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철새 이동시기에도 영향을 준다
2006년과 2007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홍도 지역을 지나가는 철새의 봄철 이동시기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홍도를 거쳐 가는 전체 철새 중 비교적 많은 개체가 이동하는 84종을 선정하여 2006년과 2007년의 봄철 이동시기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제비, 칼새, 휘파람새 등 13종(1아종)의 최초 이동시기가 6일~36일(평균 18.9일) 정도 빨라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검은딱새, 되새 등 2종은 오히려 평균 이동시기가 11일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에서 기상여건의 변화에 따른 최초 5일 이내의 이동일수 변화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기본적으로 5일 이내의 이동일수 변화는 무시
□ 이번 결과와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지역인 홍도와 중국 동남부지역 3곳(상하이, 푸저우, 홍콩)의 기후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3월 평균최저기온(℃)이 2006년에 비해 0.5℃~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기후 온난화가 조류의 이동 시기를 앞당긴다는 기존의 학설을 지지하는 한편, 일부 종은 오히려 이동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기후변화가 조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각 종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반응하는 조류의 각 종별 차이는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조류의 이동 양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종 선정과 모니터링 체계 구축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미 유럽이나 북미지역 등 선진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조류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나, 기후변화가 조류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국립공원 철새연구센터 채희영박사는 “비록 이번 결과가 짧은 기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서 기후변화와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으나, 이를 토대로 지속적인 철새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의 지표종으로 조류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knps.or.kr
연락처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담당자 최창용 (061)246-3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