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업무적응기간 평균 5.4개월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직장인 지식포털 비즈몬(www.bizmon.com)이 지난 7월5일부터 8월3일까지 2005년 하반기 또는 2006년에 입사한 신입사원 1,6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업무적응 기간’ 조사 결과에서 드러난 사실이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신입사원 2명 중 1명이 입사 후 ‘3개월 이하’ 정도에 업무에 적응했다고 밝혔고, 조사 대상 신입사원들의 업무적응기간은 평균 ‘5.4개월’인 것으로 집계됐다.
업무적응기간 별로는 ‘3개월 이하’라고 답한 응답자가 50.2%로 가장 많았고, 4~6개월 이하(25.8%), 10~12개월 이하(13.9%), 7~9개월 이하(5.1%), 16~18개월 이하(1.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신입사원들의 업무적응 기간은 맡고 있는 직무와 기업형태,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무별로는 현재 마케팅, 영업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신입사원들이 밝힌 업무적응기간이 6.9개월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 △연구·개발직(6.8개월) △인사·총무직(6.5개월) △홍보·PR·광고(6.1개월) △기술, 생산직(5.7개월) △재무, 회계직(5.2개월) △IT, 정보통신직(4.5개월)등의 순이다.
반면 디자인 직종과 기획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신입사원들이 답한 업무적응기간은 각각 3.6개월, 3.8개월로 다른 직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조사됐다.
기업형태별로는 공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신입사원들의 업무적응기간이 7.1개월로 가장 길었다. 이외에 △대기업은 6.7개월 △외국기업은 6.0개월 △중소, 벤처기업은 5.2개월 등의 순이었다. 또 성별로는 여성 직장인의 업무적응 기간이 5.7개월로 남성 직장인(5.3개월)에 비해 약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고 적응하는데 있어서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신입사원들은 ‘주업무외에 허드렛일을 너무 많이 지시받았던 점(32.9%)’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업무수행에 있어서 조언을 구할만한 마땅한 선배사원이 없었다(30.7%) △처음부터 과도한 업무량이 주어졌다(25.1%) 등의 순이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기업들은 신입사원들이 업무와 조직 내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 도와야 한다”면서 “선배가 후배를 일대일로 맡아 업무 및 조직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멘토링 제도나 신입직들의 업무현장(OJT) 교육 등은 신규인력의 업무적응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잡코리아 개요
잡코리아는 세계 최대 온라인 리쿠리트 사이트인 몬스트닷컴과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업에게는 글로벌 인재 확보의 기회를, 구직자들에게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취업과 세계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jobkorea.co.kr
연락처
잡코리아 홍보팀 변지성 팀장 02-3466-5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