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국내 임베디드 연구 지원
이번 RFP 우수상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 50여 개 대학에서 제출된 110여 개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로 진행된 가운데, 한국을 포함한 중국, 대만, 홍콩, 호주 등에서 제출한 67개 프로젝트가 우수상을 수여하게 되었다. 수상팀 선정은 윈도우 CE 닷넷 및 윈도우 XP임베디드 중심의 윈도우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 일반기술, 핵심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부문의 참가 프로젝트 중 정교한 컴퓨터 과학 연구 주제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수상자에게는 제안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연구비 일부가 지원되며, 수상자들은 오는 11월 프로젝트 수행 중간결과 발표를 거쳐 2005년 4월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리뷰를 받게된다.
선정은 제출된 프로젝트 결과가 전반적으로 학계 커뮤니티에 유용한 지, 연구/개발 결과를 다른 퍼블릭 도메인을 통해 공유 가능한 지, 제안된 리소스를 통해 시간 내 완료할 수 있는 지, 또한 12개월 동안 완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지 등에 걸쳐서 결정되었다.
저전력 운영체제 분야 연구를 제안한 연세대학교 차호정 교수는 “개발비용이 저렴하고 이식성이 우수한 윈도우 임베디드를 통한 기술 구현을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제안하게 되었다”며, “최근 임베디드 산업분야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의 활약에 일조하여 국내 기술이 세계 선두 기술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더욱 더 연구에 충실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홈 게이트웨이용 EUWS 미들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제안한 건국대학교 민덕기 교수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의 이와 같은 대학 및 교육기관에 대한 투자는 현재의 컴퓨팅 현안에 대한 해답을 찾아 나가는 돌파구 역할이 될 것으로 본다”며, “이렇게 국내 대학의 임베디드 연구 프로젝트가 세계적인 우수성을 인정 받는 것은 국내 임베디드 산업의 재 도약 및 가속화의 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OEM 사업부 김경효 이사는 “이미 세계적으로 임베디드 시장이 경쟁 상태에 들어가 있고, 윈도우 임베디드 역시 입증된 윈도우 근간의 시장을 토대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며, “금번 수상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임베디드 기술을 임베디드 커뮤니티 및 세계 시장에 더욱 알려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첨단 기술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학계는 물론 파트너, 커뮤니티 등과의 부단한 협력 노력을 통한 임베디드 에코시스템 (생태계)으로 제품 컨셉트, 개발, 출시에 이르는 충실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수상은 지난 해 7월, 윈도우 임베디드 커뮤니티에 공헌한 연구진에게 수여되는 “윈도우 임베디드 아카데미 우수상 (Windows Embedded Academic Excellence Award)”에서 한국인 교수 (캘리포니아 대학 얼바인 캠퍼스 (UCI) 김광회 교수)가 선정된 것에 이은 것으로, 국내 교수진 및 개발자들에게 고무적인 수상 기회가 되어 더욱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RFP 우수상의 참가분야 및 국내 수상 내역은 아래와 같다;
참가 분야
일반 기술 부문
● Ad hoc networking, 특히 IPv6-기반 및 무선
● 모바일 IPv6 실질적인 디바이스
● 안전한 휴대형 모바일 디바이스
● 트랜잭트디드 파일 시스템
핵심 시스템 부문
● 파워 매니지먼트
● 커널 퍼포먼스
● 대안 TCP/IP 스택
● 리퍼런스 하드웨어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 테스트 및 개발 프로세스
애플리케이션 부문
● 실시간 로보틱스 (Real-time robotics)
● 산업 자동화 및 콘트롤 – 실시간 CanBus/ProfiBus 콘트롤러 스택 (controller stacks), 듀얼 실시간 및 일반적인 네트워크 스택
● 학습 디바이스 (Teaching devices)
● 특수 애플리케이션 PDA 및 웹패드 (webpad)
● 씬 라이언트
● 셋톱박스
● 향상된 홈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어플라이언스 – 매체용, 가정용, 사무용, 리테일 숍 용, 학교용, 차량용 등
● 지능형 주변기기 및 지능형 기기
● PAN/WLAN/WWAN 등 기반의 게임
수상자
연세대학교 차호정 교수 (車浩晶, 42세, 컴퓨터산업공학부 교수)
● 참가부문: 핵심 시스템 부문 – 파워 매니지먼트
● 제출안: 윈도우.NET 환경에서의 저전력 운영체제 기술 개발
● 약력: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석사
- 英, 맨체스터 대학교 전산학 박사
건국대학교 민덕기 교수 (閔悳基, 40세, 컴퓨터공학부 주임교수)
● 참가부문: 애플리케이션 부문 - 향상된 홈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출안: 홈 게이트웨이용 EUWS 미들웨어 개발
● 약력:
- 고려대학교 산업공학 학사
- 美, 미시간 주립 대학교 컴퓨터공학 석/박사
웹사이트: http://www.microsoft.com/korea