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6월 중 산업활동동향(요약)
6월 중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보다 0.4p 상승하였으며,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전월대비 0.6%p 상승
산업생산은 액정표시장치,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로 전월대비 1.9%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도 7.6% 증가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82.7%를 나타내 전월(83.3%)에 비해 소폭(0.6%p) 하락하였으나 높은 수준을 유지
소비재 판매는 음식료품, 차량연료 등의 판매 부진으로 전월대비 0.4% 감소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컴퓨터, 가전제품, 승용차, 운동오락용품 등을 중심으로 4.7% 증가
설비투자는 항공기, 통신기기, 자동차 등의 투자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9.1% 증가하였으며, 선행지표인 기계수주는 공공부문 발주가 기저효과 작용 등으로 크게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2.6%의 낮은 증가
건설기성은 민간부문이 건축부문의 부진으로 감소하고, 공공부문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전년동월대비 3.0% 증가,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공공부문의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나, 민간 및 민자부문 발주호조로 전년동월대비 28.8% 증가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4p 상승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전월대비 0.6%p 상승
1. 생 산 동 향
생 산
6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계절조정) 1.9%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7.6% 증가하여 호조세 지속
전월대비로는 반도체 및 부품(반도체, LCD)의 생산호조가 지속되고, 지난달에 부진했던 영상음향통신(휴대용전화기, FPDTV), 음식료품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및부품, 자동차(승용차, 특장차), 기계장비(에어컨, 굴착기) 등을 중심으로 금년들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냄
- 조업일수(’06.6월: 24.9일 → ’07.6월: 24.5일) 조정지수로는 9.4% 증가
2/4분기로는 전분기대비 4.4%, 전년동분기대비 7.0% 증가
<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증가 : 반도체 및 부품(5.3%), 영상음향통신(10.9%), 음식료품(2.8%) 등
·감소 : 화학제품(-3.0%), 기계장비(-2.7%) 등
<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증가 : 반도체 및 부품(22.5%), 자동차(6.0%), 기계장비(5.3%) 등
·감소 : 영상음향통신(-5.0%), 섬유제품(-8.1%) 등
< 제조업 생산확산지수 >
6월 제조업 생산확산지수는 52.3으로 전월보다 소폭 상승
- 증감업종수:5월(증가33,보합0,감소32)→6월(증가34,보합0,감소31)
출 하
6월 생산자제품 출하는 반도체 및 부품(반도체메모리, LCD), 영상음향통신(휴대용전화기) 등에서 호조를 보여 전월대비 1.2%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7.4% 증가
2/4분기로는 전분기대비 3.3% 증가, 전년동분기대비로도 7.2% 증가
<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증가 : 반도체 및 부품(8.1%), 영상음향통신(5.7%), 기타전기기계(3.6%) 등
·감소 : 화학제품(-6.5%), 제1차금속(-3.3%) 등
<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증가 : 반도체 및 부품(25.8%), 자동차(4.7%), 기계장비(6.8%) 등
·감소 : 영상음향통신(-3.1%), 음식료품(-3.1%) 등
내수용 출하는 제1차금속, 영상음향통신,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3.8%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지난 4~5월에 비해 다소 둔화
수출용 출하는 반도체, 자동차, 기타전기기계 등에서 호조를 보여 전년동월대비 11.7% 증가
2/4분기로는 전년동분기대비 내수용 4.9%, 수출용 9.9% 증가
재 고
6월 생산자제품 재고는 제1차금속, 사무회계용기계 등 일부업종을 제외한 대다수 업종에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전월대비 1.0% 증가, 전년동월대비2.8% 증가
<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증가 : 제1차금속(6.1%), 화학제품(4.0%), 사무회계용기계(16.9%) 등
·감소 : 반도체 및 부품(-3.4%), 기타전기기계(-2.4%) 등
<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증가 : 제1차금속(19.4%), 기타전기기계(33.8%), 자동차(13.4%) 등
·감소 : 기계장비(-10.2%), 영상음향통신(-12.9%) 등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출하증가에 따라 전월대비 0.2%p 하락한 90.6% 수준
제조업 재고출하순환은 출하증가율이 확대됨에 따라 3개월째 경기상승 위치에서 움직이고 있음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
6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반도체, 기타전기기계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3.2% 증가, 2/4분기로는 전년동분기대비 2.7% 증가
<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반도체 및 부품(12.2%), 기타전기기계(16.1%), 기계장비(8.8%) 등
· 감소 : 영상음향통신(-6.3%), 섬유제품(-13.0%) 등
□6월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기계장비, 담배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0.7% 감소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1.1% 증가
2/4분기로는 전분기대비 1.3%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2.5% 증가
< 전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영상음향통신(9.6%), 석유정제(7.0%) 등
· 감소 : 기계장비(-2.0%), 담배(-17.7%), 화학제품(-1.1%) 등
<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자동차(6.5%), 반도체 및 부품(2.3%), 석유정제(9.3%) 등
· 감소 : 음식료품(-4.2%), 영상음향통신(-3.3%) 등
6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82.7%로 전월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으나, 2/4분기로는 전분기보다 1.2%p 상승
2. 소 비 동 향
6월 소비재판매액은 전월대비 0.4%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4.7% 증가하여 지난 4~5월 보다 증가폭이 둔화
전월대비 감소는 음식료품,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와 의복, 가방 등 준내구재에서 판매가 줄어든 데 기인
전년동월대비로는 컴퓨터, 가전제품, 승용차 등 내구재 중심으로 증가
- 업태별로는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 판매 증가
2/4분기로는 전분기대비 0.2% 감소, 전년동분기대비 5.2% 증가
3. 투 자 동 향
설비투자·기계류내수출하 (선박제외)
6월 설비투자는 기타운수장비(항공기), 통신기기(광케이블전송장치) 및 자동차(특장차) 등의 투자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9.1% 증가. 2/4분기로는 12.1% 증가
6월 기계류 내수출하는 기계장비(패키지형에어컨), 자동차(특장차) 및 통신기기(반송장치) 등의 출하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6.9% 증가. 2/4분기로는 5.9% 증가
국내기계수주 (선박제외)
6월 국내기계수주는 민간발주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전년 기저효과로 공공발주가 크게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2.6% 증가
2/4분기로는 전년동분기대비 6.8% 증가
< 전년동월대비 주요 증감내역 >
·(공공부문) 감소: 공공운수업(전동차), 공공기타(데스크탑PC)
·(공공부문) 증가: 전력업(고압차단기) 등
·(민간부문) 증가: 운수창고통신(통신기계), 기계장비(고압차단기) 등
·(민간부문) 감소: 도소매업(중형트럭) 등
국내 건설기성
6월 국내 건설기성(경상금액)은 건축부문의 부진으로 민간발주가 감소하고, 공공발주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전년동월대비 3.0% 증가, 2/4분기로는 4.8% 증가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에서 9.7% 증가하였으나, 민간부문은 0.6% 감소
공종별로는 토목부문에서 5.6% 증가, 건축부문도 1.5% 증가
국내 건설수주
6월 국내 건설수주(경상금액)는 공공부문의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나, 민간부문 및 민자공사의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28.8% 증가, 2/4분기로는 26.3% 증가
발주자별로는 민간부문에서 19.4% 증가, 공공부문은 6.6% 증가
공종별로는 토목은 70.3% 증가, 건축은 19.5% 증가
4. 경기종합지수
동행지수
동행종합지수는 건설기성액, 수입액 등 2개 지표가 감소하였으나, 산업생산지수, 내수출하지수, 제조업가동률지수 등 6개 지표가 증가하여 전월대비 0.8% 상승
현재의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4p 상승
선행지수
선행종합지수는 종합주가지수, 소비자기대지수, 재고순환지표, 기계수주액, 건설수주액 등 대부분의 지표가 증가하여 전월대비 0.9% 상승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전월대비 0.6%p 상승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경제통계국 산업동향과 042) 481-2163~80
-
2018년 1월 2일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