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안명옥, “‘건강’ 걱정하다 ‘병’ 생긴다”
건강염려증 환자 진료실적 매년 12,241건...실제는 더 심각할 것
안명옥의원이 2003년부터 2007년 상반기까지의 건강염려증 환자 진료실적을 분석한 결과, `03년 12,611건, `04년 12,599건, `05년 11,950건, `06년 11,951건, `07년 상반기 5,973건으로 매년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평균 12,241건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2006년도 진료실적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0~29세까지의 합이 10%미만이다가 30대에는 12%로 급증하고 있다. 40대 이후에는 각 연령대별로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40대가 23.1%로 가장 높고, 50대 21.4%, 60대 19.9%, 70대이상 14.5% 등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5,973명, 여성 5,978명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연령별로 매년 유사한 추이를 보이는 가운데, 매년 40대의 진료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추이를 보면, 40대까지는 ‘남성’이, 50대 이후에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건강염려증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는 질병임을 감안할 때, 실제 환자 수는 질병통계상에 드러나는 수치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신질환상의 유사한 질병코드로 청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 ‘건강염려증’인 에이즈 중복 상담·검사 심각한 수준...상담자 15%가 10회 이상 상담, 2회 이상 중복 검사자 25% 상회
대표적인 ‘건강염려증’인 에이즈의 경우, 중복상담·검사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2005년부터 2007년 상반기까지 한국에이즈퇴치연맹에서 실시한 상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2,278건의 상담사례 중 10회 이상 장기상담자가 무려 3,454건으로 15%에 달했다. 또한 재상담자로 분류된 2~4회 상담자가 6,840건으로 31%, 계속상담자로 분류된 5~9회 상담자가 1,417건으로 6%를 차지했다.
한국에이즈퇴치연맹에서 운영하는 AIDS 검진상담소의 검사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4,555건의 HIV/AIDS 검사 중 검진기왕력이 있는 검사자는 1,238명으로 전체의 27.2%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상담센터의 재검비율은 13.5%로, 일반인 상담센터(33%)나 동성애자 상담센터(23.8%)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실태와 관련해 안명옥의원은 “인터넷 등의 발달로 인해 질환 정보에 대한 정보 접근 가능성은 커졌지만, 검증되지 않은 무분별한 정보의 접촉과 확산으로 인한 폐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며,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올바른 질환 및 건강정보를 선별해서 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안의원은 “건강정보는 질환의심자들이 관련 정보를 통해 조기에 검진 받음으로써 질병예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건강정보를 맹신하지 말고, 질병이 의심될 때에는 의료기관을 찾아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건강정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이해능력을 제고시키고, 성숙한 정보활용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홍보와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강염려증이란?>
건강염려증 환자들은 자신의 건강을 계속 걱정하고 아무리 경미한 것이라도 중병이 생겼다고 생각하면서, 여러가지 증상이나 혹은, 두통 같은 한가지 증상을 걱정하기도 한다.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병원을 자주 방문하여 검사를 받으며 검사결과가 정상으로 나와도 자신이 중병을 앓고 있다고 생각한다. 환자들은 의사의 소견을 믿지 않고, 절망감이나 적대감을 보이기도 한다.
병을 너무 걱정해서 인간관계, 직업, 사회생활이 힘들어지는 경우도 많다. 20-30세 사이에 가장 흔하며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이 요인이 되어 생기기도 한다.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어린 시절에 중병을 앓았거나 중병환자와 가까이 접촉한 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많다. 스트레스도 이 질환의 위험 요인이다.
※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iN" (건강자료실, 의학백과사전)
웹사이트: http://www.amo21.net
연락처
보도자료안 명 옥 의원
TEL : 784-0929, 788-2174 FAX : 788-3234
www.amo21.net(한나라당)
보건복지위원회
2007년 10월18
-
2007년 10월 21일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