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중이용시설 공기질 측정결과, 22% 오염도 초과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국내최초로 예식장, 학원 등 공중이용시설 323곳에 대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한 결과, 71개 시설에서 오염도가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시설별로 부적합률을 살펴보면 혼인예식장 40개 시설중 24개 시설이 부적합하여 60%로 가장 높았으며, 학원이 24개 시설 중 13개 시설로 54.2%, 공연장이 10개 시설 중 4개 시설이 부적합하여 40%로 그 뒤를 이었다. 업무시설과 복합건축물의 경우는 10% 내외의 부적합률을 나타냈다.

주요 오염물질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포름알데히드가 초과 측정된 시설은 51개 시설, 이산화탄소 초과시설은 35개 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중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탄소가 동시에 부적합한 것으로 측정된 시설은 15개 시설이나 되었으며, 이 외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가 동시에 초과된 시설은 1개 시설이었다.

가장 많이 초과 측정된 포름알데히드는 건축자재나 접착제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급성독성, 피부자극성, 발암성 등의 인체 유해성을 가지고 있어 국제 암연구센터에서는 ‘발암우려 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실내 공기오염 지표의 중요한 측정항목인 이산화탄소의 경우 동시에 많은 사람이 모이는 학원이나 예식장 등에서 초과 측정되었는데 졸음, 두통, 호흡곤란, 안면홍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일산화탄소는 흡연이나 난방시 불완전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로, 최근 금연건물이 늘고 연료도 도시가스로 대체됨에 따라 양호하게 측정되었으며, 미세먼지(PM-10)의 경우, 적정한 환기시설을 갖추고 정기적인 청소가 이루어지고 있어 단 1건만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포름알데히드가 초과되었을 경우, 시설의 모든 창문을 닫고 실내온도를 30-40℃로 상승시킨 상태로 5~6시간 정도 유지한 후, 일시에 창문을 열어 환기시설을 가동하는 ‘베이크 아웃’의 방법을 3-4회 반복시행하면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을 상당히 저감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등의 경우 환기는 필수라고 한다.

금번 실내공기질 측정은 지금까지 지하도 상가, 종합병원, 지하역사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면서, 예식장·학원·공연장 같은 공중이용시설은 같은 실내인데도 불구하고 실내공기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국민 건강관리에 문제가 많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어와 이에 시민건강과 밀접한 생활공간인 공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의 체계적인 위생관리를 위하여 국내 최초로 실내공기 오염도를 측정하게 되었다.

측정 대상시설은 서울시 전체 공중이용시설 6,952개 시설중 약 10%에 해당하는 650개 시설을 표본대상으로 선정, 그 중 50%에 해당하는 323개 시설의 실내공기를 금번에 측정하였으며, 오는 9월까지 나머지 표본대상에 대한 실내공기질도 측정을 완료하고 그 결과를 분석·평가한 후, 서울시의 대기질 관리와 연계하여 2008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공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관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 미비된 법령을 규정, 정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보고, 소유자에 대한 측정 등 의무 규정, 측정방법 및 측정기관 기준 신설, 측정대상 오염물질 확대 등의 법령 정비사항을 중앙부처(보건복지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가는 한편, 시민들에게 실내공기의 오염물질 발생원인과 저감방법에 대해 시민들에게 지속적인 홍보와 행정지도를 펼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국 위생과장 서재율 02-3707-911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