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한·아세안 FTA 지원체제 본격 가동

대전--(뉴스와이어)--관세청(성윤갑)은 아세안 지역에 진출한 우리기업을 상대로 FTA 활용전략 설명회를 23일과 24일 인도네시아에서 개최했다. 이어 26일과 27일에는 말레이시아에서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 6월 발효된 한-ASEAN FTA 상품협정이 발효에 다른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지원이 부족하다는 현지 공관 및 업계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으며 관세청은 천홍욱 통관지원국장을 단장으로 FTA, 원산지 및 품목분류 전문가로 구성된 지원단을 편성해 진행했다.

인도네시아 설명회에서는 그간 관세청이 추진해온 FTA 비즈니스 모델 등 FTA 구체적 활용전략 및 FTA 이행경험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회 및 개별 상담을 진행됐다.

아울러, 인도네시아 관세청 책임자(카밀 부청장)와 면담을 통해 우리 기업이 현지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전달하여 현지 기업에 대한 측면지원과 함께, 한·ASEAN FTA의 안정적인 이행을 위한 관세청간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현재 한-아세안 FTA 협정 이행이 지연*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자국의 이행규정을 정비하여 8월 중 시행에 들어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인도네시아 세관당국에서 현지한국기업을 위해 8월 중 별도 설명회를 개최하기로 약속 받았다.

* 인도네시아는 ‘07.6.1일 우리측에 한·아세안 FTA 발효를 통보했으나, 국내입법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이행이 지연되고 있었음

인도네시아 세관의 설명회는 현지진출기업이 우리청에 건의한 사항으로 앞으로 FTA뿐 아니라 통관관련 문제에 대해 현지의 우리기업과 인도네시아 세관당국이 직접 대화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기업이 통관상 겪고 있는 애로사항에 대해서 인도네시아 관세청이 최선을 다해 적극 검토해 나가기로 하였다.

설명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관세청의 FTA비즈니스 모델이 앞으로 FTA를 전략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화상채팅 등 실시간으로 컨설팅이 가능한 방안을 제시했다.

또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이 1,000개가 넘는데도, 통관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마땅히 상담할 기관이 없다면서 대화창구가 되어 줄 우리측 세관직원의 파견을 요청하여, 우리청은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하였다.

관세청에서는 앞으로 이미 설명회를 요청하고 있는 베트남을 포함하여, 현지기업의 설명회 요청 수요에 따라, FTA 발효국가로 설명회를 계속 확대하여 FTA에 따른 기업지원전략을 본격적으로 가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공정무역과 이철재 사무관 042) 481-764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