반구축 △엑스코 대구확장 △대구경북한방산업 진흥 △해외협력분야 공동추진 △해외협력분야 공동추진 △외국인투자 유치 △경북통상(주)대구참여 △동북아자치단체연합 운영협력 등을 제시했다.

또한 △도농상생교류 협력 △대구교통권 교통카드 호환 및 공동환승 할인제 △KTX로 만나는 대구경북 관광프로그램 개발 △대구·경북공동관광홍보체제 구축 △대구경북대학간 연계 강화 △대구·경북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구경북 희망경제펀드 조성 △대구·칠곡 도시발전계획 수립 △환경기초시설 공동 활용 등도 제시됐다.

이와 함께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성공적 개최 △2007년 경북방문의 해 추진 △대구경북 통합산업단지 조성협력 △대도시권 광역도로 건설사업 △광역전철망 구축 △시·도간 공무원 인사교류 추진 등 11가지 추가선정과제도 논의됐다.

박봉규 대구시정무부시장은 “부산과의 유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었던 것은 경북도의 적극적인 지원이 큰 몫을 차지했다”며 “대구 엑스코 확장 사업에 경북도가 100억 원을 투자하는 것 또한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커다란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정무부시장은 “대구와 경북이 앙코르-경주 세계문화엑스포에서 10개의 공동부스를 운영해 45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성공적으로 행사를 치렀다”며“특히 대구와 경북이 경제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통합산업단지 조성과 구미~대구~포항을 잇는 광역전철망 구축을 위해 중앙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경북의 경제통합으로 지역의 경쟁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문영수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해외투자유치의 경우 대구시와 경북도가 품목별 특화해 공동유치를 한다면 타 지역에 비해 큰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며“특히 해외 곳곳에 파견해 둔 해외통상주제관 활용을 양시도가 함께 함으로써 지역 기업들에게 상당한 이익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시도의 경제통합은 발 빠르게 흘러가고 있는 현재 산업구조 속에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효수 영남대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지식기반경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양시도가 젊은 층에게 창업자금을 빌려주기 위해 구성한 희망경제펀드는 지역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발 빠른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병한 경북대 경상학부 교수는 “경제통합의 발 빠른 진행을 위해 ‘대구의 중소상공인이 경북통상의 지원을 받아 성공했다’는 식의 사례를 집중 조명해 통합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를 마무리하면서 한국선 대구일보 편집국장은 “대구와 경북을 잇는 광역전철망 구축, 통합산업단지 조성, 동남권신공항 건설 등은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초석이 될 수다는 숙원사업이라는 공감대를 확인한 만큼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웹사이트: http://www.yu.ac.kr

연락처

영남대학교 비서홍보팀 변점식 팀장 053-810-1011
영남대학교 비서홍보팀 이원영 053-810-101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